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우량” 에 대한 검색결과 1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9)

사전(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92-1754) 1692(숙종 18)∼1754(영조 30). 조선 후기의 문신. 의 글씨.
    이칭별칭 자휘(子?)| 학남(鶴南)| 문충(文忠)
  • 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영정. [내용] 비단바탕에 채색.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 은 1723년(경종 3) 문과에 급제하고 1748년(영조 24) 숙종 어진(御眞) 모사도감(模寫都監)에 참여했으며 벼슬이 우의정에 이르렀다....
    연계항목정우량영정(鄭羽良影幀)
  • 임사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 나아가지 않았다. 1745년(영조 21)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부수(副率)로 임명되어 서연(書筵)에서 장헌세자의 학문을 깨우치매, 빈객 ()이 그 진강(進講)의 독실함에 탄복하였다. 경전(經傳)에 통달하였음은 물론 특히 사지...
    이칭별칭 여직(汝直)
  • 장창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져 학문과 후진양성에 힘썼다. 개성유수 ()이 그의 행동거지가 단아한 것을 보고 장유도(張有道)라고 불렀다. 영조 때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였다. 개성의 남산사(南山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유고 약간이 전한다.
    이칭별칭 길초(吉初)
  • 홍계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76(정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신계(莘溪). 아버지는 참봉 우조(禹肇)이다. 1750년(영조 26) 우의정 ()의 천거로 등용되어 1757년 왕손교부(王孫敎傅)가 되고, 이...
    이칭별칭 신계(莘溪)

고서·고문서(103)

  • 49864 B049864 덕진 德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9年 9月 1日_002 ○下直, 潭陽縣監尹尙叶, 鴻山縣監金始煐, 忠原縣監, 草芝萬戶朴文佐, 幕嶺萬戶李田龍, 德津萬戶韓世愈。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9801 B039801 당금귤 唐金橘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6年 11月 16日_006 ○傳于曰, 守侍墓官享官以下, 竝書啓, , 以禮曹言啓曰, 濟州牧使李守身封進, 去十月令, 宗廟·魂宮薦新唐金橘·柑子, 及殯殿所封唐金橘·柑子等物來到, 而敬崇殿·山陵, 則不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9835 B039835 당금귤 唐金橘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6年 11月 16日_006 ○傳于曰, 守侍墓官享官以下, 竝書啓, , 以禮曹言啓曰, 濟州牧使李守身封進, 去十月令, 宗廟·魂宮薦新唐金橘·柑子, 及殯殿所封唐金橘·柑子等物來到, 而敬崇殿·山陵, 則不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6587 B076587 동래 東萊 정치행정 英祖實錄 二十四年(1748) 十二月 영조실록_12412021_006 ○以李宗白爲大司憲, 魚錫胤爲司諫, 林象老爲掌令, 權抗爲持平, 沈墢、韓德良爲正言, 李奎采爲副校理, 趙重晦爲修撰, 具聖任爲刑曹判書, 爲判義禁, 黃梓爲開城...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38 B001838 가배량 加背梁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23年 10月 1日_008 ○兵批, 行判書進, 參判申思建守宮, 參議李鼎輔侍衛, 參知安慶運侍衛, 右副承旨李昌壽進。 以呂攀爲訓鍊副正, 以洪萬雄爲會寧浦萬戶, 以金鍊輝爲加背梁萬戶, 蓋此二人, 則親臨試射時,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4). 시성 증손, 할아버지는 인빈, 아버지는 수기, 어머니는 윤희수의 딸이다. 휘량의 형이다. 1723년(경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좌승지·이조참판·병조판서·우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글씨에 뛰어났다.

  • 총병가 / 摠兵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이 지었다는 가사. 이 가사는 조선 인조 때의 무신 임경업의 전기적인 내용을 율문 형식인 가사체로 엮어 놓은 작품으로 주인공의 가문과 출생을 비롯하여 입조(入朝) 전후에 일어났던 파란만장한 우여곡절을 서술하고 있다.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

  • 송능상 / 宋能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1758). 송시열의 현손으로 한원진의 문인이다. 1739년 5월 송인명의 천거로 시강원 자의가 되었다. 1750년 이 우리 나라의 도통에 김장생을 넣지 않고, 윤증 부자를 언급하자 노론의 입장에서 도통에 대해 아뢰었다. 175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