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84)
사전(1,519)
- 조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海槎日記 雲石遺鎬 甘藷傳播考(孫晉泰, 震檀學報 13, 1941) 조엄(1719-1777) 1719(숙종 45)∼1777(정조1). 조선 후기의 문신.이칭별칭 명서(明瑞)| 영호(永湖)| 문익(文翼)
- 潮巖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6_D_0179 潮巖 산림 海口, 術者, 交錯, 巖石 恩津浦 勝覽 D_08_05_07 대동운부군옥 8권 5장 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5장 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조엄(趙曮)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8016 인물 조엄(趙曮) 조엄 趙曮 1719 177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명서(明瑞), 호는 영호(永湖) ∙ 제곡(濟谷). 1738년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음보로 내시교관(內侍敎官)을유형분류인물
- 히라타 쇼겐(平田將監)[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763 인물 히라타 쇼겐(平田將監)[2] 히라타 쇼겐 平田將監 ? ?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평전장감(平田將監). 쓰시마번(對馬藩) 번주(藩主)의 가신. 1764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유형분류인물
- 강필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의 신임을 받았다. 그 뒤 호조참의를 거쳐 1764년에 동래부사로 나갔다. 이때 앞서 조엄(趙曮)이 일본에 통신사로 갔다가 대마도에서 가져온 고구마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심고 가꾸는 법을 연구, 지도하여 그 보급에 크게 기여하였다. 1767년 승정원동부승지에...이칭별칭 석여(錫汝)
단행본(1)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고서·고문서(559)
- 自他之分 【敺者,下海望洋而反,撈者,猶撈遇潮淹死 ○乾隆】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70 欽欽新書 卷三 ITKC_MP_0597A_1370_030_0090 自他之分 【敺者,下海望洋而反,撈者,猶撈遇潮淹死 ○乾隆】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권차명欽欽新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276 B028276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50年 6月 21日_032 竝刊名本監。 噫, 今日擧措, 可見陰盛陽微, 其君雖衰, 臣何敢若此? 喬桐水使謝恩, 焉敢偃蹇, 況減膳時乎? 喬桐水使趙曮, 記過待令。 出傳敎 上曰, 前排入之。 上曰, 趙曮拿入。 上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478 B047478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9年 6月 2日_015 ○趙曮, 以刑曹言啓曰, 家在義州, 被捉山城假稱惑衆者, 令秋曹嚴刑一次後, 大靜縣定配事, 命下矣。 罪人李同伊, 依傳敎嚴刑一次後, 大靜縣卽爲發配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484 B047484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9年 6月 2日_015 ○趙曮, 以刑曹言啓曰, 家在義州, 被捉山城假稱惑衆者, 令秋曹嚴刑一次後, 大靜縣定配事, 命下矣。 罪人李同伊, 依傳敎嚴刑一次後, 大靜縣卽爲發配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9030 B059030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27年 7月 3日_014 ○以李存中島配令旨, 令于權一衡曰, 本朝嚴處, 卽爲擧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5)
- 下詔嚴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죠칙을 나리압시기를 리상셜 리위죵 리쥰가 무삼 흉 셩품이며 무삼음모이던지 가만히 외국에 건너가 그즛밀라 칭고 방히 현혹일을 야 거의국가 교의를 괴손케니그소위를 각면 맛당히 즁벌에 쳐지니 법부로야곰 죠률엄감케라 압셧더라게재일1907년 7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下詔嚴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쳐 슈단이령셩에 야 죠칙이나리시기 쳐단 것어들이라고 신칙지 우금몃날에 슈단이 령셩니 진실노 각별동칙얏스면 엇지이러리오 톄소지에 만만연고 쳐잇 량반의집으로 말야도 죠령은아쳬안이고동념치안으니 무삼도리리오 긔탄업고 두려워안 소습이 더욱...게재일1906년 4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연변조선족자치주공보_1960_02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吉林省人民委員会关干进一步开展驅除人絛虫, 消灭猪囊虫炳运动的通知 313 延边朝鲜族自治州人民委員会关干將国营延吉县农业机械站扩建为州农业机械修造厂的通知 314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60
- 함남로동신문_1949_121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장태익, 전경준, 전관호, 전동섭, 전두환, 전상선, 전일진, 전정삼, 정규호, 정□□, 정명필, 저양을, 정용원, 정우근, 정창수, 정태상, 정형순, 정회민, 조국현, 조수환, 조엄화, 조영덕, 주인철, 주종협, 채장협, 채기남, 채운용, 천홍용, 최계철, 퇴기학,...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13_01 | 책임주필강길모
- 황해로동신문_1947_0507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5.1절 경축 생산돌격주간에 있어서는 어떠한 난관과 애로가 있드라도 1,4반기의 책임생산부족량과 2,4반기의 책임수량 3000톤 합□ 실행하고야 말리라는 확고한 결의와 불타는 투혼(鬪魂)으로 맹돌격하고있다. 우선 그들은 14명인 착암부(鑿巖夫)를 18명으로 □충하기로...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507_03 | 책임주필이영조
주제어사전(12)
-
조엄 / 趙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9∼1777). 경상도관찰사·대사헌·부제학·승지·대사간·한성부우윤, 공조·이조의 판서 등을 지냈다. 문장에 능하고 경서와 사기에 밝았다. 민생문제에 관심을 가져서 1763년 통신정사로 일본에 갔을 때 대마도에서 고구마의 종자를 가져와 보관·재배
-
수약당문집 / 守約堂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남제명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00년 6대손 조엄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남경희 서문, 권말에 조엄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만사 49수, 서 21편, 잡저·서 각 1편, 기 2편, 설 1편, 발 3편, 뇌문 1편, 권2에 제문
-
마산창 / 馬山倉 [경제·산업/경제]
경상남도 마산시 합포구 합포동에 설치되었던 조선시대의 조창. 1760년(영조 36) 경상도관찰사 조엄(趙嚴)의 진언에 따라 좌조창으로서 마산창과 우조창으로서 가산창(駕山倉)이 설치되었다. 마산창에는 1척의 적재량이 1000석인 조선 20척이 준비되어 있어서 창원·함
-
조진관 / 趙鎭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9∼1808). 조엄의 아들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고, 홍국영에게 아버지가 무고 당하자 신문고를 치고, 옥중에서 자살을 기도하며 항거하고, 소를 올려 마침내 원을 풀었다. 대사간·병조·이조판서·대사헌이 되었고, 호조판서 때 영동·관서의 재
-
구고헌일고 / 九皐軒逸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남경조의 시· 서(書)·잠·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현손 효선(孝善)이 편집하고, 5대손인 정진(定鎭)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종증손 조엄(朝曮)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5수, 서(書) 13편, 잡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