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현종” 에 대한 검색결과 10,9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218)

사전(5,432)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동성(同姓)인 편지 수신자를 높여 부르는 말. 자기보다 어린 사람에게 쓰는 말. 郵便得書 不意尊季父奄忽違世 驚.不已 仰惟篤於親愛 沈慟之懷 何以堪勝, 왕성순(王性淳), 37-12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종형제(從兄弟)를 높여 부르는 말. 奉謝 書信之闕然 亦久矣, 윤두서(尹斗緖) 21(禮)-36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의 임금이다. 어느 날 밤 잠을 이루지 못하던 중, 한밤중에 상림원 오동나무에서 슬피 우는 새 소리를 듣고 삼천 궁녀를 풀어 어떻게 된 연고인지 알아보도록 한다. 이에 한 궁녀가 접동새와 월덕새가 오동 나뭇잎에 새긴 죽을 사(死), 마음 심(心)두 자를 내보이자 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양귀비의 미모에 혹해 정사를 돌보지 않아 세상을 어지럽게만든다. 간신 이임보와 안녹산 등을 총애해 그들의 모함을 믿고 충신들을 귀양 보낸다. 안녹산이 양국충과 내통해 반란을 일으키니, 촉지로 피란 가다가 군사들의 요청으로 마외역에서 양귀비를 죽인다. 촉지에 정배 중이던...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5)

  • 한국신종교사전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 원광대학교]
    저자 : 한국신종교사전편찬위원회 ... | 출판사 : 도서출판 한맘 | 출판일 : 20180625
    근대에 발생한 한국 신종교들은 근대 대중·민중의 삶을 읽어낼 수 있고, 현대 신종교들은 또 다른 종교문화의 삶을 읽어낼 수 있는 재료가 되기에 중요하다. 근현대 한국 종교문화의 흐름은 먼저 유·불·도 삼교를 주축으로 하는 전통 종교문화의 근현대적인 변모를 담고 있다. ...
  • 대한제국의 토지조사와 토지법제 [한국 근대의 토지와 농민 | 한국외국어대학교(용인캠퍼스)]
    저자 : 왕현종 ... | 출판사 : 혜안 | 출판일 : 201901
  • 일제의 조선 관습조사 자료 해제 1 : 부동산법조사회·법전조사국 관련 자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저자 : 왕현종, 이승일, 채관식 ... | 출판사 : 도서출판 혜안 | 출판일 : 20161231
    목차 서언 일러두기 Ⅰ. 총괄해제 Ⅱ. 부동산법조사회 관련 자료 1. ‘부동산법조사회’ 관련 자료 개관 2. ‘부동산법조사회’ 관련 자료 해제 Ⅲ. 법전조사국 관습조사 정리 관련 자료 1. 법전조사국 관습조사 관련 자료 개관 2. 법전조사...
  • 일제의 조선 구관 제도 조사와 기초자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저자 : 왕현종, 김경남, 이승일, 한동민 ... | 출판사 : 도서출판 혜안 | 출판일 : 20190717
    서언 제1부 한국 관습조사사업 기초자료 기록물 현황 총론:일제의 조선 구관 관습 조사 개관 1. 『일제의 조선 구관 제도 조사와 기초자료』 발간 취지 2. 조선관습조사사업과 부동산법조사회의 활동 개관 3. 일제의 조선관습조사에 관한 자료 연구 방향 ...
  • 일제의 조선 관습조사 종합목록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저자 : 왕현종, 이영학, 최원규, 김경남, 한동민, ... | 출판사 : 도서출판 혜안 | 출판일 : 20190717
    서언 일러두기 일제의 조선관습조사 종합목록 소개 1. 연구 사업의 기획 의도 2. 일제의 조선관습조사 자료 연구 방향 3. 일제의 조선관습조사 자료의 현황 4. 한국 관습조사자료의 활용 방법 일제의 조선관습조사 종합목록 1. 민상사관습 ...

고서·고문서(4,362)

  • 축문(祝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축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축문
  • 구당서 권8 본기8 상_001 장일규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至道大聖大明孝皇帝의 이름은 隆基인데, 예종의 셋째 아들로, 모친은 昭成順聖皇后 竇氏이다. 신당서 권5, 본기, 즉위(712) 조, “母曰昭成皇后竇氏"(121쪽).
    권수구당서 권8 | 편명본기8 | 대표표제어현종 상_001
  • 구당서 권8 본기8 상_002 장일규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垂拱 원년(685) 가을 8월 무인일에 東都에서 태어났다. 성품은 영민하고 단호하며 예능적 기질이 많았다. 특히 音律을 잘 알았고, 八分書 八分書는 예서와 전서를 아우른 글씨체로, 예...
    권수구당서 권8 | 편명본기8 | 대표표제어현종 상_002
  • 구당서 권8 본기8 상_003 장일규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長壽 2년(693) 12월[臘月] 정묘에 臨淄郡王으로 改封하였다. 聖曆 원년(698)에 出閣하였는데, 東都의 積善坊에 저택[第]을 하사받았다. 大足 원년(701)에 [則天을] 扈從하여...
    권수구당서 권8 | 편명본기8 | 대표표제어현종 상_003
  • 구당서 권8 본기8 상_004 장일규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景龍 2년(708) 4월에 潞州別駕를 兼하였다. 12월에는 銀青光祿大夫를 더하였는데[加], 州의 경계에서 黃龍이 대낮에 하늘로 올라갔다. [이] 일찍 사냥을 나갔을 때, 紫雲이
    권수구당서 권8 | 편명본기8 | 대표표제어현종 상_004

구술자료(1)

  • 경국지색의 여인 양귀비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의 아들과 결혼하였다. 어느 날 이 잔칫날 양귀비의 가무와 계영배 술잔을 권하는 지혜에 반하여 양귀비를 귀비로 삼았다. 양귀비는 그 후 친정 가족들에게 높은 관직을 부여하고 권력을 남용함으로써 나라가 어지러워지고 결국 내란이 발생했다. 태자가 에게 양귀비를 죽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36)

  • 1674년( 15) 의 昇遐와 []殯殿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새롬, 게재일 : 2004
    01580 유새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674년( 15) 의 昇遐와 []殯殿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674년 의 昇遐와《[]國葬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새롬, 게재일 : 2005
    08326 유새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674년 의 昇遐와《[]國葬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大王改修實錄》의 편찬과 《大王實錄改修廳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연식, 게재일 : 2003
    01822 최연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大王改修實錄》의 편찬과 《大王實錄改修廳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肅宗初《大王實錄》의 편찬과 《大王實錄纂修廳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연식, 게재일 : 2003
    13297 최연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肅宗初《大王實錄》의 편찬과 《大王實錄纂修廳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고려 의 혼인과 김은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갑동, 게재일 : 2011
    41443 김갑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1 고려 의 혼인과 김은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63)

  • 동아인터뷰 이 국사편찬위원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8) 역사교과서문제 동아인터뷰 이 국사편찬위원장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2년 8월 6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6 이 글은 일본 교과서의 한국관계왜곡 서술 문제를 놓고 국회에서 마라톤 회의와 대정부 질의가 계속되는...
    대표표제어동아인터뷰 이현종 국사편찬위원장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국사편찬위원장, 한일관계, 역사왜곡, 식민사관, 타율성이론
  • 서재필 계몽구국의 실천가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정치가평론 서재필 계몽구국의 실천가 정치·법제 문헌 현대 1974년 10월 이 월간중앙 79 평론 11 이 글은 서재필의 전기를 그의 업적, 특히 독립신문과 독립협회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고 있는 글이다. 이은 서재필이 민중...
    대표표제어서재필 계몽구국의 실천가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이현종 | 출처월간중앙 79 | 키워드서재필, 독립신문, 독립협회, 갑신정변, 독립문
  • 명조의 대일정책에 대하여 김용기 33 삼포왜란후 왜인접대무역에 대하여 이 51 부산 조계고 김용욱 75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2
  •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1665年( 6) 2卷 H7, p.10. 駒沢大学図書館 濯足/106 전체 제공 駒沢大学電子貴重書庫
    대표표제어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4 | 대표서명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 한글서명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문촬요(禪文撮要) 13 禪門撮要 선문촬요 형태서지 [鏡虛 編] [朝鮮] [韓國] 1663年( 4) 2卷2冊 東京大學インド哲學佛敎學硏究室 無 東...
    대표표제어선문촬요(禪文撮要) 13 | 대표서명禪門撮要 | 한글서명선문촬요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1)

  • 19세기 중반 성(城)의 개축 시기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 조선 중기(선조~, 1567-1673) / 조선 후기(숙종 이후, 1674-1813) 없음 대동지지 없음 행정_129_19세기_중반_성(城)의_개축_시기 행정_129_19세기_중반_성(城)의_개축_시기.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318)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4401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28면 김;金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면 노상동 27;경상북도 예천군 예천면 노상동 27(농업) 新令 제3회...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5095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27면 김;金 醴泉郡 예천면 노상동 27 제3회 192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44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0면 범;範 제3회 1943년 3월 2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07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6면 범;範 제2회 1942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1860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82면 7. 졸업;13) 경성전수학교 제1회 졸업자 (1917년 3월) 이;李 (출신)전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4)

주제어사전(738)

  • / [역사/조선시대사]

    1641(인조 19)∼1674( 15). 조선 제18대 왕. 효종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장유의 딸 인선왕후이다. 비는 김우명의 딸 명성왕후이다. 1649년(인조 27) 왕세손에 책봉되었다가 효종이 즉위하자 1651년(효종 2)에 왕세자로 진봉되었다. 은 효종

  • 시호등망단 / 諡號等望單 [정치·법제]

    조선의 제18대 국왕 이 승하한 뒤 시호, 묘호, 전호, 능호를 의정하기 위해 1674년(숙종 즉위년) 8월 빈청에서 올린 대행대왕시호등 망단. 이 망단은 시호를 '순문숙무경인창효(純文肅武敬仁彰孝)'로, 묘호를 '()'으로, 전호를 '효경(孝敬)'으로, 능

  • 왕세손()정명망단 / 王世孫()定名望單 [정치·법제]

    인조의 손자, 즉 효종의 원자()의 이름을 의정하기 위해 1648년(인조 26) 9월에 빈청에서 인조의 낙점을 바라며 올린 왕세손정명 망단. 이 망단은 그 이름 글자로 '군, 우, 원'의 세 자를 써 삼망으로 올린 것인데, 이에 대해 인조는 세 번쩨 글자에 점을

  • 왕세손()정자망단 / 王世孫()定字望單 [정치·법제]

    효종과 인선왕후 사이에 태어난 왕세자()의 자를 의정하기 위해 1651년(효종 2) 6월에 빈청에서 국왕의 낙점을 바라며 올린 왕세자정자 망단. 이 망단은 왕세자의 자로 '경직, 언직, 건중'을 써 삼망으로 올린 문서인데, 이에 대해 효종은 첫 번째의 망 '경직'

  • 나주 / 羅州 [지리/자연지리]

    지명. 궁예가 고려 태조로 하여금 공취케 한 금산군(錦山郡)을 나주(羅州)로 개칭하고, () 때에 나주목(羅州牧)으로 된 것이 조선왕조에 들어서도 그대로 습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