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헌관” 에 대한 검색결과 6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5)

사전(295)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제사(祭祀) 때에 잔을 신위(神位)에 올리는 제관(祭官). 초헌(初獻)ㆍ아헌(亞獻)ㆍ종헌(終獻) 등 3(三)이있다. 큰 제사에서는 임금이 초헌(初獻)을, 왕세자가 아헌(亞獻)을, 영의정이 종헌(終獻)을 하는데, 일반 제사에서는 문무 당상관이 이를 맡아 하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나라에서 제사를 지낼 때 임시로 임명되는 제관. [내용] 일반적으로는 제사를 지낼 때 제관을 대표해 잔을 드리는 사람을 말한다. 술잔을 올리는 순서에 따라 초(初)‧아(亞)‧종(終)으로 나눠지며, 초은 그 제사에...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에서 제사를 지낼 때 임시로 임명하던 제관.
    정의나라에서 제사를 지낼 때 임시로 임명하던 제관.[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heon-gwan | MR표기hŏn’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관(祭官) 아(亞), 종(終), 초(初) 삼헌(三獻) 정치행정/관직·관품 개념용어 대한민국 정종수 [정의] 제사 때 술잔을 올리는 제관들을 통칭하여
    상위어제관(祭官) | 하위어아헌관(亞獻官), 종헌관(終獻官), 초헌관(初獻官) | 관련어삼헌(三獻)
  • 중봉조계유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봉조계유품조사보고서』(최순희, 문화재관리국, 1989) 조헌 관련 유품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조헌의 유물. 보물 제1007호. 충청남도 금산 칠백의총관리소 소장. 교서. ...
    연계항목중봉조헌관계유품(重峰趙憲關係遺品)

고서·고문서(234)

  • 禘 十【論肆ㆍ饋食,非禘ㆍ祫之謂】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620 春秋考徵 二 ITKC_MP_0597A_0620_010_0140 禘 十【論肆ㆍ饋食,非禘ㆍ祫之謂】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
    권차명春秋考徵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甲辰年 正月에 幼學 李東相을 종으로 薦望하는 望記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954 1683_01 甲辰年 正月에 幼學 李東相을 종으로 薦望하는 望記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시선 종가, 일상생활, 문중생활, 첩관통보류, 통보류, 망기 한자 고문서 SL139.JPG 甲辰年 正月에 幼學 李東相을 종...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具萬會를 龍山報德壇 享禮時 終으로 임명하는 망기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4255 2568_01 具萬會를 龍山報德壇 享禮時 終으로 임명하는 망기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증빙류, 망기 한자 고문서 KBR125.JPG 具萬會를 龍山報德壇 享禮時 終으로 임명하는...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具萬會를 龍山報德壇 享禮時 終으로 임명하는 망기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4256 2568_02 具萬會를 龍山報德壇 享禮時 終으로 임명하는 망기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증빙류, 망기 한자 고문서 KBR125.hwp 龍山報德壇 享禮時終獻 望 幼學具萬會 癸未二月...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具滋亨을 流巖壇所 享禮時 으로 임명하는 망기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4257 2569_01 具滋亨을 流巖壇所 享禮時 으로 임명하는 망기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증빙류, 망기 한자 고문서 KBR126.JPG 具滋亨을 流巖壇所 享禮時 으로 임명하는 망기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구술자료(5)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0여년 전 부터이다. 무당하는 남자를 화랭이, 여자는 무당이라 부르고, 자인읍에도 있었다. B면 1. 군수의 역할: 예전에는 초헌, 아헌, 종헌 등을 군수가 하였다. 송영신사를 부르고 난 뒤 알짜를 이 인도하였다. 2. 진장: 진장이라는 것은 ‘장수’라는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호기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0여년 전 부터이다. 무당하는 남자를 화랭이, 여자는 무당이라 부르고, 자인읍에도 있었다. B면 1. 군수의 역할: 예전에는 초헌, 아헌, 종헌 등을 군수가 하였다. 송영신사를 부르고 난 뒤 알짜를 이 인도하였다. 2. 진장: 진장이라는 것은 ‘장수’라는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재규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0여년 전 부터이다. 무당하는 남자를 화랭이, 여자는 무당이라 부르고, 자인읍에도 있었다. B면 1. 군수의 역할: 예전에는 초헌, 아헌, 종헌 등을 군수가 하였다. 송영신사를 부르고 난 뒤 알짜를 이 인도하였다. 2. 진장: 진장이라는 것은 ‘장수’라는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동필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0여년 전 부터이다. 무당하는 남자를 화랭이, 여자는 무당이라 부르고, 자인읍에도 있었다. B면 1. 군수의 역할: 예전에는 초헌, 아헌, 종헌 등을 군수가 하였다. 송영신사를 부르고 난 뒤 알짜를 이 인도하였다. 2. 진장: 진장이라는 것은 ‘장수’라는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천병천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0여년 전 부터이다. 무당하는 남자를 화랭이, 여자는 무당이라 부르고, 자인읍에도 있었다. B면 1. 군수의 역할: 예전에는 초헌, 아헌, 종헌 등을 군수가 하였다. 송영신사를 부르고 난 뒤 알짜를 이 인도하였다. 2. 진장: 진장이라는 것은 ‘장수’라는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용득

신문·잡지(67)

  • 오월 삼십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죠셔샤 경효뎐 쟉헌례시에 찬례이하와 이하 별단을 써 들이라고 옵시고 죠셔샤 관왕묘 슈즁건에 감동 당샹과 랑쳥을 별단을 써 들이고 관왕묘 환안에 진니와 각차비이하 별단을 써 들이고 관왕묘 뎐작례시 이하 별단을 써들이고 동묘 북묘 도 일톄로...
    게재일1899년 5월 31일 | 기사분류관보
  • 宮內府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상폐하게압셔 홍릉 유릉에 친졔압실 아이하와 홍릉뎨죠이하와 유릉 슈릉관이하와 죵 별죵을 모다 별단셔입라 셧더라
    게재일1907년 10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平壤公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양군슈의 뎐보 거즉 북방에셔것쳐 올나오난 일본병뎡이 본군에 도착야 련쟝은 동방에 거쳐고로 먼져뎐보다엿더라
    게재일1905년 10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농상공부 참셔관 김용슌씨 유경원 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농상공부 참셔관 김용슌씨 유경원 졍죠 제 으로 가셔 거 지 아니 닭에 면본관 야 법부로 징판 라 옵시고 제관 긴 겸 쟝례도 면본관 셧더라
    게재일1900년 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십일월 이십오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부협판 리만교 상소 비지에 양말고 공라옵시다 특진관 윤용션 변통  비지에 특별히 변통엿스니 경은 그 헤아릴 일 노디방관을 보여 뎐유옵시고
    게재일1898년 11월 26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4)

  • 고구려 고모가 당나라에 귀부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번역】 고모(高牟)는 적당한 시기를 포착하여 긴급문서가 담긴 봉투를 들고 귀순하니, 운휘장군(雲麾將軍)·행좌령군위익부중랑장(行左領軍衛翊府中郞將)을 제수하였다. (「高牟 墓誌銘」: 2013 󰡔韓國史學報󰡕 53) 【원문】 候靑律以輸誠 依白囊而 授雲麾將軍 行左領軍...
    대표표제어고구려 고모가 당나라에 귀부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8년(戊辰/신라 문무왕 8/고구려 보장왕 27/唐 乾封 3, 總章1/倭 天智 7)
  • 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月所炤 共被深仁 臣地隔蓬·壺 天慈洽遠 郷睽華夏 睿渥覃幽 伏視瓊文 跪披玊匣 含九霄之雨露 帶五彩之鵷鸞 辯惠靈禽 素蒼兩妙 或稱長安之樂 或傳聖主之恩 羅錦彩章 金銀寳鈿 見之者爛目 聞之者驚心 原其之功 實由先祖 錫此非常之寵 延及末孫 微効似塵 重恩如嶽 循涯揣分 何以上酬 詔饗志廉内...
    대표표제어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 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伏惟陛下 執象開元 聖文神武 應千齡之昌運 致萬物之嘉祥 風雲所通 咸承至徳 日月所炤 共被深仁 臣地隔蓬·壺 天慈洽遠 郷睽華夏 睿渥覃幽 伏視瓊文 跪披玊匣 含九霄之雨露 帶五彩之鵷鸞 辯惠靈禽 素蒼兩妙 或稱長安之樂 或傳聖主之恩 羅錦彩章 金銀寳鈿 見之者爛目 聞之者驚心 原其之功 實由...
    대표표제어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 신라 성덕왕이 당 현종에게 보낸 표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華夏 睿渥覃幽 伏視 視 : 󰡔全唐文』에는 覩로 나온다 瓊文 跪披玉匣 含九霄之雨露 帶五彩之鵷鸞 辯 辯 : 『책부원귀』와 󰡔全唐文』에는 辨로 되어 있다. 惠靈禽 素蒼兩妙 或稱長安之樂 或傳聖主之恩 羅錦彩章 金銀寳鈿 見之者爛目 聞之者驚心 原其之功 實由 由 : 󰡔全唐...
    대표표제어신라 성덕왕이 당 현종에게 보낸 표 | 주제분류외교문서

연구과제(1)

  • 일제 강점기 이왕가(李王家)의 종묘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욱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제사 때에 잔을 신위에 올리는 제관. 초헌ㆍ아헌ㆍ종헌 등 3이 있다. 큰 제사에서는 임금이 초헌을, 왕세자가 아헌을, 영의정이 종헌을 하는데, 일반 제사에서는 문무 당상관이 이를 맡아 하였다. 이때 대체로 2품 이상이 임명되었으나, 2품 이상으로 적당한 사람이

  • 청재감 / 淸齋監 [정치·법제/법제·행정]

    . 청재(淸齋)에 관한 일은 ()이 주로 맡아 하였다.

  • 망예위 / 望瘞位 [정치·법제]

    망예는 제향에서 헌작, 음복례, 철변두의 의식을 끝내고 행하는 마지막 의식이다. 초 또는 아이 망예위에서 북향하여 서면 집사자들이제물을 구덩이에 두고 흙으로 반쯤 덮었다.

  • 재령향교 / 載寧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재령군 재령읍 향교리에 있는 향교. 1574년(선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집례방(執禮房)·장의방(掌議房)·방(

  • 풍기향교 / 豐基鄕校 [교육/교육]

    심루(養心樓)와 동재(東齋)·서재(西齋)가 소실되었다. 1971년에 실(室)을 보수하고 1977년에 대성전을 중수하였으며, 1980년에 명륜당을 중건하였다. 1983년에 서무(西廡)를 보수하고 1985년에 동무(東廡)를 중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