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수기” 에 대한 검색결과 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7)

사전(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관. [개설] 본관은 초계(草溪). [생애 및 활동사항] 친종장군(親從將軍)ㆍ만호 등의 무관직을 역임하였다. 1280년(충렬왕 6) 왕이 원나라의 중서성에 글을 올려 일찍이 진도ㆍ탐라ㆍ일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시대의 금속기술자. [내용] 1564년(명종 19)에 충청북도 음성 산기슭 토석(土石)에서 구리를 취련하여 구리의 제련법을 개발하였다. 그의 이름은 『명종실록』에 이 사실과 함께 나올 뿐 더 알려진 것이 없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64(현종 5)-1752(영조 28)).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순년(舜年)| 곡구(谷口)| 정간(貞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6∼1936. 독립운동가. [내용] 경상북도 월성 출신. 1923년 독립운동에 참가하기 위하여 만주로 망명,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군사선전위원장(軍事宣傳委員長) 김창숙(金昌淑)을 상면하여 만몽지방(滿蒙地方) 황무지를 개...
  • 서울능대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리공단 정수직업전문학교로 개칭되었고, 1996년 능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73년부터 1995년 말까지, 즉 능대학으로 승격되기 전까지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기능사 2급의 정규 1년 과정에서 8...

고서·고문서(75)

  • 73798 B07379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年 1月 27日_011 ○傳于曰, 東萊府使權孚, 江界府使李載恒, 留待。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732 B07473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年 1月 27日_011 ○傳于曰, 東萊府使權孚, 江界府使李載恒, 留待。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0416 B01041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年 10月 16日_011 ○, 以訓鍊都監言啓曰, 都監船隻, 與他衙門船隻有別, 乃是江都待變船也。 春夏秋, 則內外入直, 各處點火燒木, 軍器打造, 炭石焰硝所煮吐木等物, 專爲載運, 冬節則回泊江都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0599 B01059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年 10月 16日_011 ○, 以訓鍊都監言啓曰, 都監船隻, 與他衙門船隻有別, 乃是江都待變船也。 春夏秋, 則內外入直, 各處點火燒木, 軍器打造, 炭石焰硝所煮吐木等物, 專爲載運, 冬節則回泊江都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高大雄, 以郵官亦官爲目, 則俱宜置下考, 而置諸中考, 甲山府使, 以四考臧否, 猶未詳的爲目, 厚州府使白能洙, 以邑未成樣, 政亦挨過爲目, 德源府使吳致慶, 以益擇首鄕爲目, 南海縣令洪瀷, 以島俗多頑, 宜用剛克爲目, 則俱宜置中考, 而置諸上考, 殊無嚴明殿最之意, 四道道臣, 竝...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염기성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도자제 개발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성룡, 게재일 : 2007
    27998 장성룡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예학회 2007 염기성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도자제 개발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2)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2063 남한 경성 보성고등보통학교 1-29 卒業記念寫眞帖 第9回 1931―03 2 임의면 1. 졸업생 ; 전북 군산부 濱町 9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하감(何龕)이 가침을 파견하여 의려(依慮)의 아들을 왕으로 세우려고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힘껏 싸워 손정의 목을 베웠다. 마침내 부여국을 회복시켰다. (『晉書』 108 載記 8 慕容廆) 【원문】 東夷校尉何龕遣督護賈沈將迎立依慮之子爲王 廆遣其將孫邀之 沈力戰斬丁 遂復扶餘之國 (『晉書』108 載記 8 慕容廆) 본문에는 그 해가 나오지 않으나, 『晉書』97 列...
    대표표제어하감(何龕)이 가침을 파견하여 의려(依慮)의 아들을 왕으로 세우려고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86년(丙午/신라 유례이사금 3/고구려 서천왕 17/백제 고이왕 53, 책계왕 1/晉 太康 7/倭 應神 17)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64∼1752). 1699년(숙종 2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사간원정원에 재임 중 김춘택 등을 탄핵하였다. 신임사화의 주요인물로 지목되어 삭탈관직되었다. 복직된 이후 대사간·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