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임기준” 에 대한 검색결과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가(處士歌)」‧「양양가(襄陽歌)」‧「매화타령」의 네 곡과 사설지름시조‧수잡가(首雜歌) 등 30여곡을 전수하였다. 현재 전창되고 있는 네 곡의 가사와 사설지름시조의 대부분은 의 전창에 속하고, 장사훈(張師勛)에 의하여 1939년에 채보된 악보가 전하고 있다...
  • 우조시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시조 창(唱). [내용] 가곡(歌曲)의 우조풍(羽調風)의 가락을 시조 본연의 계면조(界面調)가락에 섞어 부르는 시조이다. ()ㆍ이문언(李文彦)ㆍ최상욱(崔相旭) 등에 의하여 전창(傳唱)된 시조로서, 주로 서울 우대, 즉 유각골(...
  • 장계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48(헌종 14)∼1946. 경기소리의 명창. [내용] 사계(四契)축의 소리 명창인 조기준(曺基俊)과 추교신(秋敎信)의 제자이며 특히 가사(歌詞)와 시조에 뛰어나, 최상욱(崔相旭)‧()과 함께 활약을 하였는데, 특히 여창가...
  • 수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시조와 창(唱)에서 파생된 곡. [내용] () 전창(傳唱)으로 곡조의 구성이 시조 반, 잡가조(雜歌調) 반으로 뒤섞여 있기 때문에 시조라고 부르기에는 격(格)이 떨어지고, 그렇다고 잡가(雜歌)라고 할 수도 없으므로 잡가의 으뜸...
  • 우조지름시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시조 창(唱). [내용] 가곡(歌曲)의 우조풍(羽調風)가락을 섞어 부르는 시조이다. ()ㆍ이문언(李文彦)ㆍ최상욱(崔相旭) 등에 의하여 전창(傳唱)된 시조로서, 우조시조와 같이 서울 유각골(樓上洞ㆍ樓下洞) 가객들 사이에서 불리던...

고서·고문서(4)

  • 1884년 ()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84년 12월 12일 이 보성군 대동촌에 있는 밭 9마지기를 9냥에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의 대상이 된 지역은 오늘날 전라남도 보성군 율어면 이동리 대동마을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원광대학교 박물관
  • 대금(貸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황천(黃川) 거주, 현 거주지 충청남도 공주부(公州府) 반죽리(班竹里) 상민(商民) 청 김일수(金一洙), () 충청남도 공주부(公州府) 관현(官峴), 충청남도 공주군(公州郡) 정안면(正安面) 광정리(廣程里) 피고 김일수(金一洙), (...
    재판기관공주구재판소(公州區裁判所) | 판결일자1908년 12월 11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筏一鐵鎻, 撗截遮扼, 而任其揚颿, 甲串之津, 距城樓僅尺咫, 而不能以一石子一鏃矢, 亂下射殪, 而任其下陸, 及夫賊薄南門也, 不能率一軍吏登埤拒守, 而任其入城, 乃託以奉護御眞, 脫身逃竄, 擧全城而與賊, 金湯關防, 據, 風雲儲胥, 任其焚掠, 而使府內幾萬赤子, 號呼宛轉於賊鋒...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한성부 서서 반송방 호적_1903년[광무 7] [19C말~20C초 호적자료의 수집, 정리 및 그 활용 연구(2단계) | 인하대학교]
    (洪信鍾) 전덕원(全德元) 권재근(權載根) 양도환(梁道煥) () 정준기(鄭俊基) 장인환(張仁煥) 김재호(金在...
    지역한성부 서서 반송방 | 시기1903년

신문·잡지(3)

  • 전봉화, 김병제, 리극로, 리용선, 강순, 리혁영, 구재창, 송병일, , 리병호, 김창준, 김응섭, 김용담, 리종만, 정노식, 오기영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선중앙통신 【평양 28일발 조선중앙통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대회 제3일 회의에서는 동 전선...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30_02 | 책임주필강길모
  • , 리용신, 강순, 리혁영, 구재창, 송병일, , 리병호, 김창준, 김응섭, 김용담, 리동만, 정노식, 오기영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9_0629_07 | 책임주필한 □
  • 삼왈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림종식 리학슈 리경용 리무용 오금덕 리동셕 長子 浩 次子 浩閏 各一圜식 한일동 한실리 고금슈 리영조 김상운 리학이 위덕인 최복염 최셕쥬 됴수업 됴갈용 各二十錢식 합쳔인 김억용 一圜 學童 金永台 李基閏 李致松 金三萬 魏成五 各一圜식 合九十八圜二十錢 昌原 김덕슈 四...
    게재일1907년 5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40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5면 ; 제7회 1937-03-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예술·체육/국악]

    름시조·수잡가(首雜歌) 등 30여곡을 전수하였다. 현재 전창되고 있는 네 곡의 가사와 사설지름시조의 대부분은 의 전창에 속하고, 장사훈(張師勛)에 의하여 1939년에 채보된 악보가 전하고 있다.

  • 엇시조 / ─詩調 [문학/고전시가]

    고 부르고 있으나, 음악적인 형태상으로는 엇시조가 옳다. () 전창(全唱)의 「뉘라서 장사라든고」·「백구는 편편(翩翩)」·「가마귀가」「서상(西廂)에」·「각씨(閣氏)네도」 등 13곡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