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한봉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7)
- 한봉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6∼? 독립운동가. [내용] 호는 금산(錦山). 경상남도 밀양 출신. 국권이 일본에게 침탈당하고 일제의 무단정치가 극악해짐에 따라 만주의 길림성(吉林省)으로 망명하여 김원봉(金元鳳)‧황상규(黃尙奎)‧이종암(李鍾岩) 등을 만나 독립운동...이칭별칭 금산(錦山)
- 신철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김원봉‧곽경(郭敬)‧양건호(梁建浩)‧서상락(徐相洛)‧한봉근(韓鳳根)‧김옥(金玉, 일명 相允)‧이성우(李成宇)‧윤소룡(尹小龍) 등과 같이 파호내외(巴虎內外)에서 의열단(義烈團)을 결성하고 독립운동을 위한 결사대로서 조선총독을 비롯한 일본고관의 암살 및 중요기관의 파...이칭별칭우룡(愚龍)|용(龍)
- 한봉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8∼1968. 독립운동가. [내용] 경상남도 밀양 출생. 1919년 만주 길림성(吉林省) 길림(吉林)에서 김원봉(金元鳳)‧이성우(李成宇)‧서상락(徐相洛)‧한봉근(韓鳳根) 등과 함께 의열단(義烈團)을 조직, 독립운동을 위...
- 이성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봉근(韓鳳根)ㆍ곽재기(郭在驥)ㆍ신철휴(申喆休) 등과 같이 의열단을 조직하였다. 총독부고관 사살, 주요기관 폭파 등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김원봉과 함께 상해에 가서 폭탄 20여개와 권총, 탄환 약 100발을 구입하였다. 1920년 5월 곽재기ㆍ황상규(黃尙奎)...이칭별칭성우(成宇)
- 곽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金奇得) 등과 만주 길림성 동녕현 소유분(東寧縣小綏芬)으로 갔다. 이 해 11월 9일 소유분에서 김원봉(金元鳳)‧황상규‧한봉근(韓鳳根)‧신철휴(申喆休)‧이종암(李鍾巖)‧이성우(李成宇)‧윤소룡‧서상락(徐相洛)‧한봉인(韓鳳仁)‧배중선(裵重宣)‧이낙준(李洛駿)‧강세우...이칭별칭 경(敬)
신문·잡지(4)
- 조선인민군_1950_0824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오기찬 【○○전선에서 특파기자 김창길발】 리화령 일대 고지들에서 문경을 해방시키기위한 공격의 불길이 올랐을 때였다. ○○○고지와 무명고지들에서도 적들의 완강한 저항을 뚫고 아군 보병 1개중대는 적한개 대대에 대하여 진공을 개시하였다. 이때에 전사 한봉근동...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824_03 | 책임주필오기찬
- 투사신문_1950_0610_0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37 한호 평양시 민흔리 15 투사신문사 한봉근, 한두식, 강영자, 최동열, 주기겸 학생들의 수학실력제고와 학업의욕을 더욱 앙양시키기 위하여 지난 4월 27 8 량일에 개최되었던 초 고중과 사□의 졸업반 학생들의 수학경연대회의 결과가 6월 3...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610_02_01 | 책임주필한호
- 투사신문_1950_0610_0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37 한호 평양시 민흔리 15 투사신문사 한봉근, 한두식, 강영자, 최동열, 주기겸 학생들의 수학실력제고와 학업의욕을 더욱 앙양시키기 위하여 지난 4월 27 8 량일에 개최되었던 초 고중과 사□의 졸업반 학생들의 수학경연대회의 결과가 6월 3...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610_02_01 | 책임주필한호
- 교원신문_1950_0610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중학교 1등 함흥 제1고급중학교 2등 평양 제1고급중학교 3등 원산 고급중학교 / 사범전문학교 1등 함흥 남자사범전문학교 2등 함흥 녀자사범전문학교 학생별(1등은 생략) : 초급중학교 1등 한봉근 함흥 제5중학교 2등 한두식 함흥 제5중학교 2등 강영자 함흥 제2녀자...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50_0610_03 | 날짜1950년 6월 10일 | 책임주필김한성
주제어사전(2)
-
한봉근 / 韓鳳根 [역사/근대사]
1896년∼미상. 독립운동가. 호는 금산(錦山). 경상남도 밀양 출신. 정권이 일본에게 침탈당하고 일제의 무단정치가 극악해짐에 따라 만주의 길림성(吉林省)으로 망명하여 김원봉(金元鳳)·황상규(黃尙奎)·이종암(李鍾岩) 등을 만나 독립운동에 헌신할 것을 결의, 의열단(義烈
-
한봉인 / 韓鳳仁 [역사/근대사]
1898년∼1968. 독립운동가. 경상남도 밀양 출생. 1919년 만주 길림성(吉林省) 길림(吉林)에서 김원봉(金元鳳)·이성우(李成宇)·서상락(徐相洛)·한봉근(韓鳳根) 등과 함께 의열단(義烈團)을 조직, 독립운동을 위하여 무력으로 투쟁할 것을 모의하고 군자금을 조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