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초시” 에 대한 검색결과 3,2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28)

사전(63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科擧三層法)이 실시된 이후부터 문‧무과는 ‧복시(覆試)‧전시(殿試)를, 잡과와 생원진사시는 와 복시를 실시하였다. 단 한 차례의 시험으로 합격 여부가 결정되는 알성시(謁聖試)‧정시(庭試)‧절일제(節日製)‧황감제(黃柑製)와 같은 시험에는 이러한 구분이 없...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조선시대 각종 과거의 제1차 시험.
    정의고려‧조선시대 각종 과거의 제1차 시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osi | MR표기ch’o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D2_D_0031 불교 閭閻, 故都, 王宮, 佛宇 新羅, 松都 叢話 D_08_04_02 대동운부군옥 8권 4장 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4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거(科擧) 무과(武科), 문과(文科), 생원(生員), 진사(進士) 관시(館試), 무과(武科), 문과(文科), 원시(院試), 한성시(漢城試), 향시(鄕試)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상위어과거(科擧) | 하위어무과초시(武科初試), 문과초시(文科初試), 생원초시(生員初試), 진사초시(進士初試) | 관련어관시(館試), 무과(武科), 문과(文科), 원시(院試), 한성시(漢城試), 향시(鄕試)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聖)과 속(俗), 정신과 육체, 동양과 서양, 고전과 현대 등의 상반된 명제들 사이에서 신석초가 터득한 균형 감각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이 시집은 이러한 신석초의 문학적 경향에 대한 단초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석(...

고서·고문서(2,398)

  • 題李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30_0250 題李琴卷 정약용(丁若鏞) 序跋類|題跋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
    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3194 1893_01 呈石並序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황준량 종가, 일상생활, 사회관계, 시문류, 시문 한자 고문서 HJL278.JPG 呈石並序 詩文 미상 石樵 미상 23.5 1200 1매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送(項梁)渡江【進士狀元】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送(項梁)渡江【進士狀元】 39_121_074.jpg 送(項梁)渡江【進士狀元】 鄢郢寒日欲生曜, 鮑車忽駕沙丘路。 羣雄起應三戶謠, 一片乾坤漲塵霧。 將軍虎嘯會稽風, 八千健兒羶蟻聚。 殷通豎子一劍揮, 白晝吳中飛血雨。 臨江誓衆月星...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별시 ()가 열렸는데, 삼장(三場)이 될 것이라 한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1546_355_078 1546년3월 ○별시 ()가 열렸는데, 삼장(三場)이 될 것이라 한다. 1546년 3월 19일 병자, 청명함. ○별시 ()가 열렸는데, 삼장(三場) 삼장(三場) : 과거와 관계된 용어로 ‧覆試․殿試를 이르지만 여...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奉和聖製洗書禮【方言謂之冊施時】識喜【十二月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1560 奉和聖製洗書禮【方言謂之冊施時】識喜【十二月日】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9)

  • 선엽(蟬葉)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를 듣고 있다가 다 얘기를 해버려 할 말이 없다면서도 이야기를 받았다. 성음이 분명하고 구연력이 훌륭하여 메모를 하지 않아도 정리가 될 것 같아서 녹음만 했다. 74세의 고령인데 허리가 곧으며 기력이 있어 많은 이야기를 기대할 수 있었다.*
    조사일시1984-05-04 | 조사장소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 제보자박유현
  • 각 동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계속 제보자는 속초의 동(洞)의 유래에 대해 구연하였다.*
    조사일시1981-06-09 | 조사장소강원도 속초시 금호동 | 제보자김봉춘
  • 와 그의 누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효종과 그의 딸’ 이야기가 끝났다. 조사자가 북제주군에서 채록한 바 있는 것으로, 한효종의 딸처럼 힘세고 억척스러운 어느 며느리의 얘기를 소개하니, ‘이곳에는 그보다 더한 여자가 있다’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
    조사일시1981-05-11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 제보자김재현
  • 열두번에 과거 못한 근암공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야기는 다시 근암공에게로 옮아갔다. 김원락, 이승안 두 분이 말을 주고 받으면서, 최산림과 근암공은 삼종간 8촌이라고 했다. 두 사람이 동시에 살았다고 하며, 이승원은 이 두 사람이 양동(良洞)에 있는 자기 선조 회제(晦齊)의 비문을 함께 가서 보고 외운 일이 ...
    조사일시1979-02-24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현곡면 가정1리 | 제보자이승원
  • 강원도 속 이원군 민속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강원도 속 이원군 민속놀이 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I-310 3404 강원 대담조사자료 1) 강원도 속 이원군의 민속놀이에 대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윤호

기초학문(9)

  • 환경기설 입지갈등의 원인과 대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영채, 게재일 : 2000
    07556 윤영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행정학회 2000 환경기설 입지갈등의 원인과 대책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명말청대 원림을 후원하는 방식에 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행렬, 게재일 : 2008
    21577 이행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전통조경학회 2008 명말청대 원림을 후원하는 방식에 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夾注名賢十』 夾注 引用文獻 및 典故活用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은정, 게재일 : 2014
    59428 김은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고전학회 2014 『夾注名賢十』 夾注 引用文獻 및 典故活用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환경기설 입지갈등의 원인 규명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심문보, 게재일 : 2000
    06408 심문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부학회(구 대구경북행정학회) 2000 환경기설 입지갈등의 원인 규명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해석학에 있어서 자연의 문제-자연해석학의 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성환, 게재일 : 2010
    25069 최성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해석학회 2010 해석학에 있어서 자연의 문제-자연해석학의 정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80)

  • 함경도에 로 못 사은 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함경도에 로 못 사은 비록 원향이라도 항교 교슈[도유]를지못 규례이더니 경쟝이후에 과거가 업스 가 어잇스리오 남도각군 유향들이 근일에 관찰부에 호소야 군에 몃사식 바셔 교슈시보를 시겻다가 승차게 규뎡고남도각군에셔 시보로분 사이...
    게재일1901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本人東門外紙廛李奎炳許丁未六月日推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東門外紙廛李奎炳許丁未六月日推次當文一萬兩票遺失故玆以廣告內外國人間拾得休紙施行 松坡石村 姜文秀 告白
    게재일1907년 5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 東槐谷居李舜釆許七月日推次拾萬兩於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東槐谷居李舜釆許七月日推次拾萬兩於音一片路中遺失얏스니內外國人間誰某拾得休紙施行홈 校洞 李文餘 고
    게재일1906년 8월 22일 | 기사분류광고
  • 東槐谷居李舜釆許七月日推次拾萬兩於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東槐谷居李舜釆許七月日推次拾萬兩於音一片路中遺失얏스니內外國人間誰某拾得休紙施行홈 校洞 李文餘 고
    게재일1906년 8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이土亭里趙五衛將鍾文處에陰七月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土亭里趙五衛將鍾文處에陰七月日推次當坪二千三百八十兩於音一張과紙貨拾元一張과一元五張을並爲遺失故玆以廣布오니該於音은誰某拾得와도休紙施行홈 孔德里栗洞 金致福 告白
    게재일1906년 8월 24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3)

기타자료(80)

  •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 속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자치법규 교육행정 ...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속초시교육장 | 사료철명규칙공포원본
  • (순회 프로필) 박병도 속교육장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순회 프로필) 박병도 속교육장 (순회 프로필) 박병도 속교육장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원도교육위원회 | 사료철명강원교육
  • 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제8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제8호) 속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제8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자치법규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강원도 속초시 총무과 | 사료철명조례원본
  • 교육위원회회의규칙(10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위원회회의규칙(10호) 속교육위원회회의규칙(10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법규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속초시장 | 사료철명규칙원본
  • 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제41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제41호) 속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폐지조례(제41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자치...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강원도 속초시 총무과 | 사료철명조례원본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53)

  • / [정치·법제]

    고려·조선시대 각종 과거의 제1차 시험. 예조가 주관하는 문과·생원진사시, 그리고 병조·훈련원 등이 주관하는 무과 및 해당 관청에서 실시하는 잡과의 제1차 시험이 그것이다. 에는 관시·한성시·향시가 있었다. 관시는 문과에만 있던 시험으로 성균관 유생 중 원점 3

  • / 十 [문학/한문학]

    박인범(朴仁範), 최승우(崔承祐), 최광유(崔匡裕) 등 총 30인의 7언율시 각 10수(首)씩 300수를 뽑은 것이다. 당초의 이름은 『명현십(名賢十)』이며, 줄여서 『십』라 부르고, 후에 주석(注釋)을 가함으로써 『협주명현십(夾注名賢十)』라 한 것이

  • 의과 / 醫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전의감·내의원·혜민서 소속의 의관을 뽑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잡과시험. 다른 잡과와 마찬가지로 식년시와 증광시에만 설행되었고 와 복시만 실시되었다. 는 상식년 가을에 전의감에서 실시하였고, 복시는 전의감이 예조와 함께 설행하였는데, 그 시취액수는

  • 역어 / 譯語 [언어/언어·문자]

    갑국의 언어문자를 을국의 언어문자로 번역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 역과(譯科)·복시에 한학(漢學)·몽학(蒙學)·왜학(倭學)·여진학(女眞學)은 모두『경국대전』을 번역하게 하였다.

  • 본국검 / 本國劒 [정치·법제/국방]

    조선후기 관무재에 실시한 도검무예. ≪무예도보통지≫ 24기 중에 하나로 신라 화랑도들이 수련한 검술로 나오고 있다. 또한 황창랑의 검술에서 본국검이 유래되었다고 보고 있다. 본국검의 기법은 33세로 이루어져 있다. 이 본국검은 조선 중기 이후 보군의 관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