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허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9)
사전(50)
- 금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허형(許炯)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9년 허형의 아들 허채(許埰)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강(李堈)‧이대영(李大榮)‧이덕응(李德應)‧송성기(宋聖基)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허채의 후지가 있다.
- 허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문선왕에게 오랑캐에게 복종해 섬긴 죄를 질책당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허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독립운동사자료집』1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 『동아일보』(1919.8.28) 허형(1894-1963) 1894(고종 31)∼1963. 독립운동가.
- 許衡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S_0226 許衡 인물 孔子廟, 國學 宣德, 嘉靖 宣聖廟, 大德間, 京師, 夷狄, 夷狄, 夷狄, 夷, 夏 許衡, 劉因, 夫道, 孔子, 元世祖, 哈剌哈孫, 成宗, 閻復, 衡, 哈剌哈孫, 孔子, 聖人, 衡, 衡, 衡 S_22_01_3...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2권 1장 3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허형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27(세종 9)∼1477(성종 8). 조선 전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양천(陽川). 유년부터 궁사에 능하여 내금위(內禁衛)에 소속되었으며, 1453년(단종 1)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부사가 되었으며, 1455년(세조 1) 오위행사정...이칭별칭 양안(襄安)
고서·고문서(87)
- 經史門5_許衡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許衡 許衡之赴召, 謂劉因曰: “不如此, 道不行. 夫道之本, 本於孔子, 不尊孔子, 而道可行乎?” 元 世祖三年, 修宣聖廟, 此謂外郡也. 大德間, 有哈刺哈孫者, 言: “京師久闕孔子廟, 國學寓他署, 乃奏建廟、學, 選名儒, 爲學官, 採近臣子弟入學.” 意者, 其言未施也. 至成宗...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二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5 第五統統首許炯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九下西里 5 第五統統首許炯 第一新戶 使令許炯年參拾肆丁卯本김海父戒龍祖權曾祖海允外祖李光善本蔚山 妻김姓年參拾玖壬戌本慶州父光彦祖漢植曾祖元贊外祖文翊善本丹城子濠年 拾肆丁亥等丁酉戶口相准 第二戶 業儒...연도_면이름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九下西里
- 9 第九統統首許炯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3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九下西里 9 第九統統首許炯 第一戶 幼學許炯年參拾柒丁卯本김海父戒龍祖權曾祖海允外祖李光善本蔚山妻김姓年肆拾 肆壬戌本慶州父光彦祖漢植曾祖元贊外祖文翊善本丹城子濠年拾柒丁亥等庚子戶 口相准 第二戶 寡김...연도_면이름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九下西里
- 포켓 獨韓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포켓 獨韓辭典 인문학 독일어와문학 독일어학 포켓 獨韓辭典 허형근 許亨根 民衆書林 ; 民衆書館, 서울 1962 독한; 독일어...대표표제어포켓 獨韓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독일어와문학 | 소분류독일어학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30 B003830 강도 江都 정치행정 太宗實錄 十三年(1413) 二月 태종실록_11302008_003 ○始以漢江都相董仲舒、元中書左丞許衡, 從祀文廟, 罷莽大夫(楊雄)〔揚雄〕之祀, 埋雄神主于屛處。출처전거太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2)
- 宋時烈의 許衡 인식과 文廟黜享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1921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08 宋時烈의 許衡 인식과 文廟黜享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유형논문 | 게재일2008
- On the growth rate of solutions to Gross-Neveu and Thirring equations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허형진, 게재일 : 201458578 허형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수학회 2014 On the growth rate of solutions to Gross-Neveu and Thirring equations https://www.krm.or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40)
- 유네스코뉴스_1965_02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참가계획 허형택 31 유네스코 한위 뉴스 38 유네스코 관계 국제회의 안내(9월분) 42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陞嘉義 從二品朴義秉 陞正三品 六品沈相珏以上五月十一日 議官金永斗仝金演釆仝許玹仝裴永鎭仝宋益鉉依願免本官 正三品尹秉烈六品朴永大仝韓寅洙九品金東弼仝全胤錫任議官以上十二月十九日 六品宋昌浩九品洪鍾遠仝趙重吉仝李台榮解分侍御 李時鎔洪在天鄭煥鳳宋汶顯命分侍御以上十二月廿日게재일1904년 12월 23일 | 기사분류관보
- 법전월보_1966_02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일수벌금제를 제안한다 허형구 6 실화책임법을 재검토하라-이 법은 불합리하고 불공평한 법리론상의 난제를 무릅쓰고 있다 최룡환 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이왕에 셩진군 거 한진직과 허현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왕에 셩진군 거 한진직과 허현등이 길쥬와 셩진을 합군로 부에 루 호소야 길셩 량군을 합 엿더니 민폐가 만타야 도로 분군엿데 이번에 허형등이 부로 뎐보기를 셩진을 분셜면 셩은 젹고 역커셔 도탄즁에잇오니 만약 합군치아니면 셩이게재일1901년 5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검찰_1981_08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신임 정치근 검찰 총장 취임식 6 허형구 검찰 총장 퇴임식 6 농촌일손돕기 벼베기 행사 7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81
기타자료(20)
- 허형(허영);許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3676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109면 허형(허영);許瑩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영;許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489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42면 허영;許瑩 대구부 침산동 경북직물공업조합 제11회 193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특집 교육발전과 교육평가)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평가의 방향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행정 잡지 허형 許炯 1989 7 문교행정 91호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허형 | 사료철명문교행정
- 학교외 교육 그 효율성과 실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정범모, 박용헌, 허형 鄭範謨, 朴容憲, 許炯 1974 5 행동과학연구 RB-74-4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범모, 박용헌, 허형 | 사료철명행동과학연구
- 학습기능육성 프로그램의 단기활용효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학 잡지 허형, 김언주, 이칭찬, 김종건, 김순택, 최원형 許炯, 金彦柱, 李稱粲, 金鍾健, 金純澤, 崔源亨 1975 11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허형, 김언주, 이칭찬, 김종건, 김순택, 최원형 | 사료철명행동과학연구
주제어사전(4)
-
허형 / 許炯 [역사/근대사]
1894-1963년. 독립운동가. 평안남도 안주 출신. 1919년 3·1운동 후에 서울에서 조선독립청년단을 조직,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안국동 이도제(李道濟)의 집에서 노령(露領)지방의 이동휘(李東輝)가 경상북도 경주에 거주하는 최익선(崔益善)에게 보내는 “우리들의
-
급고재문집 / 汲古齋文集 [종교·철학/유학]
피력한 것이다. 이 가운데 「허형론(許衡論)」은 원나라 2대 학자 중 한 사람인 허형에 관한 논술로, 허형이 아합마(阿哈馬)의 권력 남용을 비판하고 벼슬을 그만두었던 고사를 예로 들어 공리에 치우치지 말고 의리상에 밝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
안향 / 安珦 [종교·철학/유학]
1243-1306. 고려 충렬왕때의 유학자. 우리나라에 주자학을 최초로 도입하였다. 1290년 원나라에 가서 <주자전서>을 보고 유학에 심취하여 돌아왔다. 그후 주자학 연구에 몰도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유학은 원나라 허형의 학풍이었다. 유교의 효, 충, 신, 경,
-
금호집 / 錦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허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9년 허형의 아들 허채(許埰)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강(李堈)·이대영(李大榮)·이덕응(李德應)·송성기(宋聖基)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허채의 후지가 있다. 권1·2는 시·서(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