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사룡”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1)
사전(83)
- 정사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한문학사(韓國漢文學史)』(이가원, 민중서관, 1961) 정사룡(1491-1570) 1494(성종 25)∼1573(선조 6). 조선 중기의 문신, 문인.이칭별칭 운경(雲卿)| 호음(湖陰)
- 鄭士龍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115 鄭士龍 인물 文章, 文衡 燕山 東萊 雲卿, 湖陰 D_01_02_13 대동운부군옥 1권 2장 1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2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鄭士龍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J_0408 鄭士龍 시 詠桃花驄, 望夷宮, 天眞, 桃源, 虐秦, 落花, 不掃, 武陵春 J_13_01_01 지봉유설 13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3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정사룡(鄭士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760 인물 정사룡(鄭士龍) 정사룡 鄭士龍 ? ? 조선 후기에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송환된 인물. 1688년 4월 동래부사(東萊府使) 이덕성(李德成)이 재직할 때에 전라도 웅천(熊川)에 사는 정사룡(鄭士龍) 등 5...유형분류인물
- 정사룡(鄭士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사룡 정사룡 鄭士龍 인물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한국 조선 성종~선조 이현숙 이범직 2012 운경(雲卿) 호음(湖陰) 양반 남자 1491년(성종 22) 157...
고서·고문서(58)
- 호음선생문집(湖陰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허백당김공묘갈명(虛白堂金公墓碣銘)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정사룡(鄭士龍)이 김양진(金楊震)의 일생을 정리하여 적은 묘갈명(墓碣銘)이다. 김양진은 안동부풍산현 사람으로 9세부터 글을 깨우치고, 어진 선비들에게 학문을 배웠다고 했다. 진사시에 합격하여 예문관검열을 지냈으며, 연산군의 정치에 대응하다가 고초를 당했다고 한다. 여...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아이를 돌보며 당(堂)에서 잤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살고 있다고 하는데 그가 들러 말하기를, “수찬(修撰)과 같은 해에 과거에 합격한 사람이라 문안드리러 왔습니다” 라고 했다. 그에게 들으니 정사룡(鄭士龍)이 책문(策文) 제목을 미리 다른 사람에게 암시한 죄로 양사(兩司)의 논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한다. 정사룡(鄭士龍)...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기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72년_미상 1672년 미상 第九朱田津 기타 戶私奴鄭士龍年參拾玖甲戌本機張父良人山立祖巨乙山曾祖石夫外祖良林介之本機張母私婢所乙非上典京居同知李加平妻私婢順禮年貳 拾玖甲申本金海父良人李石乙伊祖江立曾祖江福外祖良人金山本江陳母私婢件里上典京居同知李加平率子士元今故率子...연도_면이름1672년_미상 | 면이름미상 | 마을이름第九朱田津
- ○아침 일찍 죽을 먹고 도감으로 출근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가 보았다. 오늘은 지의(地衣)제사 때 쓰는 돗자리를 만들고, 창호를 풀칠했다. 재실(齋室)은 아직 수리가 끝나지 않았다. 낮에 퇴선(退膳)이 있었는데, 점심 후에 나누어 먹었다. 성절사(聖節使) 정사룡(鄭士龍)과 송인수(宋麟壽), 서장관(書狀官) 최환(崔渙) 등이 서...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5)
-
정사룡 / 鄭士龍 [종교·철학/유학]
1491(성종 22)∼1570(선조 3). 조선 전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광보. 광필의 조카. 1509년(중종 4)별시문과에 병과 4위로 급제했다. 1554년(명종 9) 대제학이 됐으나 1558년(명종 13) 과거의 시험문제를 응시자 신사헌에게 누설하여 파직됐다.
-
용재집 / 容齋集 [언론·출판]
이행(1478-1534), 목판본. 이 책은 10권 6책 이다. 1책에는 목록과 신간, 구간의 간기, 행장, 권1이 실려 있다. 2책은 권 2~3, 3책은 권 4~6, 4책은 권 7~8, 5책은 권 9~10과 소세양의 후서, 이안눌의 발, 정사룡의 <화남악창수집발>로
-
청창연담 / 晴窓軟談 [문학/한문학]
지(芝), 즉 정사룡(鄭士龍)·노수신(盧守愼)·황정욱(黃廷彧)에 대한 시평이 있다. 도학자들의 시로 서경덕(徐敬德)·조식(曺植)·성혼(成渾)·송익필(宋翼弼) 등의 작품도 소개하고 있다.
-
관각문학 / 館閣文學 [문학/한문학]
어난 정사룡(鄭士龍)·노수신(盧守愼)·황정욱(黃廷彧)은 세상에서 이들을 관각의 호소지(湖蘇芝)라 부르기도 하였다. 관각문자는 시보다는 문에 역점이 주어진 것이므로 관각에서 애용하는 문체를 특히 관각체라 부르기도 한다. 서거정이 일찍이 문장의 성격을 구별하여 대각(臺閣)
-
속청구풍아 / 續靑丘風雅 [문학/한문학]
(姜渾)·신용개(申用漑) 등 61인의 시 175수를 실었다. 권3은 오언율시로 김안국(金安國)의 「차성진사이우운(次成進士移寓韻)」 등 39인의 시 112수를, 권4는 오언배율로 정사룡(鄭士龍)의 「요지곡연(瑤池曲宴)」과 임억령(林億齡)의 「제을묘세병연계축(題乙卯洗兵宴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