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홍학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7)
- 홍학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2∼1934.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홍학원(洪學元)‧홍학(洪學).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19년 3‧1운동 후 만주로 망명, 1924년 무장항일운동단체인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제5중대에 입대하여 국내에서 일본경찰과 접전하면서...이칭별칭학원(學元)|학(學)
- 김진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진무(李振武)‧홍학순(洪學淳) 등과 노농자위군(勞農自衛軍:후에 조선인독립군이라 개칭)을 조직하고 이진무를 대장으로 추대, 무장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大韓民國獨立有功人...
- 김봉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항일운동에 전력하였다. 1928년 7월 장기천(張基千)‧홍학순(洪學淳)‧이근수(李根秀) 등과 같이 군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국내에 잠입하여 의주군 가산면 방산동의 계용수(桂龍守) 집에 도착하여 군자금을 징수하고, 일본경찰의 밀정인 계용수의 장남 승호(承浩)와 삼림...이칭별칭봉수(奉秀)
- 안국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복벽주의자(復辟主義者)가 통의부에서 이탈하여 참의부(參義府)를 조직한 후, 1924년 정의부(正義府), 1925년 신민부(新民府) 조직되어 통의부가 해체되자, 정의부에 가입해 활동하였다. 1928년 정의부 제2중대장 이윤환(李允煥)의 명령을 받고 홍학순(洪學淳)...이칭별칭안명보(安明保)|전학송(全鶴松)
- 장기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3∼1980. 독립운동가. [내용]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26년 만주로 망명해 독립운동단체인 정의부(正義府)에 가입, 제5중대원이 되었다. 1927년 5중대 상등병으로서 중대장 김석하(金錫河)의 명령을 받아 홍학순(洪學淳)ㆍ이근...
신문·잡지(1)
- 황해로동신문_1947_0403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75 이영조 황해도 황해로동신문사 신천, 산천면, 하양면, 석중동, 한양리, 석곶동, 순흥리 (신천) 산천면 하양면 석중동(山川面 漢陽里 石串洞)에 사는 홍학순(洪學淳) (36세)는 금번 고공품생산운동에 있어서 자긔에게 활당된 가마니 52매을...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403_02 | 책임주필이영조
기타자료(3)
- 홍학순;洪學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9087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97면 2. 제3학년 홍학순;洪學順 수원성내 남수리 211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학순;洪學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7155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정신 제3호 1937 87면 1. 졸업생 상황 (1937년 1월 조사) 홍학순;洪學順 경성부 桂洞町 75-1 (졸업기수)28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단 성공 사례) 한성 네트워크 운영을 통한 과학 영재 교육의 실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운영 교육기회확대 학교시설설비 잡지 홍학순 1995 10 교육월보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홍학순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3)
-
홍학순 / 洪學淳 [역사/근대사]
1902-1934. 독립운동가. 일명 홍학원(洪學元)·홍학(洪學).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19년 3·1운동 후 만주로 망명, 1924년 무장 항일운동단체인 대한통의부(大韓通義府) 제5중대에 입대하여 국내에서 일본경찰과 접전하면서 군자금모금활동을 전개하였다. 192
-
김봉수 / 金鳳秀 [역사/근대사]
7월 장기천(張基千)·홍학순(洪學淳)·이근수(李根秀) 등과 같이 군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국내에 잠입하여 의주군 가산면 방산동의 계용수(桂龍守) 집에 도착하여 군자금을 징수하고, 일본경찰의 밀정인 계용수의 장남 승호(承浩)와 삼림간수 강영화(姜榮化)를 붙잡아 처형하였다.
-
김광진 / 金光振 [역사/근대사]
으나, 일본경찰이 이 정보를 사전에 탐지하고 경계강화를 취하였기 때문에 실현하지 못하고 만주로 귀환하였다. 1925년 7월에 정의부(正義府) 군사부(軍事部) 별동대원 이진무(李振武)·홍학순(洪學淳)·김인옥(金仁玉)·김학규(金學圭)·이창만(李昌萬)·오동락(吳東洛) 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