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학연” 에 대한 검색결과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산집(經山集)』 (1777-1852) 1777(정조 1)∼1852(철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계습(季習)| 임간(林磵)

고서·고문서(29)

  • 기하(記下) ()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28158 B028158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9年 12月 11日_016 ○吏批, 再政。 以爲校理, 宋欽命爲司宰直長, 權中淸爲務安縣監, 喬桐府使單李春英, 京畿水使李春英, 今加嘉善加資事, 承傳。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2767 B032767 낙제 絡蹄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憲宗 6年 3月 1日_009 ○京畿監司狀啓, 宗廟薦新生絡蹄, 未及産出, 限內不得封進, 惶恐待罪事, 傳于洪羲錫曰, 勿待罪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1665 B021665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憲宗 12年 12月 3日_009 ○大司憲, 持平韓容悳等啓曰, 請古今島爲奴罪人韓鼎鎭, 亟令王府, 卽爲拿來, 嚴鞫得情, 夬正典刑。 措辭見上 請島配罪人睦台錫, 亟令王府, 設鞫嚴問, 夬正典刑。 措辭見上 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3316 B033316 남도포 南桃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憲宗 11年 1月 8日_041 ○傳于鄭基世曰, 望筒遲滯兵判, 推考。 以朴枝茂爲智島萬戶, 金柱默爲西平浦萬戶, 申尙祐爲梨津萬戶, 朴慶煥爲南桃浦萬戶, 黃舜成爲呂島萬戶。 護軍, 副護軍兪章煥, 副司直林基洙·李昌廷...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7∼1852). 강원도암행어사·대사성을 거쳐 공조참의·이조참판·도승지·대사헌에 이어 광주부유수에 이르러 기로소에 들어갔다. 1850년 지경연사·지춘추관사·도총관이 되고, 이듬해 공조판서가 되었다. 역대의 사적과 국조의 전장에 널리 통하였고,

  • 홍병수 / 洪秉壽 [종교·철학/유학]

    1807년(순조 7)~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홍응운, 조부는 홍경안, 부친은 이다. 외조부는 이의강, 처부는 신순이다. 1847년(헌종 13) 정시에 병과 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도청부사과‧양주목사‧이조참의‧예방승지 등을 역임하였으며, 품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