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행” 에 대한 검색결과 11,8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767)

사전(1,186)

  • TD_L14_D_2293 인물 登第, 歷敭, 淸顯, 復位, 己卯人, 退居, 副學, 入相, 典文 德水, 沔川 擇之, 容齋, 我成宗, 愼妃 D_12_02_19 대동운부군옥 12권 2장 1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2장 1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3647 인물 田樵亦賤, 國家, 養賢, 權臣, 賄賂, 得官, 添設, 犯顔之節 麗史 D_16_01_76 대동운부군옥 16권 1장 7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1장 7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7_D_0524 남자 山水之間, 自號 關東 選 D_08_01_35 대동운부군옥 8권 1장 3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1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7_D_0342 남자 人名, 登第, 大提學 驪州 周道, 騎牛子, 一可道人, 恭愍王, 文節 D_07_01_45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4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4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52(공민왕 1)∼1432(세종 14).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여주(驪州)이며, 자는 주도(周道), 호는 기우자(騎牛子)ㆍ백암거사(白巖居士)ㆍ일가도인(一可道人)이다. 충주목사 천백(天白)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황씨...
    이칭별칭 주도(周道)| 기우자(騎牛子), 백암거사(白巖居士), 일가도인(一可道人)| 문절(文節)

단행본(1)

  • 韓國學研究論文集(四)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5.12.
    유형단행본
    , 대중음악 그리고 극영화예술로의 - 최세훈ŸŸ ‧ 台籍學生的韓語模組: 以單詞與聲調詞組為主 - 林智凱ŸŸ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터넷 신문 교육 방안에 대한 소고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소 미ŸŸ

논문(2)

고서·고문서(7,950)

  • 末輝進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0052 창가 朝鮮名勝地理唱歌音譜 22192 1921 鄭敬惲 廣文書市 鄭敬惲 朴仁煥 實價 四十五錢 (郵稅金 二錢) 末輝進歌 〈mn〉숫자악보〈/mn〉 〈#9〉 [ (1.) ]  소래 자동차의 선듯 오르니 일만 이쳔 긔한
    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溫井進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0069 창가 朝鮮名勝地理唱歌音譜 22192 1921 鄭敬惲 廣文書市 鄭敬惲 朴仁煥 實價 四十五錢 (郵稅金 二錢) 溫井進歌 〈mn〉숫자악보〈/mn〉 〈#26〉 [ (1.) ] 신계동편 명승고적 일대 온정은 만물초에 왕래하는...
    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계약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2_1652 판결 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1부 계약 청구에 관한 건 융희(隆熙) 3년 보제175호, 융희(隆熙) 3년 민제58호 1909년 03월 24일 대곡신부(大谷信夫), 중촌시장(中村時章), 김의균(金宜均) 서기 암산덕...
    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1부 | 판결일자1909년 03월 24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계약 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2_1768 궐석판결서 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계약 에 관한 건 융희(隆熙) 3년 보제545호, 융희(隆熙) 3년 민제156호 1909년 04월 06일 경장삼랑(境長三郞), 김철현(金喆鉉), 수야정지승(水野正之丞) 서기
    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04월 06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계약 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2_2157 판결 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계약 에 관한 건 융희(隆熙) 3년 보제545호, 융희(隆熙) 3년 민제226호 1909년 05월 25일 경장삼랑(境長三郞), 김철현(金喆鉉), 수야정지승(水野正之丞) 서기 중원무...
    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05월 2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구술자료(8)

  • 04_126 충남 충청남도 보령시 충청남도 보령시_1.얼카뎅이야 2.위여차 1.얼카뎅이야 2.위여차 1.아시매기소리(호미) 2.에염소리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면 노천리 1987.4.18 素87-4-18①A 인(1919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1.잦은
    녹음지역충청남도 보령시 웅천면 노천리 | 녹음날짜1987.4.18 | 가창방식1.멕받형(선후창) 2.선입후제창
  • 04_127 충남 충청남도 보령시 충청남도 보령시_노천 만물소리 노천 만물소리 놀고 소리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면 노천리 1987.4.18 素87-4-18①A 인(1919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긴 만물소리 멕받형(선후창) 에헤-야, 에헤-헤- 헤이,이
    녹음지역충청남도 보령시 웅천면 노천리 | 녹음날짜1987.4.18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보령 26)노천 만물소리.jpg (보령 26)노천 만물소리.mp3 받음구 3회 가창중 제2,3회 것을 채보함. 첫회도 이와 비슷함. 선율이 안정적임. 솔(S1)줏대선법(솔 아래로 출현음이 있으나 솔을 기초로 하는 오음음계)에 속한다. 노천리
    녹음지역충청남도 보령시 웅천면 노천리 | 녹음날짜1987.4.3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한농선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된 대담자료이다. 2) 음질 상 한농선 한성기 오수암 최막동 양상식 김소희 박초월 오태석 박녹주 신숙 오수암 조농옥 조소옥 성창순 박봉술 박동실 김녹주 김홍주 이화중선 란 김죽파 자공일 김난영 정정렬 김정문 박기홍 송만갑 가야금 산조 병창 풍류 운담풍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한농선(한귀예)
  • 신철용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북 방문에 대한 불필요성 및 공산주의 에 대한 기억 - 월남 과정과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과 고마움 - 부산에서의 학창 시절 - 대학 입학과 군 생활 - 군 생활과 군 제대 후 미국행을 결심하기까지 - 미국 정착 결심과 뉴욕 내 이사 - 미국 내 한인에 대
    구술자신철용 | 직업세방여행사 | 지역황해도

기초학문(196)

  • 비교 민주화 론과 러시아의 탈공산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2326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정치학회 2003 비교 민주화 론과 러시아의 탈공산주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채무불법 개정안의 ‘불완전’ 개념 도입에 대한 단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성승현, 게재일 : 2014
    58774 성승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채무불법 개정안의 ‘불완전’ 개념 도입에 대한 단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미국의 학교-노동 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병관, 게재일 : 2002
    13386 김병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인구학회 2002 미국의 학교-노동 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요요 과 DIY 일대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순영, 게재일 : 2013
    42384 김순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연구소 2013 요요 과 DIY 일대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근대 기 서울의 객주와 객주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우용, 게재일 : 2005
    34388 전우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5 근대 기 서울의 객주와 객주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776)

  • 補外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쳥남도관찰 홍승헌씨가 긔어히 부임치 아니로  직상소 엿더니 비지에 루 효유되 일향상지니 분의가 아니라 경은곳 보외(補外)로 시다 셧다더라
    게재일1902년 8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依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외부에셔 부로 조회기를 본국이 각국과 통샹는것이 조약이 잇는지라 조계밧게는 각국셩이 디단을 매거나 가를 건츅는것을 쥰허지 안는약됴가 금셕과 갓흐니 만약 약됴를 억의면 민국간에 큰라 국 오삼년이로 일본인이 셩부에 도착즉 무지 셩들이 집을 방...
    게재일1902년 12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交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부에셔 부로 죠복기 황도 강령군 최치쥰의 치 안건으로 도판소 보고 인야 임의외부로 죠회야 간범일인 뎐즁인평과 합뎐삼평등을 죠률징판케라고 일공관에 교셥얏스니 죠량라 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11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半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향일 젼고위원이 부에 회동엿슬에 젼고위원이 회 규졍을 작뎡엿데 참여관의 의견으로 단칠인즁에 반슈만 회동면 회기로 졔위원이 가결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銓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에 군슈현궐이 구과인데 젼고규측이 반포된후 양력 십월초에나 젼고셔임기로 작뎡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71)

  • 고려로의 과 천문학_2주차_1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천문학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과 천문학 3주 조선 전기 천문학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
    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고려로의 과 천문학_2주차_2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천문학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과 천문학 3주 조선 전기 천문학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
    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고려로의 과 천문학_2주차_3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천문학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과 천문학 3주 조선 전기 천문학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
    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고려로의 과 천문학_2주차_4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천문학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과 천문학 3주 조선 전기 천문학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
    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고려로의 과 천문학_2주차_5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천문학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과 천문학 3주 조선 전기 천문학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
    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476)

  • 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1031 일본 松江 松江高等學校 松江高等學校一覽 昭和11年~昭和12年 1936―08―10 74면 래;來 조선
    학교소재지역松江 | 학교명松江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1039 일본 松江 松江高等學校 松江高等學校一覽 昭和12年~昭和13年 1937―07―17 70면 래;來 조선
    학교소재지역松江 | 학교명松江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0698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64면 7. 졸업자;1) 법관양성소 제1회 졸업자 (1895년 11월) 선;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1481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68면 7. 졸업;1) 법관양성소 제1회 졸업자 (1895년 11월) 선;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3301 남한 충남 천안농업고등학교 천안농업고등학교 졸업대장(1932~1945) n.r. 33면 10. 1941년도 졸업생(3년제) 진;鎭 경기도 용인군 1942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천안농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2)

주제어사전(58)

  • / [종교·철학/유학]

    1478(성종 9)∼1534(중종 29). 조선 중기의 문신. 명신의 증손, 할아버지는 추, 아버지는 의무, 어머니는 창녕 성씨이다. 1495년(연산군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권지승문원부정자, 예문관 검열·봉교, 성균관전적을 역임,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

  • 법 /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 원문에서 중간에 행을 바꾼 경우에 중단된 행의 마지막에 표시하는 방법.

  • 신실시행가 / 信實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작자는 김주희(金周熙)라는 주장도 있으나 자세한 고증이 요구된다.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 및 국문본 2종으로 간행되었으며,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3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신실시행가」와

  • 성하감입사행 / 城河嵌入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성간면 서동(지금의 자강도 성간군 성하노동자구)에 있는 계곡. 성하노동자구의 소재지에서 북동쪽으로 약 2㎞ 거리의 약 380m의 높이에 있다. 지각의 융기와 독로강(禿魯江)의 지류인 간북천(干北川)의 침식에 의하여 형성된 골짜기로서 산악하천의 특징을 보

  • 조선국왕세자 책봉고명 / 朝鮮國王世子 冊封誥命 [정치·법제]

    청 옹정제가 경의군 ()을 조선의 왕세자로 책봉하는 두루마리 문서. 이 문서는 한자와 만주자로 씌어 있다. 1725년 2월 소원 이씨가 낳은 경의군을 왕세자로 책봉한 뒤 청에 왕세자 책봉고명을 청하였다. 그해 9월에 청나라 사신이 왕세자 고명을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