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효전”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53(단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일(延日). 아버지는 판서 진(鎭)이다. [내용] 태종의 딸 숙정옹주(淑貞翁主)의 부마로, 1422년(세종 4) 일성군(日城君)에 봉하여졌다. ...
    이칭별칭 충경(忠景)|일성군(日城君)
  • 숙정옹주①(淑貞翁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언니)정신옹주(貞愼翁主), 정정옹주(貞靜翁主) (동생)소신옹주(昭信翁主), 숙녕옹주(淑寧翁主), 숙경옹주(淑慶翁主), 숙근옹주(淑謹翁主) 연일 정씨(延日鄭氏) : 정진(鄭鎭)의 아들 () →(자녀)2남 4녀 (1남)정원창(鄭元昌) (2남)정극창...
  • 장릉배식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총부부총관 유응부(兪應孚) 등이다. 그 밖에 형조판서 박중림(朴仲林), 지평 하박(河珀), 좌참찬 허후(許詡), 수찬 허조(許慥), 증이조참판 박계우(朴季愚), 순흥부사 이보흠(李甫欽), 도진무(都鎭撫) (), 영월호장 엄흥도(嚴興道) 등이다. ...
  • 장릉사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록 한 점이 특이하다. <기년>은 탄생에서 폐서인과 죽음에 이르는 단종의 생애와 그의 사후 정조 때까지의 추존과 추봉(追封), 그리고 배식(配食) 등의 여러 조처들을 정리하였다. 하편에서는 안평대군(安平大君)‧금성대군(錦城大君) 등과 권자신(權自愼)‧(...
  • 황보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좌참판‧병조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그 해 10월부터 다음해 1월에는 사은사(謝恩使) ()의 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33년 판중추원사 하경복(河敬復), 형조판서 정흠지(鄭欽之), 예문관대제학 정초(鄭招) 등과 함께 진서(陣書)를 찬진(撰進)하였...
    이칭별칭 사겸(四兼), 춘경(春卿)| 지봉(芝峰)

고서·고문서(2)

  • 行之弊,待昇平還罷何難?夫如是則足食足兵之美,幷擧兩全,而合古宜今,軍政幸甚,國家幸甚.召左議政皇甫仁·右議政南智·左贊成朴從愚·右贊成金宗瑞·左參贊鄭苯·兵曹判書閔伸·都鎭撫·中樞院使金孝誠·工曹判書鄭麟趾·中樞院副使李仁和命都承旨李思哲·同副承旨金文起議之,皆曰"此策不可行."上曰"屯田之...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가정유고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한 諡狀이다. 卷之八 諡狀 日城府院君鄭公-孝全-諡狀(1) 1453년 癸酉靖難 때 파면된 후 憤死한 (?∼1453)에게 시호를 내려주길 청하며 쓴 諡狀이다. 直提學鄭公-誠謹-諡狀(5) 1504년(연산군 10년) 甲子士禍 때 梟首되었다가, 1506년(중종 1년)...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5)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453(단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진. 태종의 딸 숙정옹주 부마, 1422년(세종 4) 일성군에 봉하여졌다. 1433년 사은사로, 1450년(문종 즉위년) 진하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병조판서를 거쳐 삼군도진무사에 올랐다. 1453년 (단종 1)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