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통훈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72)
사전(140)
- 통훈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문신 정3품 하계(下階)의 품계명. [내용] 문산계에서는 정3품 상계인 통정대부 이상을 당상관(堂上官)이라 하고, 하계인 통훈대부 이하를 당하관(堂下官)이라 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
- 계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정3품 하계(下階) 문‧무관의 품계. [내용] 관리들의 정규적인 진급 상한선이었던 당하관(堂下官) 최고위계로서 자궁(資窮)이라고도 한다. 동반은 통훈대부(通訓大夫), 서반은 어모장군(禦侮將軍)이 이에 해당한다. 이 위계까...이칭별칭자궁(資窮)
- 숙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외명부(外命婦)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3품 당하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3품의 당하관인 통훈대부(通訓大夫)‧어모장군(禦侮將軍)의 적처(嫡妻)와 종3품의 중직대부(中直大夫)‧중훈대부(中訓大夫)‧건공장군(建功將軍)‧보공장군...
- 당하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조의(朝議)를 행할 때 당상(堂上)의 교의 (交椅)에 앉을 수 없는 관원 또는 그 관계(官階). [내용] 동반(東班)은 정3품(正三品)의 통훈대부(通訓大夫) 이하, 서반(西班)은 어모장군(禦侮將軍) 이하, 종친(宗親)은 창선대부...
- 주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꿈에 대사에게서 받은 글제를 과거 시험에 내지만 그 뜻을 풀지 못하다가 과거에 합격한 민시영의 사연을 듣고 시영을 주서 겸 승문원 전적 통훈대부 여주목사에 제수한다. 또한 윤처자의 정성을 헤아려 별도로 숙부인 차첩을 내린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1)
- 〈당악유사〉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1.12.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亨仲 柳眉岩日記, 宣廟朝 栗谷集, 經筵日記 有明朝鮮國通訓大夫掌樂院正知製敎李公碣銘 朴訥齋行狀 振威縣令林公碑銘 通訓大夫行韓山郡守柳公墓表
고서·고문서(1,130)
- 한원진 통훈대부 사헌부집의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1747년(乾隆12) 10월 13일에 韓元震을 通訓大夫司憲府執義로 임명하는 告身이다. 통훈대부는 문관의 정3품 하계인 堂下官의 관계이다. 사헌부는 時政에 대한 탄핵, 百官에 대한 규찰, 풍속을 바로잡고, 寃抑을 펴며, 僭濫虛僞의 금지 등의 임무를 맡았다. 본 고신은...분야문학 | 유형문헌
- 通訓大夫行奉常寺副正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476 1330_01 通訓大夫行奉常寺副正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일상생활,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HJ013.JPG 通訓大夫行奉常寺副正 敎旨 國王 鄭從韶 成化 4년(1468) 12...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通訓大夫行奉常寺副正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477 1330_02 通訓大夫行奉常寺副正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일상생활,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HJ013.hwp HJ013 敎旨 鄭從韶 爲通 訓大夫行奉 常寺副正者 成化四年十二月十日 정...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통훈대부(通訓大夫) 전(前) 행사헌부장령(行司憲府掌令) 묘갈명병서(墓碣銘幷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증왕고통훈대부이천도호부사부군가장(曾王考通訓大夫利川都護府使府君家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행장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신문·잡지(1)
- 죵이품 리항의 가의를 승고 참위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겸임 고 통훈대부 샤헌부 쟝령 리진은 졍삼품 통졍대부 비서원승을 중고 궁부 특진관 남졍쳘은 분 의원경을 뎡고 경묘뎐 뎨됴 죠졍희 궁부 특진관을 명고 샹의샤 쥬 김지낙 희릉 참봉 권건셥은 의원면 본관 고 경모뎐령 리뎐용은샹의샤 쥬를 임고 경모뎐...게재일1899년 11월 28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29)
-
통훈대부 / 通訓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3품 하계의 품계명. 문산계에서는 정3품 상계인 통정대부 이상을 당상관이라 하고, 하계인 통훈대부 이하를 당하관이라 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3품 상계는 통정대부, 하계는 통훈대부로 정하여져 ≪경
-
당하관 / 堂下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조의를 행할 때 당상의 교의 에 앉을 수 없는 관원 또는 그 관계. 동반(東班)은 정3품의 통훈대부(通訓大夫) 이하, 서반(西班)은 어모장군(禦侮將軍) 이하, 종친(宗親)은 창선대부(彰善大夫) 이하, 의빈(儀賓)은 정순대부(正順大夫) 이하의 품계를 가진 사
-
송병선사헌부지평고신 / 宋秉璿司憲府持平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2월에 송병선을 통훈대부 사헌부지평에 임명하는 고신. 통훈대부는 문관의 정3품 하계인 당하관이다. 3품 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관교에 해당, 국왕의 명으로 발급되어 문서의 시작부분에 '교지'라는 문구가 있다. 사헌부에는 대사헌 1명, 집의 1명,
-
송병선사헌부집의고신 / 宋秉璿司憲府執義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8월에 송병선을 통훈대부행사헌부집의로 임명하는 고신.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의 관계이다. 사헌부에는 대사헌 아래 집의 1인, 장령ㆍ지평 각 2인, 감찰 24인의 관원을 두고 있다. 본 고신 은 정3품 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로 국왕의 명령으로 발급
-
숙인 / 淑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3품 당하 작호. 문무관 정3품의 당하관인 통훈대부(通訓大夫)·어모장군(禦侮將軍)의 적처(嫡妻)와 종3품의 중직대부(中直大夫)·중훈대부(中訓大夫)·건공장군(建功將軍)·보공장군(保功將軍)의 적처에게 내린 작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