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최순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7)
- 최순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대사전』(이강훈, 대한민국광복회, 1985) 『독립운동사』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최순탁 ...
- 조선물산장려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집행하였다. 창립 총회에서 유성준(兪星濬)‧김철수(金喆壽)‧김윤수(金潤秀)‧김동혁(金東赫)‧최순탁(崔淳鐸)‧박붕서(朴鵬緖)‧김덕창(金德昌)‧최경호(崔敬鎬)‧고용환(高龍煥) 등 20인이 이사로 선출되었다. 같은 달 25일에는 당시 경기도 참여관이었던 유성준을 이사...
- 조선청년총동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영(李英)‧송봉우(宋奉瑀)‧최창익(崔昌益)‧이길용(李吉用) 등이며, 중앙검사위원은 한신교(韓愼敎)‧박헌영(朴憲永)‧최순탁(崔順鐸)‧강제모(姜齊模)‧주종건(朱鐘建) 등이다. 이로써 전국의 사회주의적 청년단체는 거의 망라되었으나 경찰이 그 해 7월 10일 3명 이상...
- 조선물산장려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월 3일 서울 천도교당에서 대(對)민중강연회를 개최되었다. 설태희(薛泰熙)의 개회사에 이어 이종린(李鍾麟)의 사회로 개최되었는데, 연사에는 최순탁(崔淳鐸)‧이갑성(李甲成)‧이돈화(李敦化)‧오화영(吳華英)이었고, 청중 2,000여 명이 입추의 여지없이 모이는 대성황을...이칭별칭물산장려운동
- 박헌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던 ≪동아일보≫에 기자로 입사하였다. 같은 시기에 국내 청년단체의 통일조직인 조선청년총동맹이 창립되자, 한신교(韓愼敎)‧주종건(朱鍾建)‧최순탁(崔順鐸)‧강제모(姜齊模) 등과 함께 중앙검사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24년 9월에는 홍증식(洪增植)...
기타자료(3)
- 최순탁;崔淳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272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69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4) 제4회(1914년) 최순탁;崔淳鐸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순탁;崔淳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8576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70면 1. 3. 각 과별 졸업생;1) 제1회 졸업생 (1919년 3월 졸업);(1) 문과 최순탁;崔淳鐸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순탁;崔淳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9494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74면 1. 3. 각 과별 졸업생;1) 제1회 졸업생 (1919년 3월 졸업);(1) 문과 최순탁;崔淳鐸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최순탁 / 崔淳鐸 [역사/근대사]
1892-1926. 독립운동가·사회운동가. 함경남도 함흥 출신. 1918년 함흥고등학교·함흥농업학교·영생중학교의 3·4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함산학우회(咸山學友會)를 조직하였다. 이듬해 3·1운동이 일어나 함흥에 독립선언서가 전달되자, 함산학우회 동지들과 3월 3일 함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