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열단” 에 대한 검색결과 1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2)

사전(127)

  • 배중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3(고종 30)∼1944.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행농(倖儂). 경상남도 마산 출신. 1919년 11월 만주 길림성(吉林省)에서 김원봉(金元鳳) 등 동지 12명과 을 조직하여 항일무력투쟁을 전개할 것을 결의하고, 1차 행동...
    이칭별칭행농(倖?)
  • 박재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립운동가들과 교유를 가졌다. 1920년 8월 장 김원봉(金元鳳)과의 연락으로 상해로 가 에 입단하고, 9월 상순 고서(古書) 짐 속에 폭탄을 숨겨 일본 나가사키(長崎)를 거쳐 13일 부산에 돌아왔다. 이튿날 부산경찰서로...
  • 박봉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8∼1945. 독립운동가. [내용] 경상북도 예천 출신. 1934년 만주에서 김시현(金始顯)이 조직한 ()에 입단하여 활동하였으며, 1941년 항일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쟁하다가 붙잡혔다.
  • 유병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7∼? 독립운동가. [내용] 경상북도 안동 출신. 1922년 ()에 가입하여 김시현(金始顯)ㆍ김지섭(金祉燮)ㆍ권정필(權正弼)ㆍ황옥(黃鈺) 등과 함께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장 김원봉(金元鳳)의 지...
  • 권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졸업하였다. 1921년 북경에서 동지들과 ()을 창단하고, 이후 의 종로경찰서‧총독부‧동양척식회사에의 투탄사건과 동경 니쥬바시투탄의거(二重橋投彈義擧) 때 자금조달의 활동을 하다가 국내에서...
    이칭별칭 백인(百忍), 양무(揚武)|중환(重煥)|장수화(張樹華)

고서·고문서(8)

  • 최경학 판결문(崔敬鶴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 깊은샘, 2000). 이 사건을 주제로 한 김영범의 논문(「1920년 밀양 항일폭탄의거의 배경과 전말―崔壽鳳의 생애 행로와 의 초기 동향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85)에서는 ‘기적비의 銘을 따라’ 수봉을 사용하고 있다. 본 해제는 판결문에...
    제목최경학 판결문(崔敬鶴 判決文) | 사건유형폭발물단속벌칙, 건조물손괴, 구내침입 | 소장처국가기록원
  • 1913년 안동군 풍남면(豊南面) 하회동(河回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점기에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배출되었다. 먼저 柳道發과 아들 柳臣榮은 1910년 한일병합의 소식을 접하고 자정순국하였고, 柳秉夏는 , 柳炤佑와 아들 柳時保, 조카 柳時熏은 광복군, 柳時彦과 柳昶佑는 임시정부의 군자금 모집 등으로 활동을 하였다. 柳點登은 3・1만세운...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 고인덕, 백희원 판결문(高仁德, 白熺元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펴보자. 고인덕은 밀양읍교회를 설립한 고삼종의 아들로 1887년 밀양읍내에서 출생하여 대구계성중학교를 다녔고 1918년에는 독립운동을 위해 고향을 떠나 상해, 길림, 안동 등지를 돌아다니다가 김원봉 등이 조직한 원이 되었으며 폭탄제조법을 익힌 후 1920년 9월...
    제목고인덕, 백희원 판결문(高仁德, 白熺元 判決文) | 사건유형1919년 제령 제7호 위반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 이순재 외 3인 판결문(경성복심법원,고등법원)( 李淳載 等 判決文(大正8年形控第1552號, 경성지방법원) 李淳載 等 判決文(大正8年形控第499號, 경성복심법원) 李淳載 等 判決文(大正8年形上第722號, 고등법원))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했던 조선(朝鮮)에 승려출신이었음에도 선전부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중국 북경에서 요주의 인물이 되어 광동으로 활동무대를 옮겨 광동성 광주시 소재 중산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였다. 그 당시 조선인 혁명가 수백 명과 함께 광동코뮨에 참여했으나 실패하였다....
    제목이순재 외 3인 판결문(경성복심법원,고등법원)( 李淳載 等 判決文(大正8年形控第1552號, 경성지방법원) 李淳載 等 判決文(大正8年形控第499號, 경성복심법원) 李淳載 等 判決文(大正8年形上第722號, 고등법원)) | 사건유형출판법, 보안법 위반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 이광주 주세령 위반 피고사건 판결문( 李廣州 酒稅令 違反 被告事件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으로 국내에 들어왔다가 자신의 집에 찾아와 독립운동자금을 요구한 원 윤병구, 유석현, 김지섭 등을 일본 경찰에 밀고하여 체포하도록 했다. 이후 해방될 때까지 조선총독부 판사로 재직했다. 해방 후 1945년 10월 미군정청에 의해 경성지방법원 판사에서 해임되었다....
    제목이광주 주세령 위반 피고사건 판결문( 李廣州 酒稅令 違反 被告事件 判決文) | 사건유형주세령 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신문·잡지(16)

  •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조선 제3차 전국대표대회 선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조선 제3차 전국대표대회 선언 조선 제3차 전국대표대회 선언(朝鮮第3次全國代表大會宣言) 미기재 조선(朝鮮) 만주(滿洲) 조선_1929년 3월 2일 ...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조선의열단 제3차 전국대표대회 선언 | 출판물명조선의열단 제3차 전국대표대회 선언(朝鮮義烈團第3次全國代表大會宣言)
  • 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조선 중앙집행위원회 창립 9주년을 기념하여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조선 중앙집행위원회 창립 9주년을 기념하여 창립 9주년을 기념하여 미기재 조선 중앙집행위원회(朝鮮 中央執行委員會) 지나(支那) 조선_1928년 11월 24일 ...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조선의열단 중앙집행위원회 창립 9주년을 기념하여 | 출판물명창립 9주년을 기념하여
  •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조선 중앙집행위원회 “3·1”10주 선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조선 중앙집행위원회 “3·1”10주 선언 “3·1”10주 선언(“三一” 十週 宣言) 미기재 조선 중앙집행위원회(朝鮮 中央執行委員會) 지나(支那) 조선_1929년 ...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조선 의열단 중앙집행위원회 “3·1”10주 선언 | 출판물명“3·1”10주 선언(“三一” 十週 宣言)
  • 일본 사람이 본 조선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9) 참정권 문제 일본 사람이 본 조선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23년 5월 1일 일기자 개벽 제35호 평론 2 이 기사는 사건 이후 조선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에 대해 일본 신문에서 어떻게 다루는지를...
    대표표제어일본 사람이 본 조선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일기자 | 출처개벽 제35호 | 키워드조선의 민족운동, 조선의 사회운동, 의열단 사건, 조선 독립운동
  • 일본 사람이 본 조선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6) 자치운동 일본 사람이 본 조선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23년 5월 1일 일기자 개벽 제35호 평론 2 이 기사는 사건 이후 조선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에 대해 일본 신문에서 어떻게 다루는지를 살...
    대표표제어일본 사람이 본 조선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일기자 | 출처개벽 제35호 | 키워드조선의 민족운동, 조선의 사회운동, 의열단 사건, 조선 독립운동

기타자료(1)

  • 정의, 이승만, 김구, 신익희, “대한”, 테러, 모스크바3상회의   소련군 총정치부 제7국장 대리 B. 사포즈니코프 전연방볼쉐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 수슬로프 러시아국립사회정치사문서보관소
    키워드김정의, 이승만, 김구, 신익희, “대한의열단”, 테러, 모스크바3상회의 | 대표주제어없음  | 발신자소련군 총정치부 제7국장 대리 B. 사포즈니코프 | 수신자전연방볼쉐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 수슬로프

주제어사전(30)

  • / [역사/근대사]

    1919년 11월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당시 만주와 중국 본토지역에 조직된 많은 독립운동단체가 미온적이고 온건한 독립운동을 전개한다고 판단, 이에 대한 반성으로서 과격하고 급진적인 폭력투쟁을 목적으로 하였다. 은 의거 외에도 제3차 폭탄계획·대구부호

  • 니주바시투탄의거 / 二重橋投彈義擧 [역사/근대사]

    1924년 원(員)인 김지섭(金祉燮)이 일본 천황을 살해할 목적으로 일본 궁성을 습격, 투탄한 의거. 1923년 9월 일본 관동대지진 당시 수많은 한국인이 일본의 군·관·민에 의해 학살당하자, 이 결사 단원을 일본에 파견하여 일제의 주요 기관을 파괴하

  • 김원봉 / 金元鳳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98∼?). 3·1운동 소식이 전해지자 그는 폭탄제조법을 습득하는 등 일제와의 무장투쟁노선을 분명히 하여 6년여에 걸쳐 단장으로 대규모암살계획 및 경찰서·동양척식주식회사 등에 대한 폭탄투척사건 등을 배후에서 지휘 조종하였고,

  • 부산경찰서폭탄투척의거 / 釜山警察署爆彈投擲義擧 [역사/근대사]

    1920년 9월 14일 원 박재혁이 부산경찰서에 들어가 서장에게 폭탄을 던진 의거. 박재혁은 1920년 9월 초 상해를 떠나 나가사키로 향하였다. 박재혁은 서장과 면회가 되어 단독으로 탁자 하나를 사이에 두고 대좌하여 고서를 보여주는척하다가 폭탄과 전단을 꺼내어

  • 황포탄의거 / 黃浦灘義擧 [역사/근대사]

    1923년 에서 전개한 의열사들의 항일의거. 1923년 3월 28일 일본군 육군대장 다나카가 필리핀 마닐라로부터 귀국하는 도중에 상해에 도착하였다. 이 정보를 사전에 입수한 항일운동단체인 에서는 다나카를 사살할 것을 결정하고 치밀한 거사 계획을 세웠다.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