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종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0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743)
사전(7,553)
- 종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문묘(文廟)에 후세의 유학자를 배향하는 일. 先生從祀事嶺南左右道儒生陳疏 闕下溫旨 諭以從容處之 繼有館學儒生之疏 亦下溫旨 雖未卽見之施行公論得伸 可喜, 윤근수(尹根壽), 11-19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의 종7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우 각 1인씩을 두어 세손의 배위(陪衛)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 강독과 질의‧응답에 참석하였다. 1448년(세종 30...
- 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파진군(破陣軍) 소속의 종8품 잡직. [내용] 정원은 종7품 근사(勤事), 종9품 추사(趨事)와 합쳐 7인을 두었다. 이들은 화포(火砲)와 화약의 제조 및 그 운영에 관한 업무를 맡았다. 조선시대 서반직의 유일한 잡직류로서...
- 종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각 종파의 조사(祖師).정의각 종파의 조사(祖師).[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jongsa | MR표기chong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從祀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D1_S_0028 從祀 유교 國學 文廟 薛弘儒, 崔文昌, 安文成, 辛蕆, 鄭圃隱, 金文敬, 文獻, 退溪, 成文簡, 李文成, 澤堂李植 S_16_01_03 성호사설 16권 1장 3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6권 1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논문(2)
- 이주자 종사에 관련된 정책 설명에 관한 연구 [세계화에 대한 로컬 에이전시와 국가의 대응: 비교론적, 초국가적, 그리고 디아스포라의 시각에서 보는 한국의 사례 | Monash University]저자 : Timothy C. Lim | 게재정보 : Development and Society
- A05_이주자 종사에 관련된 정책 설명에 관한 연구 [세계화에 대한 로컬 에이전시와 국가의 대응: 비교론적, 초국가적, 그리고 디아스포라의 시각에서 보는 한국의 사례 | Monash University]저자 : Timothy C. Lim | 게재정보 : Development and Society
고서·고문서(7,328)
- 螽斯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50 詩經講義 卷一 ITKC_MP_0597A_0450_030_0060 螽斯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詩經講義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종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종사 서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확인 필요 4 2 종사, 직장, 이주, 동생, 그곳, 중국, 북지, 해방,...대표표제어종사 | 성씨서
- 終獻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ws_00091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祭禮_時祭 終獻 終獻 이익(李瀷, 1681~1763) DRAC_5:2:1:13Q “終獻”條: “長兄弟長男旣行亞獻, 故今以次兄弟次男爲之.” 註曰: “或親賓爲之.” 賓雖親切, 與他人家婦女對序, 而亦爲酌獻...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종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종사 맹 남자 강원도 양양군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图们市) 신화가 6조 33호 2 2 종사, 년세 1946년...대표표제어종사 | 성씨맹
- 종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종사 김 여자 요녕성(辽宁省) 대련시(大连市) 원림수(园林受) 원림수리처 노간부 8 7 종사, 1943년도결혼, 대련...대표표제어종사 | 성씨김
구술자료(39)
- 황일군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셋째로 부모님은 상업에 종사 - 인민학교 졸업 후 남포철공소 근무 - 해방 후에 남포제련소에서 근무하다가 제명당함 - 전신전화국에 취직, 6.25 전쟁 발발 후에도 군 징집을 피하고 전화국 근무 - 유엔군이 들어온 후 미군부대를 도와주면서 함께 내려옴 - 부산에서구술자황일군 | 직업평안남도민회 | 지역평안도
- 박인숙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박인숙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A-011 668 미상 대담조사자료 1) 박인숙이 본인이 무속에 종사하게 된 계기를 비롯해 살아온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인숙
- 최승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들어감. - 고아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 진학, 짧은 회사 생활과 군 입대. - 제대 후 같은 황해도 출신 피난민 여성과 혼인, 그 후로 인천으로 나옴. - 인천에서 같은 황해도민이 많던 제2교회를 다니게 됨. - 동화개발과 연계하여 목재 부산물 사업에 종사했고 필요한구술자최승덕 | 직업제삼교회 장로 | 지역황해도
- 김근칠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다섯째로 부모님은 농사에 종사 - 일제 식민지 당시 국민학교에 다녔으며 일제로부터 차별을 받음 - 해방 후 사회주의 경험, 토지 개혁으로 인한 토지 몰수 및 학대, 협박 등 - 1.4 후퇴 당시 가족들과 헤어져 혼자서 월남 - 군입대 후 중부전선에 배치, 55년에 제대구술자김근칠 | 직업인천지구 평안남도민회 | 지역평안도
- 경상남도 밀양시_1. 이후 소리 2. 옹헤야 3. 마을길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억조창생, 부릴적에 늙을 마음이 있단말가, .... 장사로다 장사로다 초패왕이 장사로다 ....... 홍문연 높은 잔치, 상장군이 되야있어 백만대병, 거나리고 ....... 2. 여러 사람 3. 일부 종사 굳은 마음 1. (솔)도레미솔‘도’ 2. 미녹음지역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청운리 | 녹음날짜1989.4.25 | 가창방식1~3. 멕받형
기초학문(83)
- 唐代 醫療從事者의 지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호, 게재일 : 201456068 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연구소 2014 唐代 醫療從事者의 지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중장년기 종사상 지위와 은퇴 과정의 다양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144080 한국연구재단 한국노동경제학회 2001 중장년기 종사상 지위와 은퇴 과정의 다양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01
- 가사서비스종사자의 노동법적 보호를 위한 과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구미영, 게재일 : 201453253 구미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동법학회 2014 가사서비스종사자의 노동법적 보호를 위한 과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역량강화 방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화숙, 게재일 : 201145190 이화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역량강화 방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1
- 錦湖 林亨秀의 從事官 시절 시에 표출된 思惟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명희, 게재일 : 201617166 박명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2016 錦湖 林亨秀의 從事官 시절 시에 표출된 思惟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1,362)
- 從使往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김졔군슈 안학쥬씨 죵편 왕라신 쳐분을 봉승엿다더라게재일1902년 5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附官與從事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단국쳬약에 외부교셥국쟝 리응익씨 부관을 피임고 외부쥬 황우영씨 죵관을 피임엿더라게재일1902년 6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商工業從事員表彰計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商工業從事員表彰計劃 1933년 6월10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는 6월 중에 상공업종사원에게 표창하고자 각 조합 등...대표표제어商工業從事員表彰計劃 | 연월일1933년 6월10일 | 지역서울
- 본인의종 긔힌이가 협잡으로 종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인의종 긔힌이가 협잡으로 종야 십여대소가 젼답과 과목 문권을 의병시에 실화엿다 칭고 본군에 립지를야 경향츌몰며 도코져니 무론외국인고 견긔치마시오 가평군거 리긔복 고게재일1902년 9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 조선출판경찰월보 002호 광동민종사 사회혁명의 진도로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2호 광동민종사 사회혁명의 진도로 사회혁명(社會革命)의 진도로(眞道路) 미기재 광동민종사(廣東民鐘社) 지나(支那) 조선_1928년 10월 23일 차압 치안 중국어 사회...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2호 광동민종사 사회혁명의 진도로 | 출판물명사회혁명(社會革命)의 진도로(眞道路)
멀티미디어(54)
- 북한에서 남한으로 제트기를 타고 귀순한 정낙현 중위의 기자회견과 임관식 장면을 담은 영상이다. 국내외 기자들이 모인 기자회견장에서 정낙현 중위가 발언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육성연설을 직접 들려준다. 그리고 임관식에서 김신 공군참모총장이 정낙현 중위에게 계급장, 금성 충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0년 8월 7일 | 제작공보처
- 1955년 6월 22일에 전투기를 타고 귀순한 북한의 조종사 이운용 상위와 이인선 소위에 대한 환영식이 7월 8일에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렸다. 김태선 서울특별시장과 김정렬 공군참모총장, 김장흥 치안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 날 환영식에서 두 조종사에게 서울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5년 7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더욱 훌륭한 기술과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이를 담당해온 업계와 종사원들의 노고를 치하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8년 9월 2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격을 같이 살펴보아야 한다. 불교건축의 역사를 인도의 초기불교건축, 동아시아에서 성립된 선종사원건축, 우리나라의 조선시대에 확립된 산사건축이라는 세 가지 역사적 장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문화유산으로 보존하고 한국 불교건축을 진입 공간, 예불 공간,강좌제목불교건축: 역사와 공간 이야기 | 강의자도윤수
- 격을 같이 살펴보아야 한다. 불교건축의 역사를 인도의 초기불교건축, 동아시아에서 성립된 선종사원건축, 우리나라의 조선시대에 확립된 산사건축이라는 세 가지 역사적 장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문화유산으로 보존하고 한국 불교건축을 진입 공간, 예불 공간,강좌제목불교건축: 역사와 공간 이야기 | 강의자도윤수
기타자료(321)
- 김종사;金鍾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1862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12면 김종사;金鍾射 경성 공평정 139 제3회 1919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종사;金鍾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3987 남한 경성 경성고등공업학교 1-03 경성고등공업학교일람 1924 43면 17. 졸업생;2) 京城高等工業學校;(3) 土木學科;a. 1923년 3월 졸업(5명) 김종사;金鍾射 (출신지)평...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고등공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종사;金鍾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4120 남한 경성 경성고등공업학교 1-03 경성고등공업학교일람 1931 55면 24. 졸업생;7) 경성고등공업학교 토목학과;(1) 제1회 1923년 3월 졸업(5명) 김종사;金鍾射 京城 惠化...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고등공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종사;金鍾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2768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1927년 1927―12―03 294면 김종사;金鍾射 조선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종사;金鍾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2786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1928년 1928―10―05 315면 김종사;金鍾射 조선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5)
-
조선시대 직업사전 편찬 및 DB구축 사업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강문종 | 제주대학교 | 2022 | 국내 | 제주
-
핀란드 투르그 대학에 정규 한국학과 설치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Lauri Paltemaa | University of Turku | 2014 | 국외 | 해외
-
동북아 지역연구 속의 한국학 교육자와 차세대 육성 및 대만 내 한국학 연구 정립 사업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곽추문 | 국립정치대학교 | 2015 | 국외 | 해외
-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조진남 | 동덕여자대학교 | 국외
-
한국 여성의 교육, 일, 그리고 가족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Hyeyoung Woo | Portland State University | 2021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323)
-
종사 / 從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의 종7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좌우 각 1인씩을 두어 세손의 배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 강독과 질의·응답에 참석하였다. 1448년(세종 30)에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으로 분리되면서 동반의 다른 관직이 겸임하였다. 사
-
내반종사 / 內班從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내알사의 종9품 관직. 정원은 4인. 남반직의 하나이며, 1308년(충렬왕 34) 6월에 충선왕이 액정서(掖庭署)를 내알사로 고치고 그 기능을 강화하면서 전전승지(殿前承旨)를 내반종사로 고치고, 정원도 8인에서 4인으로 줄였다.
-
대종사 / 大倧師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에서 가장 높은 종교적 경지에 이른 사람에게 주는 최고의 품계. 바로 아래 품계인 종사와 더불어 교종(敎宗)이라고 불린다. 교인의 일반적인 지위를 나타내는 사교, 정교, 상교, 지교, 참교 등의 품계와는 차원이 다르며, 성철의 덕위를 나타내는 품계이다. 홍익인
-
우종사 / 右從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7품이다. 좌종사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강독에 참가하였다. 1448년(세종 30)에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관직이 겸대하였다.
-
종사랑 / 從仕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9품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9품으로 정하여졌다. 정9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전경·정자·기사관·검열·학록·규장각대교·부봉사·세마·훈도·사용·수문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