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항” 에 대한 검색결과 11,7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656)

사전(1,304)

  • 이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2(숙종 38)∼1791(정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습지(習之), 호는 만은(晩隱). 아버지는 현감 항(恒)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가난하면서도 학문을 좋아하여 이름이 사방에 알려졌다...
    이칭별칭 습지(習之)| 만은(晩隱)
  • 이경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73(선조 6)∼1641(인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근임(謹任). 건원릉참봉 봉남(鳳男)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복(福)의 문하에서 공부하면서 김상헌(金尙憲) 등과 교유하였다.
    이칭별칭 근임(謹任)
  • 갈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배(培)의 시문집. [내용] 4권 1책. 석인본. 1985년 후손 재춘(宰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선(李種宣)의 서문과 권말에 재춘의 발문이 있다. 경상북도 안동시 이덕홍(李德弘) 종가에 소장되어 있...
  • 조계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머니는 이신충(李藎忠)의 딸이다. 신흠(申欽)의 사위로 숙부에게서 학문을 배우고, 뒤에 복(福)의 문인이 되었다. [내용] 1616년(광해군 8) 진사시에 합격하고, 인조반정 후 의금부도사가 되었다. 1628년(인조 6) 별시문과에 을...
    이칭별칭 자장(子長)| 약천(藥泉)| 충정(忠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231(고종 18).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1202년(신종 5) 안유부(安有孚)와 함께 좌우승선(左右承宣)에 임명되었고, 고종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다. 1221년 몽고사신들이 온다는 동북면병마사의 보고에 ...

단행본(5)

  • 조선후기 심설논쟁 화서학파-표점, 해제, 선역-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저자 :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11230
    이 책은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자료의 수집 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사업의 결과물로서, 총 4권의 자료집 가운데 제2권에 해당한다.이 책은 간재학파의 전우, 곽종석, 김준영, 오진영, 최병심, 남진영, 권순명, 유영선의 심설논변 자료이다. 이 책의 뒤편에는 이 ...
  •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저자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엮음 ... | 출판사 : 문사철 | 출판일 : 202201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심설논쟁아카이브 작업의 부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항로와 화서학파 학인들의 학문 사상에 대해서는 학계의 연구가 상당수 집적되었다. 그동안 발표되었던 논문 가운데 수작(秀作)이라고 할 만한 것, 연구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
  • 저자 : 이봉규, 한정길, 이원석, 엄연석, 양일모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이 책은 조선시대에 연행사절 혹은 다른 방식을 통해 서양의 종교와 학문을 수용한 사상가들을 중심으로 서학의 충격과 접변이라는 관점에서 조선시대 후기 사상가들이 서학을 형상화하는 방식 서학의 세계상에 대해 보인 반응을 조명하였다.
  • 한국근대외교사전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저자 : 임경석(성균관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영수(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이항준(서울여자대학... | 출판사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출판일 : 2012.10.12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이 책은 1876~1910년 시기 한국 외교사의 주요 사건, 조약, 인물, 조직과 기구 등에 관한 239개 항목을 다루었다.
  • 알타이어족 언어의 관직명 연구 [한국 상고문화기원 연구 -고고학,유전자,언어,문화교류- | 단국대학교]
    저자 : 이성규(단국대학교), 최형원(한국외국어대학교), 샥달수랭(몽골국립대학교), 바야르사이항(... | 출판사 : 단국대학교 출판부 | 출판일 : 2013.10.15
    분야언어 | 유형단행본
    1. 한국 상고문화 기원 연구와 언어 연구 2. 흉노 관직명 3. 요사 국어해의 거란어 관직명 4. 금사 국어해의 여진어 관직명 5. 몽골어 관직명 (1) 몽골

논문(4)

고서·고문서(8,763)

  • 請勿密啓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020 宋請勿密啓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末輝進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0052 창가 朝鮮名勝地理唱歌音譜 22192 1921 鄭敬惲 廣文書市 鄭敬惲 朴仁煥 實價 四十五錢 (郵稅金 二錢) 末輝進歌 〈mn〉숫자악보〈/mn〉 〈#9〉 [ (1.) ]  소래 자동차의 선듯 오르니 일만 이쳔 긔한
    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溫井進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10069 창가 朝鮮名勝地理唱歌音譜 22192 1921 鄭敬惲 廣文書市 鄭敬惲 朴仁煥 實價 四十五錢 (郵稅金 二錢) 溫井進歌 〈mn〉숫자악보〈/mn〉 〈#26〉 [ (1.) ] 신계동편 명승고적 일대 온정은 만물초에 왕래하는...
    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宋名臣言行錄 前集 卷二 【文靖公】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56 【文靖公】 字太初洺州人擢進士甲第位至丞相配享真宗廟庭 沆嘗侍曲宴太宗目送之曰沆風範端凝真貴人也真宗既與契丹和親王文正公問于公曰和親何如公曰善則善矣然邊患既息恐人主漸生侈心耳文正亦未以爲然及上晚年多事廵逰大修宮觀...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복(福)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구술자료(10)

  • 오성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p align="left">*친족 집의 대상을 치르는 데서 조사한 것이다. 낮에 들끓던 조객이 뜸해 날이 저물고, 친족들은 조객 접대가 끝나자, 저녁을 먹고 술도 몇 잔씩 해서 방에 모여 앉아 한담을 나누기 시작했다. 이야기는 날씨 이야기, 대상을 치른 이야기, 동...
    조사일시1980-01-21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노형동 | 제보자양형회
  • 숙종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3-06 | 조사장소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 제보자김수덕
  • 복의 재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8-17 | 조사장소충청북도 중원군 노은면 | 제보자유태선
  • 복과 이어송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항복 선생에 대한 일화를 묻자, 오성과 한음에 관련 된 책을 본 경험이 있었다는 말씀을 하시며 이항복과 이덕형의 인적에 대해 말 씀해주셨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억나신 이야기를 말씀해주셨다.
    조사일시2009. 2. 25(수) | 조사장소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1리 346번지(제보자의 자택) | 제보자신영범
  • 유 벙어리와 복(福)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돈집 가서 실수한 삼형제의 이야기가 끝났다. 조사가 그 이야기를 듣고 말째 동생의 행위에 대하여 감탄의 뜻을 표하니, 제보자는 그 사람처럼 겉으로는 어리석은 행동을 보이면서도 실상은 자기 할 일을 다하는 알찬 인물이 연상되었던지 바로 이 이야기를 전했다. 조사자...
    조사일시1981-07-28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 제보자김재현

기초학문(23)

  • 녕의 법사상 I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창록, 게재일 : 2014
    49270 김창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법사학회 2014 녕의 법사상 I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다항 유의어의 분포와 생태적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광호, 게재일 : 2008
    41452 이광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학회 2008 /다항 유의어의 분포와 생태적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프랑스어 대칭적 속담의 통사⦁의미적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성영, 게재일 : 2015
    62493 강성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5 프랑스어 대칭적 속담의 통사⦁의미적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학위논문] 高麗와 宋의 海上交易路와 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철웅, 게재일 : 2004
    04169 김철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04 [학위논문] 高麗와 宋의 海上交易路와 交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로와 전우의 역사의식에 관한 철학적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1
    35827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철학회 2001 로와 전우의 역사의식에 관한 철학적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1,150)

  • 交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부에셔 부로 죠복기 황도 강령군 최치쥰의 치 안건으로 도판소 보고 인야 임의외부로 죠회야 간범일인 뎐즁인평과 합뎐삼평등을 죠률징판케라고 일공관에 교셥얏스니 죠량라 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11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半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향일 젼고위원이 부에 회동엿슬에 젼고위원이 회 규졍을 작뎡엿데 참여관의 의견으로 단칠인즁에 반슈만 회동면 회기로 졔위원이 가결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銓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에 군슈현궐이 구과인데 젼고규측이 반포된후 양력 십월초에나 젼고셔임기로 작뎡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봉산일진회원 박경슈난 그 년쳔몰각질 손영국을 죵유야 오십여년젼에  로뎐건을 위죠로 문권을 만드러가지고 비리로 억다가 경셩일젼회 본부에셔 담판이되야 박경슈에 일졀 간샹이 탈로된고로 봉산지회에 각별신칙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一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구 관찰부에난일반관를일본경시고문보좌관과 우편국관리가 거졉엿시되 셔리관찰 박즁양씨 한말도망것이 업거니와 졍부에셔도 일인의관계되일은 좌우간에 한말도 교셥을각도 못더니 이등툥감이 그항을듯고 대구관찰부에 거졉일인에게 뎐보야 타쳐로이졉고그공 다노...
    게재일1906년 10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396)

  • 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581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평양사범학교 졸업기념 1936 6면 1. 강습과 주소록;3) 3조 룡;龍 평남 평원군 순안면 남창리 64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7904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25면 원;垣 함남 북청군 청해면 덕음리 제16회 1938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4967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3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15)송도고보 제8회(소화2년 3월) 93명 구;...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8051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20면 재;載 경기 -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8778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수원농학회보 창간호 1936―03―31 0 재;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6)

주제어사전(77)

  • / [종교·철학/유학]

    1499(연산군 5)∼1576(선조 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이자영, 어머니는 최인우의 딸이다. 박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백인걸은 의 학문이 조식에게 비길만하다고 칭찬하였다. 당시의 대학자인 기대승·김인후·노수신 등과 교유하면서 학문의 질을 높

  • / [종교·철학/유학]

    ?∼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종실. 할아버지는 인조, 아버지는 징이다. 1687년 혜민서제조가 되었고, 같은해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1689년에 주청사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왔다. 혜민서제조문제로 여러 차례 남구만 등의 규탄을 받았으나 그를 총애

  • 로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1792∼1868). 과거를 포기하고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주리철학의 대가이다. 조정에 천거되어 동부승지·공조참판·경연관 등을 역임하였고 병인양요가 일어났을 때 주전론을 펼쳤다. 저서로 《화서집》, 《벽계아언》 등이 있다.

  • 배 /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36년(영조 12). 증조는 숭언, 조부는 원의, 부친은 명익이다. 어머니는 김면의 딸이다. 생부는 태익, 생모는 김종미의 딸이다. 19세가 되던 1701년(숙종 27)부터 여러차례 향시에 응하여 합격, 1714년(숙종 40) 상상에 올랐으

  • 복 /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1618(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제현 후손, 성무 증손, 할아버지는 예신, 아버지는 몽량, 어머니는 최윤의 딸이다. 1580년(선조 13)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부정자, 예문관봉교, 이조좌랑, 이조참판, 의정부우참찬, 병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