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계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1)
사전(16)
- 조계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國朝人物考)』 조계원(1592-1670) 1592(선조 25)∼1670(현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근묵≫ 중 조계원의 필적.이칭별칭 자장(子長)| 약천(藥泉)| 충정(忠靖)
- 조계원(趙戒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893 인물 조계원(趙戒元) 조계원 趙戒元 ? ? 조선시대 후기의 군졸(軍卒). 창원(昌原) 거주.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유형분류인물
- 강진복(姜進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하기 위해 쓰시마를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풍악수(風樂手)로서 김정택(金正宅)・이상춘(李尙春)・이장수(李長壽)・조계원(趙戒元)과 함께 사행에 참여하였다. 풍악수는 곧 악공(樂工)이라고도 하였다. 金履喬, 『辛未通信日錄』 풍악수(風樂手), 악...유형분류인물
- 이상춘(李尙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하하기 위해 쓰시마를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풍악수(風樂手)로서 김정택(金正宅)・강진복(姜進福)・이장수(李長壽)・조계원(趙戒元)과 함께 사행에 참여하였다. 풍악수는 곧 악공(樂工)이라고도 하였다. 金履喬, 『辛未通信日錄』 풍악수(風樂手),...유형분류인물
- 이장수(李長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하하기 위해 쓰시마를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풍악수(風樂手)로서 김정택(金正宅)・이상춘(李尙春)・강진복(姜進福)・조계원(趙戒元)과 함께 사행에 참여하였다. 풍악수는 곧 악공(樂工)이라고도 하였다. 金履喬, 『辛未通信日錄』 풍악수(風樂手),...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45)
- 內需司(1713)_경상도 固城縣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90159 18498_0006 奎18498 內需司(1713) 경상도 固城縣 東邑內面 召溪員 경상도 고성현 東邑內面 召溪員 86 86결자료번호18498_0006 [奎18498]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需司(1713)_경상도 固城縣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90160 18498_0007 奎18498 內需司(1713) 경상도 固城縣 東邑內面 召溪員 경상도 고성현 東邑內面 召溪員 59 59결자료번호18498_0007 [奎18498]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460 B004460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8年 閏1月 11日_003 ○執義李尙馨, 掌令洪茂績, 持平曺漢英等, 請亟收金自點江都保釐之命。 答曰, 不允。 請校理趙啓遠, 亟命罷職。 答曰, 趙啓遠, 已爲推考, 不必罷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550 B004550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8年 閏1月 11日_003 ○執義李尙馨, 掌令洪茂績, 持平曺漢英等, 請亟收金自點江都保釐之命。 答曰, 不允。 請校理趙啓遠, 亟命罷職。 答曰, 趙啓遠, 已爲推考, 不必罷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39 B003939 강도 江都 정치행정 孝宗實錄 元年(1650) 八月 효종실록_10108013_001 ○甲午 / 上引見大臣及備局諸臣、江都留守趙啓遠, 啓遠請移本府牧場馬於他島, 牧場則許民耕食, 從之。출처전거孝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조계원 / 趙啓遠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1670(현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준수 증손, 할아버지는 남, 아버지는 존성, 어머니는 이신충의 딸이다. 신흠의 사위로 숙부에게서 학문을 배우고, 뒤에 이항복의 문인이 되었다. 1628년(인조 6)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경기감사, 동지
-
조지빈 / 趙趾彬 [종교·철학/유학]
1691년(숙종 17)∼1730년(영조 6).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조계원, 조부는 조가석이다. 부친 조태억과 모친 심구서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이조이다. 1718년(숙종 44)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관직 초기에 홍문록 15인 중 한 사람으로 뽑
-
조정빈 / 趙鼎彬 [종교·철학/유학]
1681년(숙종 7) ~ 졸년 미상. 조선 후기 유생. 증조부는 조계원, 조부는 조희석, 부친은 조태채, 외조부는 심익선이다. 동생으로 조관빈과 조겸빈이 있다. 1705년(숙종 31) 식년시에서 진사 3등 10위로 합격하였다. 성균관에서 수학하였다.1713년(숙종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