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인” 에 대한 검색결과 2,0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08)

사전(290)

  • 임호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유학자 악(岳)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연활자본. 1936년 손자 관섭(觀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종렬(金鍾烈)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관섭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서...
  • 이명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1939) 등이 있다. 발성영화시대에 들어서의 촬영활동으로서는 고려영화사(高麗映畫社)가 제작한 규(圭) 감독의 「수업료(授業料)」(1940), 전창근(全昌根) 감독의 「복지만리(福地萬里)」(1941) 등의 뛰어난 작품이 많다....
  • 별들의고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호(浩)가 지은 장편소설. [개설] 1972년 9월 5일부터 1973년 9월 14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되었고, 이후 1973년 예문관에서 상ㆍ하 두 권으로 출간하였다. 한 젊은 여성의 성적 편력을 통해 1970년대 소비문화의
  • 타인의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호(浩)가 지은 단편소설. [개설] 1971년 『문학과 지성』 봄호에 발표되었다. [내용] ‘그’라는 한 사내가 저녁 늦게 직장에서 귀가하여 아내가 문을 열어 줄 것을 기대하고 초인종을 누르나 아무런 대답이 없자,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영남병마사 두경승의 휘하 무장(武將)이다. 성주로 귀양 가던 신계진이문경 새재에 이르러 계완의 뇌물을 받은 금부나장(禁府羅將) 모춘삼과 진철이 죽이려는 찰나 계진을 구원하며, 계진의 성품에 매우 감동하여 흠모하게 된다. 호남지방의 수적(水賊)김사미가 진도에서 난을 일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논문(2)

고서·고문서(932)

  • 의 챤숑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5578 창가 챵가집 22032 1915년 2월 6일 발행 1920년 9월 1일 재판 발행 안애리(安愛理) 베어드 선교사 부인 平壤鐘路 耶蘇敎書院, 京城鐘路 朝鮮耶蘇敎書會 배위량(裵緯良) 베어드 선교사 村岡平吉(촌강평길) 의 챤숑...
    구분창가 | 편저자안애리(安愛理) 베어드 선교사 부인
  • 10 第十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七高山坊 10 第十統統首卜 統第一戶所等里來府案付司僉寺奴減貢束伍軍卜年參拾貳癸巳本慶州父寺奴仁上祖寺奴士孫曾祖時連外祖寺奴 莫金本蔚山母驛女召史前妻故後妻驛女德今年參拾乙未本慶州父驛吏洪士卜祖驛吏應億曾...
    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七高山坊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4년_청양면(靑良面) 1864년 청양면(靑良面) 第三十一山下里 1 第一統統首直 第一戶 幼學直年伍拾乙亥本慶州父學生之默祖學生翼龍曾祖學生仲伯外 祖學生吳載厚本海州妻김氏年肆拾玖丙子本김海父學生禹貞祖學生得寶曾 祖學生俊三外祖學生嚴瓊燁本寧越子童蒙斗滿年...
    연도_면이름1864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三十一山下里
  • 3 第三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4년_외남면(外南面) 1864년 외남면(外南面) 第六江月里 3 第三統統首達 第一戶 幼學達年參拾捌丁亥本慶州父學生思鳳祖學生翼柱曾祖學生再弼 外祖學生김器奕本김海妻千氏年參拾捌丁亥本安東父學生斗臣祖學生鳳 翼曾祖學生錫潤外祖學生김裕道本김海弟渭達年參拾乙...
    연도_면이름1864년_외남면(外南面) | 면이름외남면(外南面) | 마을이름第六江月里
  • 7 第七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3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四路北里 7 第七統統首老 第一戶 業武老年伍拾甲寅本慶州父莫乃祖哲奉曾祖富支外祖不知率人女姜 召史年伍拾甲寅等庚子戶口相准 第二戶 寡鄭召史年肆拾捌丙辰本東萊父莫石乙祖先得曾祖仁哲外祖不知女年...
    연도_면이름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四路北里

구술자료(5)

  • 04_352 충남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홍성군_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아시매기소리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석택리 1987.3.30 素87-3-30①A (메)김세원 (받)석 김세원(1929년생.남.토민), 석(1932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1.느린소리
    녹음지역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석택리 | 녹음날짜1987.3.30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04_409 충남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홍성군_에야 덩어리 에야호소리 에야 덩어리 에야호소리 어양 어거리 류 만물소리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석택리 1987.3.30 素87-3-30①A (메)김세원 (받)석 김세원(1929년생.남.토민), 석(1932년생
    녹음지역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석택리 | 녹음날짜1987.3.30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이북 어요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F-098B.mp3 mp3 이보형 운 1918 남자 함경남도 이원군 동면 군선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인운
  • 이호철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하, 전두환, 정을병, 정일권, 정주영, 정호웅, 조만식, 조영수, 조재천, 천관우, 최규종, 최성덕, 훈, 최일남, 최정휘, 최정희, 한남철, 한말숙, 한승헌, 한완상, 한재덕, 한하운, 홍상중, 황경진, 황석영, 황수율, 황순원, 건국준비위원회, 국가기획원, 나
    구술자이호철 | 직업작가(문인) | 지역함경도
  • 이계준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동, 송흥국, 안상윤, 안성결, 안상현, 안세희, 양희륭, 원일한, 유성덕, 유형기, 육완순, 윤병상, 은준관, 이극찬, 이기붕, 이상현, 이승규, 이재면, 정재식, 조승혁, 조화순, 주영광, 호, 함성국, 한승호, 함석헌, 홍기주, 조지 오글(George Ogle
    구술자이계준 | 직업목사 | 지역평안도

기초학문(66)

  • 훈 소설의 주체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윤의, 게재일 : 2010
    14526 양윤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0 훈 소설의 주체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훈 단편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세 영역 -훈과 라캉의 주체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기우, 게재일 : 2017
    17232 김기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훈 단편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세 영역 -훈과 라캉의 주체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훈 창작론과 `광장`의 상관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기우, 게재일 : 2014
    53544 김기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4 훈 창작론과 `광장`의 상관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호 소설에 나타난 집과 도시의 공간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유진, 게재일 : 2017
    62524 강유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문학회 2017 호 소설에 나타난 집과 도시의 공간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훈의 초기 비평 연구 - 참여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영훈, 게재일 : 2016
    62438 정영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문학회 2016 훈의 초기 비평 연구 - 참여의 의미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399)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煥(-) 해주 煥 - 海州面 南本町 - - 신발판매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仁煥(-)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신발판매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鎭(-) 개성 鎭 - 元町 661 - - 중개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仁鎭(-)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중개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鏞(-) 개성 鏞 - 池町 658 - - 금전대부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仁鏞(-)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금전대부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琪(-) 대구 琪 - 京町 2丁目 - - 매약상 - - -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寅琪(-)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매약상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塽(進興旅館) 서울 塽 進興旅館 淸進町 111 여숙업 - 하숙(下宿) - 22.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仁塽(進興旅館) | 지역서울 | 품목여숙업 | 영업종목하숙(下宿)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145)

  • 훈 – 고뇌하는 현대인의 문학적 형상_10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쓸쓸한 시인 7주차. 조지훈 – 전통적 운율과 미학을 결합한 현대의 선비 8주차. 김수영 – 현대성을 향한 모험 9주차. 박완서 – 울음과 증언의 소설 쓰기 58주차. 훈 – 고뇌하는 현대인의 문학적 형상 이만영 외 57인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외 5
    강좌제목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 | 강의자이만영 외 57인
  • 훈 – 고뇌하는 현대인의 문학적 형상_10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쓸쓸한 시인 7주차. 조지훈 – 전통적 운율과 미학을 결합한 현대의 선비 8주차. 김수영 – 현대성을 향한 모험 9주차. 박완서 – 울음과 증언의 소설 쓰기 59주차. 훈 – 고뇌하는 현대인의 문학적 형상 이만영 외 58인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외 5
    강좌제목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 | 강의자이만영 외 58인
  • 훈 – 고뇌하는 현대인의 문학적 형상_10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쓸쓸한 시인 7주차. 조지훈 – 전통적 운율과 미학을 결합한 현대의 선비 8주차. 김수영 – 현대성을 향한 모험 9주차. 박완서 – 울음과 증언의 소설 쓰기 60주차. 훈 – 고뇌하는 현대인의 문학적 형상 이만영 외 59인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외 5
    강좌제목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 | 강의자이만영 외 59인
  • 훈 – 고뇌하는 현대인의 문학적 형상_10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쓸쓸한 시인 7주차. 조지훈 – 전통적 운율과 미학을 결합한 현대의 선비 8주차. 김수영 – 현대성을 향한 모험 9주차. 박완서 – 울음과 증언의 소설 쓰기 61주차. 훈 – 고뇌하는 현대인의 문학적 형상 이만영 외 60인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외 6
    강좌제목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 | 강의자이만영 외 60인
  • 훈 – 고뇌하는 현대인의 문학적 형상_10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쓸쓸한 시인 7주차. 조지훈 – 전통적 운율과 미학을 결합한 현대의 선비 8주차. 김수영 – 현대성을 향한 모험 9주차. 박완서 – 울음과 증언의 소설 쓰기 62주차. 훈 – 고뇌하는 현대인의 문학적 형상 이만영 외 61인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외 6
    강좌제목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 | 강의자이만영 외 61인

기타자료(169)

  • 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20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철;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32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익;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5218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11年 1936―09―30 337면 갑;甲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01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0면 수;守 제12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3860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교우회지 제6호 1937―02―28 0 환;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9)

  • / [정치·법제/정치]

    1878~?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함흥 사람. 1904년 황실 유학생으로 도쿄부립제일중학에 입학, 일본유학생회를 조직하고 회장이 되었다. 1909년 메이지대학 법과 졸업, 천도교에 입교했다. 1919년 3.1운동때 민족대표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

  • 최린 /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고조부는 용소, 세창 증손, 할아버지는 복해, 아버지는 연년, 어머니는 이계전의 딸이다. 장인은 류계손이다. 1478년(성종 9)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출사하였다. 예문관검열, 병조참의, 장례원판결사 등을 역임하였다.

  • 최린 / [역사/근대사]

    1878-미상. 3·1독립만세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 호는 고우(古友), 도호(道號)는 여암(如庵). 함경남도 함흥 출신.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덕언(德彦)의 아들이다. 도필두(都必斗)에게서 한학(漢學)을 배우고, 18세에 상경하여 각지를 유람하였다

  • 범 /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검정 중등체육』·『체육원리』·『체육강화자료선』 등을 저술한 학자.체육학자. 1919∼1979. 평안북도 용천 출생. 한평생을 교직에 근무하면서 학교 체육 및 사회 체육 발전에 힘썼다. 길림사도대학(吉林師道大學) 체육과를 졸업하고 곧바로 교직에 투신, 목단강

  • 호 /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조선체육회 경기부장, 조선체육회 이사 등을 역임한 체육인. 1907∼? 경상북도 구미 출생. 대구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체육전문대학을 졸업하였다. 1931년 조선체육협회가 경성운동장의 준공을 맞아 개최하게 된 제7회 조선신궁경기대회의 육상 100m 종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