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성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
사전(16)
- 조성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18(순조 18)∼1876(고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성유(聖惟). 형관(亨觀)의 아들로 형만(亨晩)에게 입양되었다. 1859년(철종 10) 증광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칭별칭 성유(聖惟)| 문헌(文憲)
- 鳥聲巧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1_D_0351 鳥聲巧 동물 山色政娟 東峯 D_11_06_01 대동운부군옥 11권 6장 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6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불일헌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대한 우정이 절실하게 표현되어 있다. 부록에 실린 그의 행록은 후손 심호(心浩)가 쓴 것이며, 묘갈명은 판서 조성교(趙性敎)가 지은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기묘제현수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金淨)은 5통, 최산두(崔山斗)는 11통이다. 이들 서간은 1517년부터 1531년 사이에 작성된 것이다. 수첩 앞쪽에는 한준겸(韓浚謙, 1557-1627)의 지문(識文)이 있고 뒤쪽에는 조광조의 11대손 조성교(趙性敎, 철종대)가 쓴 1875년의 발문이 있다...연계항목기묘제현수첩(己卯諸賢手帖)
- 금포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시성(金是聲)의 실기.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871년(고종 8)에 8세손 진규(鎭奎)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성교(趙性敎)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
고서·고문서(39)
- 1874년 조성교(趙性敎)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74년(고종11)3월 28일에 전라관찰사조성교가 안영환에게 보낸 답장이다. 감영의 공무가 많아 고민스러우며, 세의를 잊지 않고『은봉전서』를 보내줘 감사하다고 말했다. 추신에서 자신의 7세조 조송년(趙松年)의 서찰을 적어 보내주니 감회가 새롭다고 밝혔다. 이는 조선...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874년 조성교(趙性敎)가 이관희(李觀熙)에게 보낸 답신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수취자의 조부 이원조의 시장(諡狀)을 부탁 받고서, 초고(草稿)를 올렸으나, 식견(識見)이 얕고 문장이 졸렬하여 마침내 고인의 훌륭한 행적을 치켜세우지 못했으니, 실로 마음이 부끄럽다는 내용의 답신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930년 조성각(趙誠覺) 위장(慰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873년 기양연(奇陽衍)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73년(고종10) 12월 28일에 기양연(奇陽衍)이 아버지 기윤진(奇允鎭)에게 보낸 편지이다. 자신의 관직이 바뀌지 않았음을 알리고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 조성교(趙性敎)가 제수되었다는 소식 등을 전하였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455 B028455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3年 3月 5日_002 郞廳來言, 公忠兵使今日政差出事命下, 而行判書李圭徹有身病, 次堂例不得擧行云, 何以爲之? 敢稟。 傳曰, 次堂擧行。 趙性敎啓曰, 行大司憲金炳德, 執義金聲根, 掌令金錫輔牌不進, 權膺善,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조성교 / 趙性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8∼1876). 예조판서·전라도관찰사·사헌부대사헌 등을 지냈다. 전라도관찰사 때 극심한 수재가 나자 납세 기일을 늦추는 등의 백성 구휼과 부족한 병조의 번포를 돈으로 대납하게 하는 등의 선정을 베풀었다.
-
기묘제현수첩 / 己昴諸賢手帖 [예술·체육/서예]
것이다.수첩 앞쪽에는 한준겸(韓浚謙)의 지문(識文)이 있고 뒤쪽에는 조광조의 11대손 조성교(趙性敎)가 쓴 1875년의 발문이 있다. 조성교의 발문에 의하면, 자신이 도순찰사(都巡察使)로 이곳에 부임하여 이 서첩을 열람하고 전라감영에서 수리했다는 등의 경위가 적혀있다.
-
광서실기 / 匡西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무신 박진영의 시·만·서(書)·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실기. 2권 2책. 목판본. 조선 말기에 7세손 치복(致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성교(趙性敎)의 서문과 권말에 치복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첫머리에 범례가 있고, 권1에 연
-
금포실기 / 錦浦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시성의 유고와 행장·묘갈명 등을 수록하여 1871년에 간행한 실기. 2권 1책. 목활자본. 1871년(고종 8)에 8세손 진규(鎭奎)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성교(趙性敎)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
-
우계일고 / 尤溪逸稿 [종교·철학/유학]
박수서의 문집. 목판본, 서:이돈우(1877), 간궐후:박주대(1910), 2권1책. 1910년 후손 박주대등이 편집‧교감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는 이돈우의 서문과 연보가 있다. 권1에는 시17제 18수, 권2는 부록으로 박주종이 쓴 행장과 조성교가 찬한 묘지명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