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홍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17)
사전(783)
- 홍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홍주로 만든 홍주의(紅紬衣)를 입고 나온다. 黑紬四尺纓子紅紬七寸五分君王千歲旗一五幅付所入質白紬三十五尺火焰脚紅紬三十尺衿, (국장1903/039ㄱ01~03)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홍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7∼1954. 독립운동가. [내용]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19년 의주에서 3‧1운동에 참가한 후 아버지 제업(濟業)과 만주로 망명,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가입하고 재무부장 전덕원(全德元) 밑에서 회계를 맡아 활약하...
- 홍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홍성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고려의 운주(運州)로 995년(성종 14) 도단련사(都團練使)를 두었고, 1012년(현종 3) 지주사(知州事)로 고쳤다가 뒤에 홍주로 개칭하였다.135...이칭별칭운주(運州)
- 洪州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0_D_0021 洪州 지리(기타) 麗初 洪規, 太祖, 仁桂 D_01_01_61 대동운부군옥 1권 1장 6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1장 6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홍주(紅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351 물품도구 홍주(紅紬) 홍주 紅紬 붉은색 물을 들인 명주. 1406년 2월에 일본국의 사신으로 왔던 슈도(周黨) 등이 귀국을 고하였다. 이에 상관인(上官人) ‧ 부관인(副官人)에게 각각 홍주(紅紬) 2필씩, 그리고 반인(伴人...유형분류물품도구
고서·고문서(1,921)
- 洪州牧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四十九 忠淸道 洪州牧 56 使一人判官一人百濟時稱號未詳金氏地志亦不載唯高麗 太祖實錄十年丁亥三月王入運州【註云卽今洪州】 成宗乙未置運州都團鍊顯宗壬子廢團鍊使改爲知運州事後改爲洪州恭愍王七年丁酉陞爲牧戊申降爲知洪州事辛亥復爲牧本朝因之別號安平又海豐【皆淳化所定】屬縣五...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홍주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寥 安無更用之望 浩歎何極 貴邑近峽 其有所産藥料 而其能任意劑用湯丸之屬否 方有爲兒劑藥之事 而貼數浩多 價本不貲 無以支當亦望以土産材料 隨所有 惠送如何 命藥紙玆以胎呈 以審其存否耳餘萬歲色向暮 惟祈侍奉政履 益加萬祉 不宣 伏惟兄照 丙午臘之上弦 弟 洪疇 頓분야문학 | 유형문헌
- 홍주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元月十三日 弟 洪疇 頓 伯氏丈 又無參擬之事 誠可慨然也 阿咸諸益皆得來侍而善安否 無楮闕候 可歎 書成後 貴邑邸吏 忽投以仲氏惠書 及兄紙尾存問 以審履端後侍奉安吉狀 何等慰幸 衲衣工已畢云 可幸 須以油紙善裹 付諸此便 如何 芝草五味子 恕有留念之意 可感 芝雖不及其期 顧何傷乎 仲氏承匪久...분야문학 | 유형문헌
- 與柳洪州【誼】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80 文集 卷十八 ITKC_MP_0597A_0180_030_0580 與柳洪州【誼】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을유년 문홍주(文弘周) 등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영암 장암 남평문씨
구술자료(94)
- 점장이가 준 홍주머니로 얻은 복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를 마친 후, 자연스럽게 ?또-? 하면서 계속했다. 혼자 구연하면서도 구성진 음성으로 열심히 했다.*조사일시1981-07-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상주군 낙동면 용포리 | 제보자김돌룡
- 충청남도 홍성군_만물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 ) 논다 (참고용) 비(非)고정장단곡 ♪ = 150 이소라,[홍성의 노동요]홍성문화원,1994. [홍주 107] (홍주 107)만물소리.jpg (홍주 107)만물소리.mp3 소속이 분명하지 않다.녹음지역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대인리 | 녹음날짜1987.4.17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홍성군_오 -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자유리듬 ♪ = 150 이소라,[홍성의 노동요]홍성문화원,1994. [홍주 125①] (홍주 125①)오 - 소리.jpg (홍주 125①)오 - 소리.mp3 무량리에서 맘논을 맨 후, 마을로 돌아오는 장원질 장면에서 꽃나부(무동)를 세울 때의 소리.녹음지역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무량리 | 녹음날짜1990.2.2 | 가창방식제창
- 충청남도 홍성군_장원질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어기여라 존게좋소 가다가다 저물거든 주요 구성음: (라)도레미솔 도 도 12/8 ♩. = 55~60 [홍성의 민요 CD]결성농요보존회,2013 이소라,[홍성의 노동요]홍성문화원,1994.[홍주 9] (홍주 9)장원질 소리.jpg (홍주 9)장원질녹음지역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 | 녹음날짜1994.2.27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홍성군_장원질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후창) 에기여라 종게 좋소 미라도 미(t1) 12/8 ♩. = 105~150 [홍성의 민요 CD]결성농요보존회,2013 이소라,[홍성의 노동요]홍성문화원,1994.[홍주 10] (홍주 10)장원질 소리.jpg (홍주 10)장원질 소리.mp3녹음지역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성남리 | 녹음날짜1994.2.27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기초학문(17)
- 한국선문의 형성과 홍주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명희, 게재일 : 200603802 강명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연구원 2006 한국선문의 형성과 홍주종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유형논문 | 게재일2006
- 19-20세기 보부상 조직에 대한 재평가 ―元洪州六郡商務右社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0941179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제사학회 2009 19-20세기 보부상 조직에 대한 재평가 ―元洪州六郡商務右社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개신교의 디아코니아실천과 신학화과정에 관한 연구 -독일 개신교 디아코니아의 신학화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주민, 게재일 : 200906896 홍주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실천신학회 2009 개신교의 디아코니아실천과 신학화과정에 관한 연구 -독일 개신교 디아코니아의 신학화과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복지국가 스웨덴과 개신교 디아코니아 관련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주민, 게재일 : 201239813 홍주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실천신학회 2012 복지국가 스웨덴과 개신교 디아코니아 관련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2
- Análisis pragmático y lingüístico de los comentarios en la prensa digital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홍주, 게재일 : 201451861 최홍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남미지역원 2014 Análisis pragmático y lingüístico de los comentarios en la prensa digital https://www.k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17)
- 洪州確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쥬통신의확보거즉 군셩에 졈거의병슈효오륙명가량이오 가진바 군긔 양춍 이여병이오구식으로 만든대포가 오륙좌나되 본월이십일에 디에하거 경무관리와 일헌병일슌샤 각진위병뎡을합야 팔십여명이 공격을시작야 피방춍졉젼다가 각기퇴거얏고 현금에의병은 셩...게재일1906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洪州情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쥬군슈겸션유윤시영씨가 부에보고기를 음려본월십이일에 홍쥬군에도즉 셩각 공와 민가에 각진위병와 일본병가 모다거졉얏고 곳곳지피가흘너 소견이참혹즁에 아비식을부르며 계집은 남편을부르지져 통곡소이오 에궐례를 로 들어가본즉 뎐각문은파쇄가되...게재일1906년 6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洪州情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쥬군 셩에 졈거얏던 의병을 격파고 셩지 회복후로 일병과 각진위병뎡이 군경인민즁 의병과 긔상통던자를 형탐포착으로 인민이셔로의구지심을품어 각각타쳐로환산야 홍쥬일경과 그부근디방에 쵼락이모다공허고 도로에려가 엿다더라게재일1906년 6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洪州賑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갈닌홍쥬군슈 윤시영씨가 읍하각동에 회집인민즁에 우심빈곤 셩을 구제기위야 그곳에쥬 일본병참에 젹치미십여셕을 츌급야 그셩을구휼케라고 탁지부에 보고얏 탁지부에셔일본군령부에교셥인허지라 군슈가 빈호를 쵸츌즉 호슈가 일구십오호오 인구가오...게재일1906년 6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洪州騷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쥬군슈 리교셕씨가 부로보고기근읍민들이창의다고 회동야 읍로 들어온다다가 퇴보야 본군합친리에둔취더니 공쥬관찰부슌검과 일헌병이 도야 이십여명을 착거얏 인심이 연션동고 젹경이우심야 셩이 안도슈업다얏더라게재일1906년 3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
- 771 175. 조선_충청_홍주.pdf 조선시대 역사행정구역도[충청_홍주] 행정구역자료문의성신여대 양보경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
기타자료(84)
- 홍주표;洪周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831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21면 홍주표;洪周杓 경성부 통의정 61;京城電氣會社 제16회 193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홍주;金洪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7683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56면 - 김홍주;金洪炷 1936년 3월 31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홍주;文鴻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436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08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m. 1940년 3월 졸업(40명) 문홍주;文鴻柱 (본적)경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홍주;文鴻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019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5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m. 1940년 3월 졸업 문홍주;文鴻柱 (본적)경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홍주;文鴻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6398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34 214면 1. 학생 및 생도 성명 (1934년 5월 말일 현재);6) 예과생도;(6) 문과 1학년 을조(41명) 문홍주;文鴻柱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1)
-
홍주 / 洪疇 [역사/근대사]
1897-1954. 독립운동가.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19년 의주에서 3·1운동 참가 후 아버지 제업(濟業)과 같이 만주로 망명,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가입하고 재무부장 전덕원(全德元)휘하에서 회계를 맡아 활약하였다. 같은해 5월 상해(上海)에서 개최된 의정원
-
홍주삼 / 洪柱三 [종교·철학/유학]
1621(광해군 13)∼1682(숙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수 증손, 할아버지는 이상, 아버지는 탁, 어머니는 윤응빙의 딸이다. 집에게 입양되었다. 1653년(효종 4)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 정언, 수찬·교리, 1664년(현종 5) 사간이 되었다. 그 해 서원
-
홍주일 / 洪宙一 [역사/근대사]
1876-1927년. 독립운동가. 대구 출신. 1915년 1월 15일 달성군 수성면 안일암에서 시회(詩會)라는 명목으로 모임을 가지고 윤상태(尹相泰)·서상일(徐相日)·이시영(李始榮) 등과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朝鮮國權回復團中央總部)라는 비밀결사를 만들어 기밀부장으로
-
홍주향교 / 洪州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에 있는 향교. 고려시대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지지만, 구체적인 전거가 확인되지는 않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향교의 위치가 홍주의 북쪽 3리에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현재의 위치로 추측된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홍주향교에는 조선전기에
-
홍양기사 / 洪陽紀事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잡사류(雜史類) 임한주(林翰周) 저, 신연활자본, 미상 불분권 1책(32장). 임한주가 홍주(洪州)의 을미의병(乙未義兵) 등 항일 의병 활동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