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진영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1)
사전(39)
- 진영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7년(인조 5) 각 도의 지방군대를 관할하기 위하여 설치한 진영(鎭營)의 정3품 당상직 장관(將官). [내용] 영장(營將) 또는 진장(鎭將)이라고도 한다. 팔도에 46인(경기 6인, 충청 5인, 경상 6인, 전라 5인, 황해 6인, ...이칭별칭영장|진장
- 박진영장군유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내인리 에 있는 조선 중기의 장군 박진영(1569∼1641)의 유물 및 유품. [내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 이곳 밀양 박씨 영동정공파(令同正公派)의 종손 박성길(朴...연계항목박진영장군유품(朴震英將軍遺品)
- 토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각 지방의 수령이나 진영장(鎭營將)에게 겸임시킨 특수관직. [내용] 도적(산적‧화적 등)을 수색, 체포하기 위하여 특정수령이나 진영장(鎭營將)에게 겸임시킨 관직이다. 1561년(명종 16) 임꺽정(林巨正)의 무리를 토벌...이칭별칭겸토포사
- 겸토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지방의 도적을 수색, 체포하기 위하여 설정한 관직. [내용] 선조 때 도적이 극심한 고을의 수령으로 처음 임명하였고, 인조 때 확대 시행되었다. 현종 때부터는 수령 대신 진영장(鎭營將)이 겸임하게 하였다. →토포사
- 겸영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각 도에 설치된 진영장(鎭營將) 중에서 지방의 수령이 겸직하도록 한 정3품관직. [내용] 영장은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후에 지방군대를 속오법 체제로 재정비하고, 효과적으로 통솔하기 위해 각 도에 전‧후‧좌‧우‧중영을
고서·고문서(41)
- 1822년 돌이(乭伊) 소지(所志)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22년(순조 22) 4월, 하회 풍산 류씨 류이좌 문중에서 안동진영장(安東鎭營將)에게 올린 대곡산 산송 관련 소지이다. 발급자 ‘노 돌이’는 상전이 제기하는 소송에서 문서상의 대리인의 역할을 한 것에 불과하다. 소지의 내용은 大谷山 주변 마을의 주민들이 산의 목재...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25년 돌이(乭伊) 소지(所志)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25년(순조 25) 4월, 하회 풍산 류씨 류이좌 문중에서 안동진영장(安東鎭營將에게 올린 대곡산 산송 관련 소지이다. 발급자 ‘노 돌이’는 상전이 제기하는 소송에서 문서상의 대리인의 역할을 한 것에 불과하다. 소지의 내용은 대곡산 주변 마을의 주민들이 산의 목재를...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황해(黃海)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36260 B236260 황해 黃海 바다 承政院日記 高宗 19年 4月 25日_015 ○以黃海兵使吳晉泳狀啓, 金川郡軍器庫燒燼, 聞極驚駭。 常時不勤操飭之該郡守洪冕周, 爲先罷黜事, 傳于趙忠熙曰, 該郡守, 特爲安恕。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0644 B010644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3年 8月 21日_020 人, 已爲自服, 而其爲沈得眞之所捉得, 則的實云耳。 上曰, 沈得賢拿處, 姑爲置之, 而所捉如非正犯, 則其時當竝前罪勘斷耳。 淸州營將誰也? 命坤曰, 非但淸州也, 五鎭營將校, 俱來作辭云耳。...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 第一統統首李會敬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護軍三陟鎭營將通 政大夫行遂安郡守箕昇外祖學生李寬彪本蔚山婢莫禮前逃亡等丁卯戶 口相准 第二戶 幼學崔仁奎年肆拾柒甲申本慶州父學生璡祖學生崙弼曾祖學生應 龍外祖學生辛廷馥本靈山妻朴氏年肆拾壹庚寅本義興父學生春炯祖 學生魯甲曾祖學生弼溶外祖學生김福壽本김海婢順月前逃亡等丁卯 戶口相准 第三戶...연도_면이름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二下西里
멀티미디어(1)
- 『속대전』당시 육군 진관체계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진관 분포도 포인트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감영/병영/방어영/진영장/거진/독진 없음 속대전(1744) 속대전(1744) 행정_173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속대전(1744)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3)
-
진영장 / 鎭營將 [정치·법제/국방]
1627년 각 도의 지방군대를 관할하기 위하여 설치한 진영의 정3품 당상직 장관. 팔도에 46인(경기 6인, 충청 5인, 경상 6인, 전라 5인, 황해 6인, 강원 3인, 함경 6인, 평안 9인)과 강화부의 진무영에 5인이 있었다. 이들은 중앙의 총융청·수어청·진무영
-
토포사 / 討捕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각 지방의 수령이나 진영장에게 겸임시킨 특수관직. 도적을 수색, 체포하기 위하여 특정수령이나 진영장에게 겸임시킨 관직이다. 정식으로 제도화한 것은 1638년(인조 16) 전국의 내륙지방에 확대실시하면서 부터였다. 그 뒤 현종 때 홍명하의 건의로 수령이 겸
-
진무사 / 鎭撫使 [정치·법제/법제·행정]
1인, 진영장(정3품), 5인, 종사관(종4품) 1인, 천총 4인, 파총 10인, 초관 63인, 교련관 10인, 기패관 71인, 군관 15인이 소속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