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영진” 에 대한 검색결과 2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9)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03(숙종 29)∼1775(영조 5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읍(汝揖)| 정헌(定獻)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사린(士藺). 대수(大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철명(哲命)이고, 아버지는 재선(載先)이다. [내용] 1769년(영조 45) 정시...
    이칭별칭 사린(士藺)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022 인물 () 1737 ?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사린(士藺). 1769년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세자시강원설서가 되었으며, 이듬해 사간원정언・홍문관부수찬을...
    유형분류인물
  • 이쿠타비 슈젠(幾度主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288 인물 이쿠타비 슈젠(幾度主膳) 이쿠타비 슈젠 幾度主膳 ? ?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기도주선(幾度主膳). 평원(平圓)라고도 한다. 1781년 6월부터 1783년 12월까지 71대 관수(館守)였다. (...
    유형분류인물
  • 매오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조경진()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편년을 알 수 없다. 국사편찬위원회에 있다. 권상에 시 39수, 부(賦) 14편, 권하에 의(疑) 4편, 논(論) 3편, 표(表...

고서·고문서(260)

  • 慶尙道庄土文績_제9책 : 慶尙北道聞慶郡所在庄土金斗漢提出圖書文績類 1. 聞慶屯田畓量案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5147 奎 19302 慶尙道庄土文績 제9책 : 慶尙北道聞慶郡所在庄土金斗漢提出圖書文績類 09-001 1. 聞慶屯田畓量案 양안류 5 28x33 한지, 관인(경상도관찰사), 兼使의 押, 접혀서 보관 불량, 1-2번의 문서가 합...
    자료명慶尙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慶尙道庄土文績_제9책 : 慶尙北道聞慶郡所在庄土金斗漢提出圖書文績類 4-5. 聞慶屯田畓量案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5163 奎 19302 慶尙道庄土文績 제9책 : 慶尙北道聞慶郡所在庄土金斗漢提出圖書文績類 09-003 4-5. 聞慶屯田畓量案 양안류 3 28x33 한지, 관인, 관찰사의 押 3장, 28x33cm(가로x세로), 한지,
    자료명慶尙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需司]庄土文績_제11책 : 圖書文績類 248. 乾隆四十三年-戊戌-正月二十七日幼學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6593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11책 : 圖書文績類 11-248 248. 乾隆四十三年-戊戌-正月二十七日幼學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47.4x38.8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47.4x38.8cm(가로x...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74666 B07466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6月 24日_007 ○備邊司薦望, 以爲咸鏡監司, 以任㻐爲東萊府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 第一統統首朴大永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2년_대현면(大峴面) 1792년 대현면(大峴面) 第二十三下開雲來里 1 第一統統首朴大永 第一戶 禁米保朴大永年肆拾貳辛未本密陽父龍海祖相根曾外祖金萬世本金海妻白姓年肆拾癸酉本大丘父 汝采祖夫枝曾祖河之外祖朴世雄本蔚山等己酉戶口相准 第二戶 舟師旗牌官鰥夫朴...
    연도_면이름1792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二十三下開雲來里

신문·잡지(8)

  • 경제·산업 사건 근대 (英華商會) 서울 英華商會 鍾路 5-19 포백류 - 포목(布木) 소매 15.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趙英進(英華商會)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포목(布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 2. 동병성 1. 김종수 소속구분대 통신원 2. 조선인민군 735구분대 00구분대 통신원 최만수, 김남인 조선인민군 탄우 속에서 폐철 수집 지난번 열린 우리 분초급 단체 총회에서는 20일간에 1톤반의 폐철을 수집할 것을 결정하였다. 그후 맹원들...
    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52_0822_03 | 책임주필리두진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三十錢 高壽환 리舜 吳龍根 全泰純 김承燁 丁大翊 김明燁 全泰東 리源熙 皮秉德 全泰成 全泰亨 高宜植 김경宇 朴뎡植 김文容 池셕환 林東翼 이상各二十전식 김永셕 十錢 兒 童 皮順男 朴壽童 黃弼童 愼成福 黃龍吉 劉寅福 梁漢騏 林흥福 已上各十젼式 김昌盛 五錢 合十三圜九...
    게재일1907년 2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16 보람된 구라 봉사로 큰 성과 20 재일교포 환우수기-형극의 반생기 (5) 川野順 21 소록...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3
  • 교원노동조합과 5.16 쿠데타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한 공소장, 판결문, 상소이유 등을 담고 있음. 당시 강기철, 이종석, 이동영, 이목, 신우영, , 김장수, 여학룡 외 간부들이 “특수범죄처벌에 관한 특별법위반”이라는 죄목으로 공소됨. 이들은 반공특별법안 및 데모규제법안에 내포된 교원노조 방지 조목을 반대하기 위...
    대표표제어교원노동조합과 5.16 쿠데타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이목 | 출처『한국교원노동조합 운동사』(1989)(pp. 367-411) | 키워드교원노조 간부, 교원노조 구속, 반공특별법안, 데모규제법안, 전국학생민족통일연맹

기타자료(9)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010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8면 ; 제13회 1946년 2월 1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6562 남한 전북 전주신흥학교 2-44 新興 제2호 1937―03―10 80면 ; 전북 김제군;김제군 水流面 金山里 제2회 1913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신흥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5411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17면 ; 전남 영광면 南川里 259 1936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7659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19면 ; 전남 靈光面 南川里 259 1936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천영자;白川榮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285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0면 (학과)본과신제도 ;;백천영자;白川榮子 경성부 창전정 276 17회 1939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3∼1775). 1761년 도승지 때 사도세자 처형을 강력히 반대하다가 영조의 노여움을 사 파직되었으나 다시 대사헌으로 기용, 예조참판·경기도관찰사·오위도총부도총관·지중추부사·형조판서 등을 지냈다.

  • 계미동경소진첩 / 癸未同庚小眞帖 [예술·체육/회화]

    형식의 동경계첩이다. 화첩에는 참판 이익진(李翼鎭, 1703∼?), 판서 (, 1703∼1775), 참판 이규채(李奎采, 1703∼?), 영의정 한익모(韓翼謨, 1703∼?), 부사 송진흠(宋晉欽, 1703∼?), 영의정 신만(申晩, 1703∼1765), 유

  • 단양향교 / 丹陽鄕校 [교육/교육]

    立)하였다. 영조 때 군수 박필부(朴弼溥)와 조정세(趙靖世)가 두 차례 중수하였고, 정조 때 군수 조경진()이 명륜당을 중수하였으며, 1971년과 1977에 각각 중수되었다. 조선시대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