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참판” 에 대한 검색결과 6,6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55)

사전(3,7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의 1원을 감하여 종2품의 1원을 신설하였다. 이것은 2년 전에 정식으로 실시된 육조직계제(六曹直啓制)를 강화하기 위한 조처였으며, 또 1432년(세종 14) 3월 ‧참의 각각 1원을 증원한 것은 육조의 사무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143...
    이칭별칭아경|총랑|의랑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6조(六曹)에 속한 종2품의 관직.
    정의조선시대 6조(六曹)에 속한 종2품의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champan | MR표기ch’amp’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경(亞卿) 육조(六曹), 정경(正卿), 판서(判書) 참의(參議) 당상관(堂上官), 재상(宰相)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태종~고종 한충희 1416년(태종 16) 18...
    상위어육조(六曹), 정경(正卿), 판서(判書) | 하위어참의(參議) | 관련어당상관(堂上官), 재상(宰相)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씨부인의 아버지. 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552)

  • 答尹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80 文集 卷十八 ITKC_MP_0597A_0180_030_0300 答尹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宅 入納 栗里 洪生 上候書 自伏問蒙宥以來欲一 進謁而無誠不遂欲一修 敬而無梯不得尤切慕仰 之心竊伏念自此杜門讀 書木食澗飮以爲自靖之 計也耶伊川涪州以後 晦翁遇遯以後終是括囊 而不出一語今 台丈將何以出處乎願聞 之京鄕藉藉傳口某丈 復叫閶闔(土+中)以爲市虎 之傳不可盡信今聞的奇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시좌 장명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侍座 將命 謹封 竊惟僕之於台護視雖 非多日欽仰未嘗後人 然昔聞配島之駕在外 而曾不得遮路以奉 慰今有還山之報在邇 而又不得造軒以致賀 非本心如是勢有所使之 也恒切憧憧愧歎曷已嗚 呼台之有此行蔽一言 曰一國有光矣又自此而 推之不惟一國有光可謂 天下有光矣不惟...
    분야문학 | 유형문헌
  • 宅 入納 稽顙 謹封 天台洞 上候疏 基洙稽顙再拜白基洙罪逆深重 不自死滅禍延先考哀痛何及陽德 回泰伏惟 尊體頤養佳適麟抱安侍兼課 匪所聲息何間得聞否衛國盡 忠抗章斥和再渡南溟澹菴石室豈獨專美 於古耶夫人生天地間孰能無死生 無益於當時死...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비소 입납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匪所 入納 長城 金生上書 修政事以攘夷狄 者,春秋之大義,天地 之常綱,天下萬世,凡 惟血氣之類,莫不知 修攘之一大節也,而挽 近以來,人心滔滔沒於 黑夜,凶彼洋醜, 乘虛入卸矣,惟吾 明公一人,身任綱常,苦 心血誠,持斧封疏,明 天下之大義,立天下 之大經,繼作春秋之筆, 豈但爲宗祊...
    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3)

  • 호랑이가 지켜준 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면사무소를 통해서 옛날이야기를 구연할 만한 제보자로 안중현 제보자를 소개받았다. 죽산안씨 종친회에 참석하러 전주에 다녀온 두 제보자 를 안기현 제보자 자택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런데 면에서 소개받은 안중현 제보자보다, 제보자의 사촌동생인 안기현 제보자가 주...
    조사일시2010. 2. 23(화)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추동1길 12 안기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안기현, 안중현
  • 김정승의 도량에 감복한 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날이 어두워지자 “한 오분간 해도 되느냐."고 묻고 시작했다. 목이 쉬었다고 하면서 청중들의 반응을 살펴가며 열심히 구연했다.*
    조사일시1984-07-11 | 조사장소경상북도 구미시 원평1동 | 제보자이동현
  • 숙종대왕과 병조 된 더벅머리 총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 설화를 마치면서, 청중들에게 이제 집으로 돌아가자고 하면서 자리를 뜨려고 했다. 그러자 좌중에서 몇 편만 더 하고 가자고 권유했다. 권유를 받아들이면서 이것을 구연했는데, 책에 나오는 이야기라고 덧붙였다. *
    조사일시1984-07-26 | 조사장소경상북도 선산군 옥성면 | 제보자강순천

신문·잡지(80)

  • 舉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도 안악군 대덕방 거 백셩들이 부로 뎐보기를 이갓흔 흉년을 당야 백셩들이 살길이업더니 본방거 젼 류희풍씨와 그 젼오위장 류운혁씨가 백셩의 긔한을 불상히녁여 과곡식 일백삼십여셕을 비야 빈민을 진휼고로 몃쳔명이 살아낫시니 그 부의 혜이...
    게재일1902년 5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急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에 무병이 치야 젼 졍셰원씨 병나며 곳 쥭고 리교영씨는 셩묘로 파쥬를 지나다가 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9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츙쳥북도 츙쥬군 덕산면셩거젼 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쳥북도 츙쥬군 덕산면셩거젼 곽치년씨의장 졍삼품곽슈현씨의 효은고금에드무니 년젼에그 당 환후를당야 의원의말이 와 모칠이와 미리가 약이라 나 그맛참 동지달이라 구기극란터니 밧계 마리 마당에러지고 모칠이 쳠하로 나라들고 미리 얼...
    게재일1906년 8월 4일 | 기사분류광고
  • 죠민희씨가 별노히 유지 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죠민희씨가 별노히 유지 친구들과 합의 야 나라 일을 의론 스로 진신 협회를 셜시려  젼직이나 혹 현 관직이 잇 칙쥬임간 관인들이 일간 젼 편시셔로 모혀 의론 다더라
    게재일1898년 11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근일에 민 영쥬씨가 공쥬 관찰이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에 민 영쥬씨가 공쥬 관찰이나 진쥬 관찰를 다 소문이 잇 민 말이 츈쳔 관찰 김영쥰은 쟝단 군슈로 불과 몃날에 슈만량 장을 엿스되 관찰를  말이업스니 그 보국에 이라고 그러지 모로거니와 나 시험도 여 보지 아니고 시비 사...
    게재일1899년 1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328)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의 종2품 관직. 각 조에 1원이 있어 육조의 장관인 판서를 정경(正卿)이라 한 데 대하여 차관으로서 아경(亞卿)이라 하였다. 육조직계제를 강화하기 위해 1432년(세종 14) 3월 ·참의 각각 1원을 증원하였다. 그러나 1434년 다시 1원을

  • 흥도비음기 / 嚴興道碑陰記 [문학/고전산문]

    비음기. 강원도 영월에 귀양살이를 하던 단종(端宗)이 세조(世祖)에 의하여 죽자 당시 호장(戶長)이었던 엄흥도(嚴興道)가 시신을 거두어 장례를 치뤘다. 엄흥도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묘표(墓表)의 음기(陰記)로. 1722년(영조 48) 영월부사로 부임한 신광수(申

  • 엄흥도사제문 / 贈嚴興道賜祭文 [문학/고전산문]

    치제문. 강원도 영월에 귀양살이를 하던 단종이 세조에 의하여 죽자 당시 호장 엄흥도(嚴興道)가 시신을 거두어 장례를 치뤘다. 1758년(영조 34) 10월 28일 영조가 이조좌랑 권영(權潁)과 예조좌랑 이홍제(李弘濟)를 파견하여 엄흥도를 공조에 추증하고 치제한 제

  • 엄공시문 사제제문 / 贈嚴公施門 賜祭祭文 [문학/고전산문]

    제문. 강원도 영월에 귀양살이를 하던 단종이 세조에 의하여 죽자 당시 호장 엄흥도(嚴興道)가 시신을 거두어 장례를 치뤘다. 엄흥도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1788년(정조 12)에 창절서원과 엄공의 정문(旌門)을 중수하였는데, 서원 건물이 완성된 뒤 예전에 내려준 제문을

  • 송병선공조겸성균관좨주시강원찬선고신 / 宋秉璿工曹成均館祭酒侍講院贊善者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91년 4월 21일에 송병선을 가의대부공조겸성균관좨주시강원찬선가의대부로 임명하는 고신. 가의대부는 당상관 종2품이다. 2품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 국왕의 명령으로 발급되었으므로 문서의 시작부분에 '교지'라 하였다. 문서 왼쪽 간지 위에 붉은 색의 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