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절충장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27)
사전(188)
- 절충장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편, 무반관원(武班官員)으로서 절충장군에서 승진하여 종2품 이상의 산계를 받게 되는 경우에는 문산계에 따르고 있다. →무산계 『태조실록(太祖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朝鮮初...
- 절충장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무신 정3품 당상관의 품계명.정의조선시대 무신 정3품 당상관의 품계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lchung janggun | MR표기chŏlch’ung chang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종무(李宗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견되었을 때, 당상관(堂上官)의 말석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수행하였다. 부산박물관 (편), 『동도일사』, 부산박물관, 2012. 수신사, 절충장군(折衝將軍) 사전 한글 나카무라 슈토유형분류인물
- 숙부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외명부(外命婦)인 문무관처가 내린 정3품 당상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3품의 당상관(堂上官)인 통정대부(通政大夫)‧절충장군(折衝將軍)의 적처(嫡妻)에게 내린 작호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 이승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上護軍)의 재직으로 인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 3등에 책록되고 절충장군으로 승진된 뒤 곧 향리에 퇴거하였다. 1467년 연로무신이라 하여 가선대부 검교중추원부사에 제수되고, 얼마 뒤에 다시 가정대부 검교공조참판에 제수되었으며, 1479년(성종 10)...
고서·고문서(2,838)
- 2 第二統統首折衝將軍金進碩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유포면(柳浦面) 1765년 유포면(柳浦面) 第一穴巖里 2 第二統統首折衝將軍金進碩 第二統一戶 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金進碩年陸拾肆壬午本金海父正兵淸建祖正兵儀元曾祖正兵南外祖正兵林海守本 蔚山妻李召史年陸拾壹乙酉本慶州父正兵國立祖正兵儀芥曾祖必善外祖白戒杰本...연도_면이름176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一穴巖里
- 5 第伍統統首折衝將軍權世根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유포면(柳浦面) 1765년 유포면(柳浦面) 第一穴巖里 5 第伍統統首折衝將軍權世根 第五統一戶 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權世根年柒拾參癸酉本安東父學生中三祖學生善曾祖學生武石外祖學生趙 石九本咸安妻金姓年柒拾丙子本金海父通政大夫古男祖通政大夫貴卜曾祖學生太白外祖...연도_면이름176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一穴巖里
- 19 第拾玖統統首折衝將軍朴就根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74년_동면(東面) 1774년 동면(東面) 東面第壹南玉坊 19 第拾玖統統首折衝將軍朴就根 第壹戶 折衝將軍朴就根年肆拾乙卯本慶州父業武東善祖業武仁白曾祖業武愛玉外祖朴自隱老未本密陽妻 金姓年參拾肆辛酉本金海父正兵善日祖正兵學男曾祖業武戒好外祖業武徐有杰本達城率母朴姓...연도_면이름1774년_동면(東面) | 면이름동면(東面) | 마을이름東面第壹南玉坊
- 절충장군행전라좌도수군절도사민공행장(折衝將軍行全羅左道水軍節度使閔公行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成安義를 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69 0279_01 成安義를 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72.JPG 成安義를 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 에 임명하는...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기타자료(1)
- 남해고속도로(내서-냉정)확장예정구간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적이지만 기와편으로 보아 조선시대 이후의 건물지였거나 기와가마터일 가능성이 있다. 서쪽으로 이어지는 단애면에서는 옹기편도 다수 보인다. 창원지역의 용잠리 조선시대묘는 원형의 봉분과 묘비, 무인석 2개가 있다. 묘비에는 ‘절충장군 김공지묘 숭정후재계미 9월 16일(折衝將...발행연도1996 | 발굴기관창원대학교박물관/한국도로공사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16)
-
절충장군 / 折衝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정3품 당상관의 품계명. 1392년(태조 1) 7월 조선건국 직후 처음 관제를 정할 때 문산계에서 독립된 무산계 가운데 가장 높은 관계로 규정되었다. 그 뒤 1466년(세조 12)에 이르러 당상관으로 되었다. 한편, 무반관원으로서 절충장군에서 승진하여
-
상호군 / 上護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정3품 관직. 고려 때의 상장군이 조선 초기에 도위사(都尉使)로 개칭되었다가 태종대에 상호군으로 변개, 1467년(세조 13) 정3품관으로 오위의 고급지휘관이 되었다. ≪경국대전≫ 당시는 정원 9인으로 무장이 임명,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 사회 1인이
-
숙부인 / 淑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가 내린 정3품 당상 작호. 문무관 정3품의 당상관인 통정대부(通政大夫)·절충장군(折衝將軍)의 적처에게 내린 작호이다.
-
권구 / 權絿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31(영조 7). 조선 후기의 학자. 절충장군 권임도의 아들로 작은아버지 권임정에게 입양되었다. 조지겸에게 학문을 배웠고, 뒤에 윤증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밝았다. 저서로는『오복편람』이 있다.
-
김추길 / 金秋吉 [종교·철학/유학]
1603∼1686. 조선후기 학자. 아버지는 률, 어머니는 봉화 금씨이다. 1678년(숙종 4) 통정대부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에 제수되고 1684년 장렬왕후 주갑의 해에 추로의 은혜를 입어 가선대부 행용양위 부호군에 가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