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홍경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2)
- 홍경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9(고종 26)∼1961. 독립운동가. [내용] 충청북도 진천 출신. 참판 승헌(承憲)의 아들이다. 경술국치에 분개하여 집안이 모두 봉천성 환인현(奉天省桓仁縣)으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다가, 1919년 3‧1운동 때...
- 이병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흥경현(興京縣)에 있는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에서 활약하였다. 그 뒤 1924년 2월 통의부의 수령 김동삼으로부터 현익철(玄益哲)‧홍경식(洪景植) 등과 더불어 국내에 잠입하여 대한통의부 지부를 설치하고 동지를 규합하여 일본고관 및 친일분자 암살, 중요기관 파괴 및...이칭별칭 강재(强齋)
고서·고문서(1)
- 北(북)과 총격전 참수리호 홍경식 중위 "北(북) 별안간 일제사격 대원11명 기관총 응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北(북)과 총격전 참수리호 홍경식 중위 "北(북) 별안간 일제사격 대원11명 기관총 응수"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대표표제어北(북)과 총격전 참수리호 홍경식 중위 "北(북) 별안간 일제사격 대원11명 기관총 응수"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월선, 북한, 북방한계선, 영해, 침범, NLL, 정전협정, 위반, 격침, 침몰, 사격, 교전
신문·잡지(1)
- 홍경식으로 츙쳥북도 디계위원을명고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경식으로 츙쳥북도 디계위원을명고 리승렬로 츙쳥남도 디계위원을 명고 구품박형으로 젼라북도디계위원을 명고 김진셥으로 젼라남도 디계위원을 명고 륙품 김찬규 리덕영으로 평안남도 디계위원을 명고 윤호로 평안북도 디계위원을명고 손쳘흔으로 경상남도 디계위원을명다...게재일1903년 3월 4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11)
- 홍경식;洪炅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07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1면 홍경식;洪炅植 제13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경식;洪庚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79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8면 홍경식;洪庚植 제4회 1934년 3월 23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경식;洪景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2375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25면 홍경식;洪景植 평남 중화군 桐洞面 綾盛里 652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경식;洪景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2419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26면 홍경식;洪景植 경성부 都染洞 24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경식;洪炅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93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36면 홍경식;洪炅植 충남 공주 錦城금융조합 제13회 192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홍경식 / 洪景植 [역사/근대사]
1889년(고종 26)∼1961년. 독립운동가. 충청북도 진천 출신. 참판 승헌(承憲)의 아들이다. 경술국치에 분개하여 집안이 모두 봉천성 환인현(奉天省桓仁縣)으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다가, 1919년 3·1운동 때 그곳의 광한단(光韓團)에 가입하였다. 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