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패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18)
사전(62)
- 패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승정원의 승지가 임금의 명령을 받아서 신하를 부르는 일. 명패(命牌)에 부르는 사람의 이름을 써서 전달하여 오게 함. 至於陳箚辭職也 聞貴院將欲還却辭箚 有牌招之擧云, 홍중보(洪重普), 05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패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급사태가 발생하였거나 야간에 긴급히 대면할 필요가 있을 때 패초하였다. 먼저 승지에게 부를 신하의 직위와 성명을 말하여 ‘명(命)’자를 쓴 목패에 쓰게 한 뒤 승정원의 액례(掖隷)를 시켜서 부르게 한다. 패초의 유명한 사실은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반정을 계획한...
- 패초(牌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패초 패초 牌招 명소(命召), 명초(命招), 패소(牌召) 명패(命牌), 주패(朱牌), 청패(靑牌) 정치행정 개념용어 조선 조선 문숙자 [정의] 왕이 주요 관원들을 부를 때 승정원에 명패(命...동의어명소(命召), 명초(命招), 패소(牌召) | 관련어명패(命牌), 주패(朱牌), 청패(靑牌)
- 拔草驗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A0_D_0028 拔草驗旱 천문(기타) 樂天亭 英廟 寶鑑 D_11_02_01 대동운부군옥 11권 2장 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2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패부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패초(牌招)로 부르는데 가지 않는다는 뜻. 패초는 나무 조각(牌)에 부를 사람의 이름을 적어 불러들이는 일을 말하는데, 임금의 부름을 받고도 병이나 기타 사고로 대궐에 나아가지 아니하는 일을 말함. 頃以牌不進之故 方在應罷中 注擬間事 非所與聞 以試當懇通於銓官爲計, 송규...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750)
- 조선시대 역학서:1715_역어유해(補)_稗草 피ㅅ집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역어유해보 122 1715_역어유해(補) 稗草 피ㅅ집 1715역어유해보_43a.jpg 稗草 피ㅅ집 麥稈 보리ㅅ집 碎米 아기 曬穀子 곡식 볏 다 菉豆芽 녹두 기름 枕頭瓜 선동화 倭瓜 호박 南瓜 再生草 움 小根菜 랑귀 野蔥 류-1蒿菜 평지 蔥筆管 파ㅅ죵지 培本 붓도...편명1715_역어유해(補)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제29회 함흥부회회의록 발초(第29回 咸興府會會議錄 拔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제29회 함흥부회회의록 발초(第29回 咸興府會會議錄 拔抄) 회의록 1937년 03월 23일 關藤唯平(부윤) 齋地健治郞(19) 宮川庄太郞(부속), 涌澤元三郞(부기사) 關藤唯平(부윤), 篠崎新(21), 李翊華(22) 의제1호 1937...대표표제어제29회 함흥부회회의록 발초(第29回 咸興府會會議錄 拔抄) | 건명제29회함흥부회회의록 | 회의년월1937년 03월 | 회의일23일 | 키워드진료소사용조례, 공회당사용조례, 오물소제신영사업비, 공익질옥자금, 시가지계획, 토지평수할, 부동산처분
- 당유자(唐柚子)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0022 B040022 당유자 唐柚子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34年 6月 25日_025 矣。 上命東昇書之曰, 修撰李瀰只推, 牌招察任, 正字金履獻, 陳書下答云, 一體牌招察任。 上曰, 李瀰陳書下答後, 本館請牌可也, 金履獻當連請牌矣。 東昇曰, 上下番俱空, 則雖齋日請牌招...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당유자(唐柚子)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0037 B040037 당유자 唐柚子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34年 6月 25日_025 矣。 上命東昇書之曰, 修撰李瀰只推, 牌招察任, 正字金履獻, 陳書下答云, 一體牌招察任。 上曰, 李瀰陳書下答後, 本館請牌可也, 金履獻當連請牌矣。 東昇曰, 上下番俱空, 則雖齋日請牌招...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142 B036142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3年 4月 12日_016 ○韓致應啓曰, 熊川縣監權顯中, 南海縣令元永卨, 兩司當爲署經, 今日政新除授臺諫, 竝待下批牌招, 與大司憲鄭尙愚, 大司諫李翼晉, 一體牌招, 以爲署經之地,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지부생활_1989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장언 19 반부패초병들-왕청림산지구기층법원 지도일군들의 사업에서 김영림 21 뢰물앞에서 고월경 등 22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9
- 국제영화_1960_06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경쟁으로 우승열패초래 편집부 42 위기에 직면한 극장정률세시비-문교부-과세와 국산영화제작계의 진로 유성열 43 위기에 직면한 극장정률세시비-극장...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0
- 조선신문_1947_053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혜와 그 용기를 가지고 일하고 있다. (뿌라우다紙 所載 論文 拔抄)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530_02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기타자료(3)
- 신라에서 왜에 간 질(質) 미질허지벌한(微叱許智伐旱)이 신라로 돌아오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病者 旣知欺而捉新羅使者三人 納檻中以火焚而殺 乃詣新羅 次于蹈鞴津 拔草羅城還之 是時 俘人等 今桑原佐糜高宮忍海凡四邑漢人等之始祖也 (『日本書紀』 9 神功紀)대표표제어신라에서 왜에 간 질(質) 미질허지벌한(微叱許智伐旱)이 신라로 돌아오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05년(乙酉/신라 나해이사금 10/고구려 산상왕 9/백제 초고왕 40/後漢 建安 10/倭 神功 5)
- 신라에서 왜에 간 질(質) 미질허지벌한(微叱許智伐旱)이 신라로 돌아오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津彦曰 微叱許智忽病之將死 襲津彦使人令看病者 卽知欺 而捉新羅使者三人 納檻中 以火焚而殺 乃詣新羅 次于蹈鞴津 拔草羅城還之 是時俘人等 今桑原 佐糜 高宮 忍海 凡四邑漢人等之始祖也 (『日本書紀』 9 神功皇后 攝政紀) 『日本書紀』 신공황후 섭정 5(205년)조의 기사이지만 내용상...대표표제어신라에서 왜에 간 질(質) 미질허지벌한(微叱許智伐旱)이 신라로 돌아오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18년(戊午/신라 눌지마립간 2/고구려 장수왕 6/백제 전지왕 14/東晉 義熙 14/倭 允恭 7)
- 진해안골동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패총의 형성시기를 어떤 한 시기로 비정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또 표토층과 패각층의 퇴적시점이 다른 점, 출토유물이 패각층의 규모에 비해 소량인 점등으로 패초의 성격을 결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발굴조사 당시 고고학 조사의 한계점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기...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부산지방해양수산청/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1)
-
패초 / 牌招 [정치·법제/법제·행정]
로 되어 있었다. 주간에는 승정원에 명령을 내려 필요한 관원의 입시를 명하지만 긴급사태가 발생하였거나 야간에 긴급히 대면할 필요가 있을 때 패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