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춘당대시” 에 대한 검색결과 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

사전(5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 춘당대에 친림하여 보였기 때문에 라 일컬었다. 춘당대 문‧무과가 처음으로 설행된 것은 1460년(세조 6)이며, 이 시험에서 문과 4인, 무과 51인을 뽑았다. 는 알성시(謁聖試)와 마찬가지로 초시‧복시‧전시의 단계가 없이 단 한번의 시험에 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거(科擧) 춘당대정시(春塘臺庭試),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 춘당대무과(春塘臺武科), 춘당대관무재(春塘臺觀武才) 정치인사/선발 법제 정책 노영구 [정의...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춘당대정시(春塘臺庭試),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 춘당대무과(春塘臺武科), 춘당대관무재(春塘臺觀武才)
  • 별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試)‧() 등을 총칭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대전회통(大典會通)』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우사(耦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우사 우사 耦射 사대(射臺), 향사례(鄕射禮), 서총대시사(瑞葱臺試射), 사(射), 시사(試射)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형국 [정의] 활쏘기 관련 의례나...
    관련어사대(射臺), 향사례(鄕射禮), 서총대시사(瑞葱臺試射), 춘당대시사(春塘臺試射), 시사(試射)
  • 조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0) ()에 병과로 급제하여, 세조가 선전관(宣傳官)에 재직하고 있는 그를 대의(大義)에 능통하다고 인정하여 『병요(兵要)』와 『병장설』을 강(講)하도록 하였다. 성종 때에 사간원사간ㆍ절충장군(折衝將軍) 전라도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ㆍ한성부우윤...

고서·고문서(7)

  • 孟春同諸生宴【乙巳○上親臨食堂】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1380 孟春同諸生宴【乙巳○上親臨食堂】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810년 김용묵(金用黙)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10년(순조10) 소제(少弟) 김용묵(李奎鎭, 1763~1822)이 성주군(星州郡) 대포리(大浦里)의 좌랑(佐郞)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안부서신이다. 이규진의 아들 이원조(李源祚)가 18세의 어린나이로 1809년에 실시된 ()에 합격하자, 김용묵이...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799년 강세륜(姜世綸)이 작성한 간찰.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99년 하생복인(下生服人) 강세륜(姜世綸)이 수취자 미상(未詳)에게 보낸 안부서신으로 맏이의 이른 과거급제는 당연한 일이고, 또한 과연 의 장원을 지푸라기 줍듯 하였으니 얼마나 기쁘겠냐며 자식의 과거급제를 축하하는 내용.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寄游兒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書不繼其父癖,而酒戶獨跨竈也?此非好消息。汝外祖父節度使公,飮酒能七盞不醉,然平生不以近口,至晚節始製一觚,容數十滴,取沾脣而已。吾生來不大飮,不自知酒戶。布衣時,於重熙堂,蒙賜三重燒酒,將玉筆筒滿酌與之,辭不獲命,釂之,心自語曰‘吾今日死矣’,旣而無甚酲。又於上考卷,蒙賜旨酒一大碗。爾時諸...
    권차명文集 卷二十一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自撰墓誌銘【集中本】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放恣無忌。又諭曰:“平生不復秉朱筆。” 又令銓曹,勿擬官職。後數日,上御士,特命鏞爲對讀官,鏞惶恐不知所爲。上諭蔡弘遠曰:“予後知之,南人與選者皆二所。丁鏞一所也,無行私事。” 令入處奎瀛府,與李晚秀ㆍ李家煥ㆍ李益運ㆍ洪仁浩ㆍ徐俊輔ㆍ金近淳ㆍ曹錫中等,共撰《華城整理通考》,鏞所掌特多。旣數日...
    권차명文集 卷十六 | 문체傳記類|碑誌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8)

  •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나라 경사 때 왕이 춘당대에 친림하여 시행된 과거. 비정규적으로 설행된 문·무과의 하나.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실시된 경과(慶科)의 하나로서, 과거시험을 국왕이 창경궁 내 춘당대에 친림하여 보였기 때문에 라 일컬었다. 알성시와 마찬가지로 초시·복시

  • 신광요 / 申匡堯 [종교·철학/유학]

    1725년(영조 1)∼1799(정조 23). 신개 후손이다. 아버지는 신종악이다. 1751년(영조 27) 신미 병과 5위로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은 동지돈녕부사에 이르렀다.

  • 녹명 / 錄名 [정치·법제/법제·행정]

    과거 응시자의 자격을 심사해 응시원서를 접수하던 제도. 단 한번의 시험으로 합격·불합격이 결정되는 알성시·정시·를 제외한 식년시(式年試)·증광시(增廣試)의 경우는 시험 전에 반드시 녹명을 해야만 하였다. 시한은 시험 10일 전에 녹명소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었

  • 무과 / 武科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에 무관을 임용하기 위해 실시된 과거. 조선시대 무과에는 문과와 마찬가지로 3년에 한번씩 정규적으로 실시되는 식년무과와 그 밖에 임시로 특설되는 증광시·별시·알성시·정시· 등 각종 비정규 무과가 있었다. 합격자에게는 합격증으로 홍패를 주었다.

  • 이선부 / 李善溥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안인 증손, 할아버지는 잠, 아버지는 관하, 어머니는 이행원의 딸이다. 1673년(현종 14) 에 병과로 급제하고 고창현감·지평·정언·헌납·사간·집의를 거쳐 1696년(숙종 22) 충청도관찰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