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충청감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9)
사전(98)
- 安完慶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877 安完慶 인물 登第, 忠淸監司, 絞死 魯山癸酉 廣州 我世宗, 安平 D_17_02_06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河崙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822 河崙 인물 佯醉覆盤, 忠淸監司, 靖安君, 王子, 傾覆之患, 定社之功 我太宗, 太宗 叢話 D_04_04_62 대동운부군옥 4권 4장 6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4장 6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挈眷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022 挈眷 관직 方伯, 限二周年, 交替, 忠淸監司, 公州牧使, 全羅監司, 慶尚監司, 大丘府使, 設營, 率眷久任, 言者, 凡事不能耐久, 施行, 擇人 西北兩界, 下三道, 全州府, 我國 J_04_01_01 지봉유설 4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柳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372 柳雲 인물 登第, 豪邁, 小節, 忠淸監司, 己卯禍, 大司憲, 黨人, 奸人, 田里, 憂懣, 詩詞, 豪放 燕山甲子 文化 從龍, 恒齋 進修楷範 D_12_04_04 대동운부군옥 12권 4장 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4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李元禮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J_0098 李元禮 인물 天下, 模楷, 去聲, 協韻, 錯認, 平聲, 博雅, 忠淸監司, 敎書, 淸風, 峻節, 茂德, 高名, 山斗, 精英 曹梅溪, 孫舜孝, 韓吏部, 沈一松, 謫仙 J_07_02_03 지봉유설 7권 2장 3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7권 2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29)
- 충청감사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464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충청감사 〈ad〉忠公郡州外面玉龍里三六三〈/ad〉 〈in〉安乘文君報〈/in〉 〈#157〉 한아 둘 셋 넷 단자 엿자 일곱나라 충청감사 기 〈d〉1930.08.09.〈/d〉구분창가
- 乙卯冬至忠淸監司陳賀箋文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1650 乙卯冬至忠淸監司陳賀箋文 정약용(丁若鏞) 公車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公車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丙辰正朝忠淸監司陳賀箋文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1660 丙辰正朝忠淸監司陳賀箋文 정약용(丁若鏞) 公車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公車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乙卯九月廿一日大殿誕日陳賀箋文 【在金井時代忠淸監司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1640 乙卯九月廿一日大殿誕日陳賀箋文 【在金井時代忠淸監司作】 정약용(丁若鏞) 公車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公車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거아도(居兒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943 B017943 거아도 居兒島 도서 충청남도 承政院日記 英祖 47年 3月 17日_024 ○以忠淸監司權噵狀啓, 泰安等官居兒島沙格徐莫述等渰死燒死事, 傳于洪樂純曰, 令本道恤典擧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충청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충청감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전라북도 완주 | 제보자이낙순
기초학문(1)
- 조선후기 충청감사와 청주수령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8858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연구회 2004 조선후기 충청감사와 청주수령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4
주제어사전(8)
-
충청감사 / 忠淸監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사법·행정·군사적 권한을 지닌 종2품 관직. 조선 초기에는 일반 행정과 군정이 구별되어 있었으나, 태종 이후 감사가 병마절도사·수군절도사·순찰사를 겸하였다. 또한 감영 소재지의 부윤(府尹)이나 목사(牧使)의 직책까지도 겸하게 됨으로써
-
신후명 / 申厚命 [종교·철학/유학]
1638(인조 16)∼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여길 증손, 할아버지는 상철, 아버지는 형구, 어머니는 성시헌의 딸이다. 1666년(현종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병조좌랑, 형조참판, 충청감사 등을 역임하였다.
-
이경선 / 李慶善 [종교·철학/유학]
1600∼1636, 조선후기 유학자. 이시발의 서자, 오윤겸의 사위이다. 1624년(인조 2) 진사시에 합격, 1632년(인조 10) 문과에 급제했는데, 병자호란 당시 남포현감으로 재직했다. 전쟁이 발발하자 충청감사 정세규의 명령에 따라 군사를 모집하여 광주 험천까지
-
분산회복사은가 / 墳山恢復謝恩歌 [문학/고전시가]
일어난 투장(偸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송사(訟事)에 응한 후, 60여 년이 지나 팔순을 바라보는 날까지 선산 문제로 다투던 모습과 충청감사의 판결과 중재로 선산을 회복한 후의 기쁨 및 감사의 은혜에 감사함을 읊은 가사이다.
-
삼례집회 / 參禮集會 [역사/근대사]
1892년 10월과 11월에 걸쳐 동학교도가 최제우의 신원(伸寃)을 요구하며 전라도 삼례에서 개최한 집회. 이미 공주에서 집회해 충청감사 조병식에게 최제우의 신원을 요구하였다. 다른 집회지를 찾던 중 전라도뿐 아니라 충청도의 교도들도 쉽게 참석할 수 있는 교통의 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