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하규일” 에 대한 검색결과 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

사전(46)

  • 하순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인 ()의 종형이기도 하다. 『국악입문』(김기수, 한국고전음악출판사, 1972)
    이칭별칭청일(請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7(고종 4)∼1937. 근세 가곡의 거장. [내용] 자는 성소(聖韶), 호는 금하(琴下). 본관은 진주(晉州). 서울 출신으로 가곡의 명창 하순일(河順一)과는 사촌간이다. 작은아버지 하중곤(河仲鯤)에게 가곡을 배운 다음, 하중곤의 ...
    이칭별칭 성소(聖韶)| 금하(琴下)
  • 권주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2가사 중의 하나. [내용] 작자ㆍ연대 미상으로 ()에 의해 전창(傳唱)되었다. 구가(舊歌)와 현행가(現行歌)의 두 가지가 전하는데, 구가와 현행가는 사설만 다르고 선율의 차이는 없다. 현재 구가는 거의 부르지 않고,...
  • 김수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13∼1969. 여창가곡의 명창. [내용] 서울 출생.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 조선권번(朝鮮券番)에 들어가 ()에게서 가곡과 가사를 전공하여 가기(歌妓)로서의 수업을 쌓았다. 1930년대에 이르러서는 단연...
  • 이병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하였다. 이주환(李珠煥) 등과 함께 ()에게 가곡을 배워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1926년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를 졸업한 뒤 아악수‧아악수장‧아악사를 역임하였다. 1939년 아악부를 퇴직하고 1950년 구왕궁아악부 촉탁과 1952년 국립국악원 국악...
    이칭별칭 두봉(斗峯)

고서·고문서(28)

  • 75710 B07571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3年 12月 24日_003 興海郡守尹奎善, 鎭安郡守依願免本官。 肇慶廟參奉趙在元, 慶基殿參奉金學奎, 章陵令李容圭依願免本官。 嚴柱連任肇慶廟參奉, 梁在球任慶基殿參奉, 永禧殿令李明奎任章陵令, 六品李容圭任永禧...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棼棼, 了無止泊, 比如萬斛之舟, 駕彼驚濤駭浪, 而未有一人操其柁者, 噫, 亦危矣。 卽今可爲之道, 只在於殿下一心, 其所發諸言而措諸事者, 必也精粹純白, 眞箇透徹做去, 合天理厭人心然後, 庶可以回國勢於莫可收拾之餘, 而試以近日事論之, 或不無一二失當者, 何也? 噫, 殿處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7357 B067357 돈어 豚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純祖 7年 10月 20日_020 事失於下, 天變應於上, 上懼譴告之切, 下愧疵政之多, 豈無致災之由, 盍盡消弭之方? 大哉, 聖人之言也, 實啓我東方億萬年無疆之休, 我殿綸綍, 亦奚以異是哉? 然臣愚死罪, 竊以爲殿下所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祀後, 宣武祠, 遣承旨致祭事, 分付該曹。 上曰, 元景上疏, 予不捧, 故抑鬱而爲此議矣。 史可法, 予則不以賢人知之, 而元景夏曰, 諸君子, 姜日廣何人也? 尙魯曰, 曾以使臣, 出來於我國矣。 上曰, 場中雜亂, 未有甚於今科, 儒生所率入者, 皆無賴輩, 故場中, 呼某氏者多, 此...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부산부 협의회 회의록(釜山府協議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첨부 국가기록원 부산 부산부 협의회 회의록(釜山府協議會會議錄) 회의록 1928년 03월 30일 泉崎三郞(부윤) 芥川完一郞(1),上杉古太郞(2),大池忠助(4),松岡甚太(5),山本榮吉(6),吉岡重實(7),古郞(8),山川定(9),矢頭伊吉(1...
    대표표제어부산부 협의회 회의록(釜山府協議會會議錄) | 건명부산부립병원조례중개정의건-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28년 03월 | 회의일30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구술자료(2)

  • 김천흥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김천흥 대담조사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I-030 3200 서울 대담조사자료 1) 김천흥이 본인의 학습이력과 등 서울 소리꾼들에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가곡;시조;가사;잡가;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천흥
  • 김천흥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 2) 음질 상 김천흥 정재 권번 가곡;시조;가사;기타; 1999-10 민속촌 33:41 08:20 녹음목록A면 김천흥 대담B면 김천흥 대담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가곡;시조;가사;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천흥

신문·잡지(7)

  • 判事新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판소 슈반판 김연식씨 김슌씨가 피임하고 판 씨 리경구씨가 피임하엿다더라
    게재일1904년 12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技師叅書少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죠한창 김지현 량씨 궁부공상과 기를 피임고 법부참셔관 씨와 한셩소윤 박승죠 씨 상환엿더라
    게재일1902년 8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督刷三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강화즁쟝 리영표씨 경셩남도 독쇄관을 피명고 졍쥬참령 남신씨 젼라북도 독쇄관을 피명고 한성판소 판 씨 젼라남도 독례관을 피임얏더라
    게재일1904년 1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家基相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포덕문젼에 건츅는 덕인 고솔긔씨의 집터건으로 한셩소윤 씨가 일젼에 덕국공관에 젼왕야 의론려즉 덕령가 말기를 가문셔 상활로 외부와 교셥니 소윤과는 교셥것이 업다 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1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珪文奎臣任電話課主事 九品趙舜九仝金敎庠仝洪曾裕仝洪升裕命侍從院分主事 江華隊中隊長李永均命慶尙南道督刷官 全州隊大隊長白南信命全羅北道督刷官 漢城裁判所判事命全羅南道督刷官 命慶尙南道巡察使 漢城裁判所首班判事金璉식以上十二月二日 贊政朴齊純解臨時署理學部大臣事務十二月二日
    게재일1904년 12월 6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6)

  • / [예술·체육/국악]

    1867-1937년. 근세 가곡의 거장. 자는 성소(聖韶), 호는 금하(琴下). 본관은 진주(晋州). 서울 출신으로 가곡의 명창 하순일(河順一)과는 사촌간이다. 작은아버지 중곤(仲鯤)에게 가곡을 배운 다음, 중곤의 스승인 최수보(崔守甫)에게 사사하여 대성하였다. 19

  • 임기준 / 林基俊 [예술·체육/국악]

    1868-1940년. 가사와 시조의 명창. 서울 출신. 1939년 6월부터 9월까지 이왕직아악부 임시촉탁으로 부임하여 이름난 가인(歌人) ()이 부르지 않던 12가사 중 〈수양산가 首陽山歌〉·〈처사가 處士歌〉·〈양양가 襄陽歌〉·〈매화타령〉의 네 곡과 사설지

  • 백구사 / 白鷗詞 [문학/고전시가]

    . 발성법은 가성(假聲)을 많이 쓰는 여창시조에 가깝다. 전성(轉聲)은 중심음에서 4도 혹은 5도 상행할 때 중심음에서 나온다. 퇴성(退聲)은 중심음의 5도 위 음에서 2도 하행할 때 많이 쓰는 아악의 계면조곡과 시조에서의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에 의하

  • 사고무 / 四鼓舞 [예술·체육/무용]

    년 다동기생조합의 이 창작하여 초연하였고, 다동조합 기생들이 주로 추다가 1920년대에는 대동권번, 한성권번(이전의 광교기생조합)도 추었다. 궁중무의 기본 구성에 민속무인 승무의 북치는 대목을 섞어 구성하였다. 일제강점기 기생의 엽서 사진에 다양한 장면이 촬영되었

  • 가인필휴 / 歌人必携 [예술·체육/국악]

    이 가곡과 시조·가사의 노랫말을 모아 펴낸 가집. 1931년 조선정악전습소(朝鮮正樂傳習所)에서 발행하였다. 1912년 한성 중부 상다동(上茶洞)에 병설한 여악분교실(女樂分敎室)의 후신인 조선권번(朝鮮券番)에서 기녀들에게 가곡·가사·시조를 가르치기 위하여 발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