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표영준”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6∼?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최승환(崔昇煥). 평안남도 강동출신. 1919년 3‧1운동 직후 만주로 망명하여 활동하다가 국내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할 목적으로 귀국하였다. 1920년 임시정부특파원 김석황(金錫璜)과 평양 기홀병원(紀...
    이칭별칭최승환(崔昇煥)
  • 의용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19년 평양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내용] 1919년 음력 4월 초순에 홍석운(洪錫雲)ㆍ김송혁(金松赫)ㆍ주석환(朱錫煥)ㆍ()ㆍ유영삼(劉英三)ㆍ여행렬(呂行烈) 등은 평양의 기홀병원(紀笏病院)에서 상해 임시정부의 특파원...
  • 유성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 활동했다. [생애와 활동사항] 유성삼은 1919년 3월 강동군(江東郡) 삼등면(三登面)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했다. 그리고 일제의 검거를 피해 ()‧주석환(朱錫煥) 등과 함께 중국으로 망명하여 서간도 유하현(柳河縣)에 본부를 둔 무...
  • 대한독립의용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朱錫煥)‧임승업(林承業)‧이기영(李起榮)‧김의창(金義昌)‧()‧유성삼(劉成三) 등과 함께 각지의 독립운동단체를 통합하여 국내독립의용단을 조직하고 각 지방에 지단도 설립하게 되었다. 국내의 단장에는 홍석운, 총무는 여행렬이 맡고, 수안(遂安)‧강동(江東...
  • 여순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원도로 가서 의병을 일으켜 항전하였다. 1919년 3ㆍ1운동 이후 유성삼(劉成三)ㆍ이수영(李秀英)ㆍ주석환(朱錫煥)ㆍ()ㆍ명덕상(明德相) 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단에 가입하여 훈련부장으로 활동하였으며, 그해 11월에는 안동현...
    이칭별칭오순근(吳淳根)

고서·고문서(1)

  • 사법품보(司法稟報) 15-123 [대한제국기 재판기록 자료집성 및 DB-사법품보(司法稟報) 역주- | 덕성여자대학교]
    15-123-056 수감 중 사망한 강도 의 처리에 대해 충청북도 재판소에서 보고하다【119가-나】--193 ●15-123-057 법부 훈령으로 수감 중인 죄수들의 머리를 짧게 깎고 아울러 형명부를 올리며 평안북도 재판소에서 보고하다【119다-120라】--194 ...
    자료유형고서.고문서 | 자료문의덕성여자대학교 사법품보 번역 역주팀(연구책임자 : 한상권 교수)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96년∼미상. 독립운동가. 일명 최승환(崔昇煥). 평안남도 강동 출신. 1919년 3·1운동 직후 만주로 망명하여 활동하다가 국내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할 목적으로 귀국하였다. 1920년 임시정부 특파원 김석황(金錫璜)과 평양 기홀병원(紀笏病院: 미국인이 경영하는 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