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호준”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8∼1945. 독립운동가. [내용] 황해도 재령 출신. 재령의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졸업하였다. 재령군일대의 궁장토(宮庄土)가 일제의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로 넘어가 농민들이 소작농으로 전락하고 동양척식주식회사...
  • 최세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3(고종 20)∼1939.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우화(宇和). 황해도 재령 출신.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졸업하고 동창인 나석주(羅錫疇)‧김덕영(金德永)‧() 등과 함께 3‧1운동에 참여하였다. 만주에 본부를
    이칭별칭우화(宇和)
  • 나석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덕영(金德永)‧() 등 50명의 동지들과 항일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무기를 구입한 뒤 군자금 모금 활동, 친일파 숙청 등을 전개하였다. 이들은 사리원 최병항(崔秉恒)과 안악 원형로(元炯潞) 등의 부호로부터 독립운동 자금을 건네 받아 중국 상해에 수립된 대한민...
    이칭별칭마중달

고서·고문서(3)

  • 49697 B049697 덕진 德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17年 12月 15日_034 ... 姜五成啓本中東里僉使許?, 勉在終始爲目, 則宜置中考, 而置諸上考, 位羅萬戶徐廷潤, 弛禁宜警爲目, 文山萬戶丁昌百, 嶺飭或疎爲目, 長壽別將, ?勉禁斫爲目, 則竝宜置下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微謗, 校宜加?爲目, 則宜置下考, 而置諸中考, 殊無嚴明殿最之意, 各該道帥臣, 推考警責, 東里僉使許?, 彌助項僉使池得球, 赤梁僉使李大興, 德津萬戶劉寬澤, 車嶺僉使金鼎澤, 古城僉使高應濂, ?怪萬戶具命德, 竝中考施行, 位羅萬戶徐廷潤, 文山萬戶丁昌百, 長壽別將, 濟物萬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손해금 배상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ノ爭點ハ被告カ白菜ヲ收去シタルハ不法行爲ニ基因シタルモノナルヤ否ヤ及ヒ其損害ノ數額如何ヲ決スルニ在リ仍テ審按スルニ被告カ其代理人名義ヲ以テ原告ノ私有位土ト城山里所在ノ被告ノ垈田半日耕ト交換セシカ爲メ孝昌園令ニ對シ其旨ノ請願ヲ爲シ且同一趣旨ヲ以テ掌禮院卿ニ對シテ亦其請願ヲ爲シタルコトハ乙第一號第...
    재판기관경성구재판소(京城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02월 20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신문·잡지(1)

  • 조선출판경찰월보 011호 전투적 조선 노동자 제군에게 격함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11호 전투적 조선 노동자 제군에게 격함 전투적 조선 노동자 제군(戰鬪的 朝鮮勞動者 諸君)에게 격(檄)함 미기재 조선노동조합본부(朝鮮勞動組合 本部) () 병고현(兵庫縣) 조선_...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11호 전투적 조선 노동자 제군에게 격함 | 출판물명전투적 조선 노동자 제군(戰鬪的 朝鮮勞動者 諸君)에게 격(檄)함

기타자료(3)

  • (특집 학습평가2) 교육평가의 방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80 9 교육경남 70호 경상남도교육위원회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호준 | 사료철명교육경남
  • (특집 학습지도) 교육 기, 교재와 학습지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81 9 교육경남 74호 경상남도교육위원회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호준 | 사료철명교육경남
  • (특집 과학기술 교육) 과학적 사고와 일상생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잡지 1983 12 교육경남 83호 경상남도교육위원회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호준 | 사료철명교육경남

주제어사전(3)

  • / [역사/근대사]

    1898-1945. 독립운동가. 황해도 재령 출신. 재령의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졸업하였다. 재령군일대의 궁장토(宮庄土)가 일제의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로 넘어가 농민들이 소작농으로 전락하고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소작료착취가 강화되자, 나석주(羅錫疇)·김덕영(

  • 최세욱 / 崔世郁 [역사/근대사]

    1883-1939. 독립운동가. 일명 우화(宇和). 황해도 재령 출신.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졸업하고 동창인 나석주(羅錫疇)·김덕영(金德永)·() 등과 함께 3·1운동에 참여하였다. 주에 본부를 둔 한족회(韓族會)에 가입하였으며, 1919년 김덕영을 상해(

  • 김덕영 / 金德永 [역사/근대사]

    나석주(羅錫疇) 의사와 더불어 활약하면서 해외에서 구입한 권총을 소지하고 있었다. 나석주·()·최세욱(崔世郁)·박정손(朴正孫)·이시태(李時泰) 등과 함께 사리원(沙里院) 시북리(市北里)의 부호였던 최병항(崔秉恒)의 집에 들어가 권총으로 위협하고 군자금 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