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중추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3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81)
사전(2,160)
- 영중추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중추부(中樞府)에 두었던 정1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중추부의 영사(領事), 즉 최고책임자로서 ‘영중추 또는 영부사’로 약칭되기도 하였다. 이는 1466년(세조 12) 종래의 중추원을 중추부로 개편하면서 처음 두었고...이칭별칭영중추|영부사
- 첨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중추부(中樞府)의 정3품 관직. [내용] 정원은 8인으로 중추부가 관장하는 일이 없었기 때문에 문‧무관 가운데 소임이 없는 자를 이에 소속시켜 우대하였다. 8인의 첨지사 가운데 3인은 오위의 위장(衛將) 체아(遞兒)로 하...
- 판중추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중추부의 종1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고려시대의 중추원과 달리 조선시대의 중추부는 특정하게 관장하는 일이 없었고, 문무당상관으로서 소임이 없는 사람들을 대우하는 기관이었다. 따라서, 이 곳의 판사도 그들 고유...
- 中樞府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015 中樞府 관직 樞密院, 兵政, 中書, 兩府, 搢紳, 大夫, 宰臣, 置散, 樞密使 宋, 我國 J_04_01_01 지봉유설 4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중추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숙위와 경비에 간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소관업무에 비해 많은 수의 고위 관원이 소속되어 건국 초에 비해 상당히 변질되었다. 이것이 1461년(세조 7) 중추부로 개칭되었다가 그대로 ≪경국대전≫에 법제화된 것이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중추부는 관장하는...
고서·고문서(3,010)
- 中樞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10_0020 中樞府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餘毒 第十五 【重出附】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540 麻科會通 二 ITKC_MP_0597A_1540_010_0070 餘毒 第十五 【重出附】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권차명麻科會通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동지중추부사화수헌채공행장(同知中樞府事花樹軒蔡公行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행장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행장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二月。 判中樞府事李滉請於文昭殿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二月。 判中樞府事李滉請於文昭殿 28_119_058.jpg ○二月。 判中樞府事李滉請於文昭殿,正太祖東向及昭穆之位,不從。 上之初卽位也,英明穎悟,一國顒望聖德之成就。 未幾,流俗之說,日聒于前,上意已染俗,見李滉承召入京,雖加寵敬,而無虛懷典...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七月, 領中樞府事李浚慶卒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七月, 領中樞府事李浚慶卒 29_207_010.jpg ○七月, 領中樞府事李浚慶卒。 浚慶字元吉。 自少磊磈不羣, 儀貌雄偉, 有名多士閒。 立朝淸嚴自持, 與兄潤慶同有時望。 但潤慶外和而內立, 浚慶外毅而內怯。 仁廟末, 潤慶之子中悅與李煇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신문·잡지(11)
- 조선지실업_1905_02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8 東京支會田中秋夫氏 39 東京支會石吾幹事 40 於大垣淺岡幹事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05
- 강원로동신문_1947_0417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주주의국가의 일원으로서 참가할 수 있는 조선문화향상은 긴급히 요청되는바 화천군 각민청학원에서는 63명의 수업생을 내고 군민청학원에서는 5기에 걸쳐 188명의 우수한 청년일꾼을 양성 각면에 파견시켜 문맹퇴치사업에 중추부대가 되어 수많은 눈뜬 소경을 광명의 길로 인도함과...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0417_03 | 날짜1947년 4월 17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쏘베트신보_1953_0307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다. 발병이 바로 첫날에 신경 중추부기능의 장애로 인한 호흡곤난의 징조가 있었다. 이러한 기능장애는 날로 증대되었는 바 이는 긴 간격을 가진 주기적(체인―스톡씨) 호흡의 특성을 띠었다. 3월 3일 새벽 호흡곤난 현상은 때로 위급한 증상을 띄우기 시작하였다. 발병의 시초...대표표제어쏘베트신보_1953_0307_03 | 책임주필브·브·유르사노브
- 황해일보_1953_030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다. 고혈압증과 동맥경화증에 근거하여 3월 2일 새벽에 발생한 뇌일혈 즉 뇌의 좌반부에서의 일혈은 오른편 수족들의 마비 및 실신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기능들인 호흡과 혈액순환의 장애를 수반하는 뇌 중추부분의 침해를 일으켰다. 3월 4일 새벽에는 호흡과 혈액순환의 장...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3_0307_01 | 책임주필김원선
- 함북로동신문_1947_0808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이미 복구 사용 중에 있었으나 이 전력만으로는 도무지 부족하므로 이 공장의 중추부문인 회전로를 움직이자면 남아지 한 대까지 복구하여야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변합기는 극도로 파손되고 또 일제시 조선인 로동자들은 만져보지도 못하게 한 것인 만큼 기술 부족으로 도저히...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808_03 | 책임주필김윤복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62)
-
중추부 / 中樞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의 종1품 아문. 1461년(세조 7) 중추부로 개칭되었다가 그대로 ≪경국대전≫에 법제화된 것이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중추부는 관장하는 일이 없고, 문무 당상관으로 소임이 없는 자를 대우하는 기관으로 나와 있다. 관원으로는 영사(정1품) 1인, 판사
-
영중추부사 / 領中樞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추부에 두었던 정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종래의 중추원을 중추부로 개편하면서 처음 두었고,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에 의한 관제개혁으로 폐지되었다. 조선시대의 중추부는 형식상 서반의 최고관부로 편제되었을 뿐 일정한 소관
-
판중추부사 / 判中樞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추부의 종1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따라서, 이 곳의 판사도 그들 고유의 담당업무가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순장(巡將)으로서 행순(行巡 : 순찰)의 임무를 맡는다든가 관찰사나 병마절도사로 겸임되는 등 실질적인 기능을 가지기도 하였다.
-
동지중추부사 / 同知中樞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추부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태조는 중추원에 종2품의 동지원사(同知院事) 4인을 두었다.그 뒤 1432년(세종 14)에 중추원이 복설되어 정원을 6인으로 정하였다. 그 뒤 정원이 9인까지 되었다. 이후 1457년(세조 3) 용관(冗官) 감축의 방침에 의
-
영사 / 領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주요관서의 정1품 관직. 의정부·중추부·돈녕부 등의 정1품 아문과 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 등의 특수 부서에 두었다. 정원은 경연에 3인, 기타 부서에는 각 1인씩이었으나 대부분 겸직이거나 명예직이다. 영사·판사·지사 등의 직명은 보통 관서에 붙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