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홍석주” 에 대한 검색결과 3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6)

사전(116)

  • 홍씨독서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독서록. [내용] 4권 2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저자는 당대의 대학자로 『독서역잡기(讀書易雜記)』‧『춘추비고(春秋備考)』‧『상서보전(尙書補傳)』‧『삼한명신록(三漢名臣錄)』‧『원사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匯東書館, 1922) 朝鮮儒敎史(玄相允, 民衆書館, 1949) 古文의 源流와 性格(金都鍊, 韓國學論叢 2, 1979) (1774-1842) 1774(영조 50)∼1842(헌종 8)....
    이칭별칭 성백(成伯)| 연천(淵泉)| 문간(文簡)
  • 김매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5년(정조 19)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ㆍ사인을 거쳐 초계문신(抄啓文臣)이 되었고, 그뒤 예조참판을 거쳐 1821년(순조 21) 강화부유수를 역임하였다. 그는 당대의 문장가로 ()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았으며, 여한십대가(麗韓十大家)의 한...
    이칭별칭 덕수(德?)| 대산(臺山)| 문청(文淸)
  • 유신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헌을 지낸 언술(彦述)이고,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한순(漢純)이다. 김매순(金邁淳)ㆍ()ㆍ오희상(吳熙常)을 스승으로 섬겼다. 1844년(헌종 10) 학행으로 추천을 받아 선공감감역이 되고 감찰ㆍ사직서령ㆍ영희전령(永禧殿令)을 역임하였다. 전의현...
    이칭별칭 경형(景衡)| 봉서(鳳棲)| 문간(文簡)
  • 김상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재곤(在崑)이며, 어머니는 유경주(兪擎柱)의 딸이다. 정약용(丁若鏞)ㆍ()ㆍ김매순(金邁淳)의 문인이다. [내용] 1827년 진사가 되고 1859년(철종 10) 군수로서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 1860년 대사간을 지냈다. 고종 때에...
    이칭별칭 위사(渭師)| 경대(經臺), 노헌(魯軒)| 문헌(文獻)

고서·고문서(85)

  • 1789년 () 입안(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1789년 ()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1789년 () 소지(所志)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789년(정조13) 12월에 해남에 사는 가 산이도 언항에 사는 박준채의 전(傳)자, 봉(奉)자, 입(入)자 등의 논 10두락을 40냥으로 산 것에 대한 증명으로, 답주와 증인, 필집에게 다짐을 받고 해남현에 입안을 신청한 문서이다. 이에 해남현감은 12월 2...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해남 김해김씨 노송사
  • 1841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41년(헌종7)12월 14일에 가 석성현감하백원에게 답한 서간이다. 하백원이 정치를 잘 하여 쌓인 폐단을 극복한 일을 치하하고, 자신은 병이 들어 서권도 보지 못할 정도라고 자탄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 1789년 ()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기초학문(2)

  • ()의 『학강산필(鶴岡散筆)』에 나타난 문학관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석중, 게재일 : 2003
    12370 강석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3 ()의 『학강산필(鶴岡散筆)』에 나타난 문학관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原體散文의 담론생산자적 의미와 수사적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동주, 게재일 : 2013
    43585 박동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原體散文의 담론생산자적 의미와 수사적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2)

멀티미디어(80)

  • 서명응_ 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서명응_ 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서명응_ 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서명응_ 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서명응_ _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_7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
    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기타자료(1)

  • (교육현장은 말한다) 현장 연구의 활성화로 교육 발전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92 12 교육월보 132호 교육부 6 ...
    범주1교원 | 형식잡지 | 한글저자홍석주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4∼1842). 1795년(정조 19) 춘당대문과에갑과로 급제하여 사옹원직장을 제수받았다. 1797년 승정원주서, 1802년(순조 2) 정언, 1808년 가선대부에 올라 병조참판, 1834년 이조판서, 좌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를 역임하였다

  • 상서보전 / 尙書補傳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서류(書類). () 著, 김학진(金鶴鎭) 校. 신연활자본.1913년 3권 1책. 판권기에 1913년(大正 2), 서문에 己酉(1909)…金鶴鎭으로 되어 있다. 조선광문회본《상서보전(尙書補傳)》으로 제첨 및 표제지에 간행관련 기록 있다.

  • 석견루시초 / 石見樓詩鈔 [언론·출판]

    저자 이복현(1767-1853). 간본. 2권 2책. <석견루시초>는 맨 앞에 와 이만수의 서문이 나오고, 그 다음에 김이도, 김려, 김선, 이익회, 서영보, 신위, 김유근, 이낙수, 이지연, 김정희의 발문이 있다.

  • 국헌집 / 菊軒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소시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5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808년(순조 8) 손자 환술(煥述)이 편집한 것을 1835년(헌종 1)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와 이득일(李得一)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상권에

  • 홍영선전 / 洪靈仙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필사본. 이 소설은 일반적인 영웅소설의 유형을 띠고 있는 작품이다.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舊 金東旭 소장본)에 유일본으로 있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명나라 홍무연간 형주땅에 사는 명환 ()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