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최린” 에 대한 검색결과 2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4)

사전(65)

고서·고문서(50)

신문·잡지(80)

  • 출판경찰보 077호 토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077호 토서 토서(討書) 미기재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미기재 일본_1935년 1월 22일 금지 안녕 미기재 한국독립운동의 배신자 에 대한 필주(筆誅)...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77호 토최린서 | 출판물명토최린서(討崔麟書)
  • 옥 송병윤 리희연 리졍근 강병쥬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옥 송병윤 리희연 리졍근 강병쥬 김문긔 강시경 김홍국 윤귀 김룡 죠도현 김지한 셔셩환 오혜쥰 김영의 셩관영으로 뎐화과쥬를 임다
    게재일1903년 5월 4일 | 기사분류관보
  • 우익진영, 좌익진영(1) 「조선인징병」등을 어하는 시중회 수령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6) 자치운동 우익진영, 좌익진영(1) 「조선인징병」등을 어하는 시중회 수령 씨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36년 12월 1일 삼천리사 삼천리 제8권 제12호 평론 3 이 글은 시중회의 대표인 에게 당시 조선의 문제에 대해...
    대표표제어우익진영, 좌익진영(1) 「조선인징병」등을 어하는 시중회 수령 최린씨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삼천리사 | 출처삼천리 제8권 제12호 | 키워드최린, 내지연장주의, 조선인징병, 병역의 의무, 합법적 정치운동, 대조선국책, 조선 참정권, 내선 차별 철폐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任度支部書記郞 六品朴容俊 七月二十四日 六品李選鎬 六品植 任度支部稅務主事 八月三日 免本官 公立甑山普通學校教員朴榮龍 以上八月五日
    게재일1907년 8월 8일 | 기사분류관보
  • 찬설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호 贊說 1906.08.24.   4~5 7~8 () 대한제국     태극학보 창간에 대한 축사 태극(太極), 태극학보(太極學報)...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19)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2255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297면 2. 학생 및 생도 성명 (1939년 5월 말일 현재);6) 예과생도;(14) 이과 1학년 을류 1조(43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6984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3면 ; 경성부 桂町 37 1909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737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2면 ; 경성부 桂町 37 1909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3673 남한 경성 관립한성외국어학교 1-46 관립한성외국어학교일람 1909 49면 1 제6장 졸업생 (합병전);1) 일어학교 졸업생;(1) 제1회 용;溶 (졸업일자)1897년 12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관립한성외국어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인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32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최인익;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고조부는 용소, 세창 증손, 할아버지는 복해, 아버지는 연년, 어머니는 이계전의 딸이다. 장인은 류계손이다. 1478년(성종 9)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출사하였다. 예문관검열, 병조참의, 장례원판결사 등을 역임하였다.

  • / [역사/근대사]

    1878-미상. 3·1독립만세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 호는 고우(古友), 도호(道號)는 여암(如庵). 함경남도 함흥 출신.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덕언(德彦)의 아들이다. 도필두(都必斗)에게서 한학(漢學)을 배우고, 18세에 상경하여 각지를 유람하였다

  • 최인 / [정치·법제/정치]

    1878~?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함흥 사람. 1904년 황실 유학생으로 도쿄부립제일중학에 입학, 일본유학생회를 조직하고 회장이 되었다. 1909년 메이지대학 법과 졸업, 천도교에 입교했다. 1919년 3.1운동때 민족대표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

  • 대한민간정부 / 大韓民間政府 [역사/근대사]

    관 노백린, 법제부장관 이시영, 교통부장관 박용만, 노동부장관 문창범, 의정부장관 김규식, 총무부장관 등이 선임되었고, 임시 연락사무소는 천도교중앙총부 안에 두었었다.

  • 함태영 / 咸台永 [역사/근대사]

    3·1운동을 이끈 것은 주목할만하다. 이밖에도 천도교계와의 연락, 파리강화회의, 미국대통령에게의 독립선언서 발송, 독립선언서의 지방배포 등을 담당하는 등 주요역할을 하였으나, 자신은 다른 민족대표들이 잡힐 경우 그들의 가족을 보호하고 독립운동을 계속하기 위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