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찬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84)
사전(760)
- 찬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고치고 그 관원인 판관을 찬의로 고쳤다. 東西向左右通禮階下典儀位於東階下近東西向贊儀引儀在南差退又贊儀引儀位於西階下近西東向俱北上引儀設門外位, (책례1651/008ㄱ09~1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찬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인을 감원하고, 1466년 1월의 관제경정 때 찬의로 고친 것이다.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 찬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관직. [내용] 1902년 설치된 박문원(博文院) 소속의 관직으로서 칙임대우 2인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국내외 고금의 서적‧신문‧잡지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관이다. 찬의의 상위직에 칙임관이나 주임관(奏任官)의...
- 찬의(贊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찬의 찬의 贊儀 봉례(奉禮), 실직(實職), 참상관(參上官) 인의(引儀) 전의(典儀) 대치사관(代致詞官), 장례원(掌禮院), 통례문(通禮門), 통례원(通禮院)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근호상위어봉례(奉禮), 실직(實職), 참상관(參上官) | 하위어인의(引儀) | 동의어전의(典儀) | 관련어대치사관(代致詞官), 장례원(掌禮院), 통례문(通禮門), 통례원(通禮院)
- 진찬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왕‧왕비‧왕대비 등에게 진찬한 기록. [내용] 조선시대의 진찬의궤는 현재 7종이 있다. ① 1828년(순조 28)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순조에게 진찬한 기록으로, 3권과 권수‧부편 등 3책이며 필사본이다. ② 1...
단행본(1)
- 한국문학 속의 중국 담론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 한홍화... | 출판사 : 경진 | 출판일 : 2014.04.01분야문학 | 유형단행본제1부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중국 고려와 원(元)의 문학 교류 : 이제현을 중심으로 김윤식의 중국인식 : 영선사(領選使) 활동 시기를 중심으로 《승사록》에 나타난 최두찬의 이념과 실천, 그리고 강남
논문(2)
- 한국 무형문화재 관련 사전 편찬의 현황 및 방향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김윤지 | 게재정보 : 민족문화연구
- 한국문화 국영문 사전 편찬의 방향성 연구 [한국문화 국영문 사전 편찬 사업 | 서울대학교]저자 : 박소영 | 게재정보 : 한국언어문화학
고서·고문서(403)
- 진찬의궤(進饌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29년(순조29) 순조(純祖, 1790~1834)의 40세와 즉위 30년을 경축하기 위해 2월과 6월에 각각 거행된 두 차례의 연향(宴享)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 왕실의 연향은 ‘진연(進宴)’, ‘진찬(進饌)’, ‘진작(進爵)’ 등으로 지칭...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진찬의궤(進饌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48년(헌종 14)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의 육순(六旬)을 경축하기 위해 거행된 연향(宴享)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 왕실의 연향은 ‘진연(進宴)’, ‘진찬(進饌)’, ‘진작(進爵)’ 등으로 지칭되는데, 이는 보통 연향의 규모...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진찬의궤(進饌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68년(고종 5) 대왕대비(大王大妃)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의 회갑(回甲)을 경축하기 위해 거행된 연향(宴享)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 왕실의 연향은 ‘진연(進宴)’, ‘진찬(進饌)’, ‘진작(進爵)’ 등으로 지칭되는데, 이는 보통 연향의 규모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진찬의궤(進饌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77년(고종 14) 대왕대비(大王大妃)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의 칠순(七旬)을 경축하기 위해 거행된 연향(宴享)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 왕실의 연향은 ‘진연(進宴)’, ‘진찬(進饌)’, ‘진작(進爵)’ 등으로 지칭되는데, 이는 보통 연향의 규모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진찬의궤(進饌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87년(고종 24) 대왕대비(大王大妃)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의 팔순(八旬)을 경축하기 위해 거행된 연향(宴享)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 왕실의 연향은 ‘진연(進宴)’, ‘진찬(進饌)’, ‘진작(進爵)’ 등으로 지칭되는데, 이는 보통 연향의 규모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구술자료(25)
- 강감찬의 비범함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정원봉 제보자의 이야기가 끝난 뒤에 조사자가 강감찬에 대해 물으니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09.02.20 | 조사장소구례군 구례읍 봉서리 동산마을 1573번지 동산마을회관 | 제보자정원창(남, 89세)
- 강감찬의 신통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제보자가 상여소리를 한 뒤, 조사자가 잠시 강감찬에 대한 이야기를 묻자 곧바로 다음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조사일시2009.05.09 | 조사장소구례군 간전면 양천리 양동마을 박명규댁 | 제보자박명규(남, 75세)
- 강감찬의 비범함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오전에서 조사를 마치고 유산각에서 정원창, 정원봉 제보자들과 함께 점심을 먹고 휴식을 취하였다. 한참 지나서 제보자가 이야기가 생각난 듯 자리에 앉자 바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 역시 지난 조사 때 들은 이야기였으나 더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어서 이에 실었 다.조사일시2009.07.03 | 조사장소구례군 구례읍 봉서리 동산마을 1573번지 동산마을회관 | 제보자정원창(남, 89세)
- 강감찬의 신통술(1)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는 송강의 이야기를 끝내고 계속해서 강감찬의 신통술 얘기를 들려 주었다.*조사일시1981-09-06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서면 | 제보자김남수
- 강감찬의 신통술(2)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남수 제보자의 이야기가 끝나고 옆에서 이야기를 듣고 있던 제보자도 강감찬에 대한 얘기를 들려 주었다. 이야기 도중 제보자는 더워서 웃옷을 벗어 놓고 이야기를 더욱 신나게 했다. *조사일시1981-09-06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서면 | 제보자김효신
기초학문(22)
- 한국 畵像自贊의 典型과 變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준철, 게재일 : 201236196 임준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한국 畵像自贊의 典型과 變奏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대구서인 열암 하시찬의 삶과 학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백도근, 게재일 : 201244832 백도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대구서인 열암 하시찬의 삶과 학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조선 전기 향악 불찬의 성격과 연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나정순, 게재일 : 201565069 나정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조선 전기 향악 불찬의 성격과 연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한국어 표현 사전 편찬의 현황과 전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71445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전학회 2015 한국어 표현 사전 편찬의 현황과 전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15
- 20세기 초 가곡 문화의 변모와 가집 편찬의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경호, 게재일 : 201241692 강경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시가학회 2012 20세기 초 가곡 문화의 변모와 가집 편찬의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44)
- 賛議解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츄원 찬의 리긔동 졍봉시 량씨와 부찬의 윤하영씨 모다 임되얏더라게재일1907년 8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轉任贊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 참찬 리상씨의 쳬임된말은 이우에긔얏거니와 동씨 즁츄원찬의 피임얏더라게재일1906년 11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外人賛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소관 광학국감독 트물리와 법어교 마을 량씨는 박문원 찬의를 피명얏더라게재일1903년 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兩賛議解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츄원 찬의 심상익 김창한량씨 모다 임되얏더라게재일1907년 6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副賛議解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츄원 부찬의 김관현 홍진유 리건승 죠졍윤 최붕씨등은 모다임 되얏더라게재일1907년 8월 2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7)
- 정찬의;鄭燦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4662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43면 12. 제12회 졸업생(50음순) 1936년 3월 3일 정찬의;鄭燦義 제12회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특집) 어린이 예찬의 노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특집) 어린이 예찬의 노래 (특집) 어린이 예찬의 노래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부산교육월보
- (교단의 소리) 칭찬의 효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단의 소리) 칭찬의 효험 (교단의 소리) 칭찬의 효험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서강철 | 사료철명서울교육
- (교육논단) 제주도 교육사편찬의 시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논단) 제주도 교육사편찬의 시말 (교육논단) 제주도 교육사편찬의 시말 교육논단 濟州道 敎育史編纂의 始末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 교육행정...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찬흡 | 사료철명교육제주
- (교육논단) 제주도 교육사편찬의 시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논단) 제주도 교육사편찬의 시말 (교육논단) 제주도 교육사편찬의 시말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찬흡 | 사료철명교육제주
연구과제(9)
-
한국 근대시기 한자자전(옥편)의 정본화와 DB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하영삼 | 경성대학교 | 2014 | 국내 | 부산
-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정운용 | 고려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김창겸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
개성 역사 기초용어 사전 편찬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박종진 | 숙명여자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 지도자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택선 | 성균관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79)
-
찬의 / 贊議 [역사/근대사]
1902년 설치된 박문원 소속의 관직. 칙임대우 2인으로 구성되었다. 박문원은 국내외 고금의 서적, 신문, 잡지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관이다. 찬의의 상위직에 칙임관이나 주임관의 장, 부장 각 1인을 두고, 아래로는 뒤에 참서로 개칭되는 주임관의 감서와 다시
-
진찬의궤 / 進饌儀軌 [예술·체육/무용]
조선후기 왕·왕비·왕대비 등에게 진찬을 기록한 의궤. 조선시대의 진찬의궤는 현재 7종이 있다. ① 1828년(순조 28)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순조에게 진찬한 기록으로, 3권과 권수·부편 등 3책이며 필사본이다.② 1848년(헌종 14) 대왕대비인 순원왕후 김씨
-
증경찬의고 / 曾經贊儀考 [정치·법제]
역대 찬의 역임자 명단을 정리한 명부. 찬의는 의례의 시행을 주관하던 통례원의 정5품 관직이다. 명단은 1765년(영조 41) 2월에 찬의에 제배된 조태좌(趙泰佐)를 시작으로 1852년(철종 3) 6월에 제수된 조병선(趙秉璿)까지 모두 100명을 수록하였다. 이 문서
-
상식 / 尙食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5품 내명부의 궁관직. 궁관의 하나로 반찬의 품종을 갖추어서 공급하는 일의 총책임을 맡은 관직이다.
-
민병한 / 閔丙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61∼?). 1889년(고종 26) 문과에 병과로 급제 후, 세자시강원 겸설서·겸필선·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왕태자시강원첨사·궁내부특진관·경효전제조·중추원찬의·궁내부대신의 임시서리 등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