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어학회사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38)
- 조선어학회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963) 「민족교육(民族敎育)」(이광린, 『한국사(韓國史)』 22, 국사편찬위원회, 1978) 「조선어학회사건」(이웅호, 『한글새소식』 40∼83, 1975∼1979) 「국어(國語)를 지킨...
- 조선어학회사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42년 10월 조선어학회 회원과 관련자를 검거하여 재판에 회부한 사건.정의1942년 10월 조선어학회 회원과 관련자를 검거하여 재판에 회부한 사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oseoneo Hakhoe Sageon | MR표기Chosŏnŏ Hakhoe Sak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석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가, 조선어학회사건으로 1945년 3월 검거되어 그해 6월 함흥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다가 해방과 더불어 석방되었다. 해방 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1945년 10월 서중석(徐重錫)의 보증으로 공산당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1946년...
- 박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출생하였다. 서울휘문고를 졸업하고, 1949년연세대 문과를 수료하였으며, 1983년미국 조지타운대에서 명예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휘문고를 졸업한 후 밀양제일보통학교 교사로 있다가 조선어학회사건에 관련된 혐의로 교장에 의해 고발되자 피신해서 노무자생활을 하다가 해...
- 안재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겪은 일들은 글로 옮겨져 사설 980편, 시평 470편이 게재되었다. 이후 『여유당전집(與猶堂全集)』의 간행 등 조선실학연구에 몰두하였다. 1936년 임시정부와의 긴밀한 활동이 탄로나 2년 동안 복역하였고, 1942년에는 조선어학회사건으로 다시 2년 동안의 옥고를 치르...이칭별칭 민세(民世)
고서·고문서(2)
- 〈큰 사전〉(1947-1957)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대동인쇄소에서 첫 권의 조판을 진행했다. 사전 발간을 앞둔 1942년 10월 조선어학회사건이 일어나 사전편찬원들이 체포되고 사전 원고를 압수당하면서 사전 간행이 무산되었다. 해방 이후 사전 편찬 사업이 재개되어 기존 원고를 수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수정 과정에서...대표표제어〈큰 사전〉(1947-1957) | 편저자조선어학회(한글학회) | 권수6책
- 〈이두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전신인 조선어연구회를 조직하였다. 총독부 언문철자법 심의위원, 조선어학회 ‘한글맞춤법통일안’ 제정위원 및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약하다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또한 조선일보 기자와 편집인을 지내면서 물산장려회, 흰얼모(白英社), 신간회...대표표제어〈이두사전〉 해제 | 편저자장지영, 장세경 | 권수1책
구술자료(1)
- 김우종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격포부대, 109병원, UN인권위원회, 문인간첩단 사건, 서울의 봄, 제주4.3사건, 조선어학회사건, 휴전회담, 5.18광주민주화운동, 6.25전쟁, 9.28수복 한글 연세대학교 교수구술자김우종 | 직업교수 | 지역황해도
신문·잡지(1)
- 계간삼천리_1978_1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8 日本における新幹会運動-東京支会の活動について 水野直樹 41 牢獄のかぎを守った人びと-朝鮮語学会事件 안우식 48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8
주제어사전(8)
-
조선어학회사건 / 朝鮮語學會事件 [역사/근대사]
1942년 10월부터 일제가 조선어학회 회원 및 관련 인물을 검거해 재판에 회부한 사건. 조선어학회는 1942년 4월 일부를 대동출판사에 넘겨 사전을 인쇄하였다. 그러던 중 정태진이 일제에 연행, 취조되어 조선어학회가 민족주의단체로서 독립운동을 하고 있다는 억지 자백을
-
정태진 / 丁泰鎭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국어학자·독립운동가(1903∼1952). 조선어학회에서 조선말 《큰사전》 편찬의 일을 맡아보다가,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광복 후 조선어학회로 돌아와 조선말 《큰사전》 편찬을 다시 시작하고, 연희대학·중앙대학·홍익대학·동국대학 등에서 국어학 강의
-
최현배 / 崔鉉培 [교육/교육]
근현대의 국어학자, 국어운동가, 교육자(1894-1970). 1941년 10월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광복 후 문교부 편수국장에 재직하였고, 1949년 한글학회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한글의 창제경위·역사·문법 등에 저서를 남겼으며 한글전용과 풀어쓰기를 주장
-
김선기 / 金善琪 [언어/언어/문자]
1907∼1992. 언어학자. 930년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37년 영국 런던대학에서 음성학을 전공하여 문학석사 학위를 받고 귀국하였다. 1938년 연희전문학교 전임강사로 취임, 1939년 조교수, 1940년 교수가 되었다.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함흥형
-
이윤재 / 李允宰 [교육/교육]
항일기의 독립투사·국어학자·사학가(1888∼1943). 한글맞춤법 제정에 참여하였으며, 조선어사전 편찬 등 한글 보급을 통한 민족운동을 하였다. 조선어학회 《우리말 사전》 편찬위원을 맡았고, 진단학회로 국사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사하였다. 저서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