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혜민서” 에 대한 검색결과 2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2)

사전(12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14년(태종 14) 혜민국이라 개칭하고 승‧부정‧녹사‧부녹사를 두었다. 1466년(세조 12) 관제를 개정할 때 라 고치고 주부 1인, 의학교수 2인, 직장‧봉사‧훈도 각 1인, 참봉 4인을 두었다. 『경국대전』에서는 제조 2인을 두고 취재시험에서 득점...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때 의약과 서민을 구료(救療)하는 임무를 관장하였던 관서.
    정의조선시대 때 의약과 서민을 구료(救療)하는 임무를 관장하였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Hyeminseo | MR표기Hyemin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삼의사(三醫司), 양의사(兩醫司), 예조(禮曹) 혜민국(惠民局), 혜민고국(惠民庫局) 나력의(瘰癧醫), 종약전(種藥田), 제생원(濟生院), 전의감(典醫監), 활인서(活人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
    상위어삼의사(三醫司), 양의사(兩醫司), 예조(禮曹) | 동의어혜민국(惠民局), 혜민고국(惠民庫局) | 관련어나력의(瘰癧醫), 종약전(種藥田), 제생원(濟生院), 전의감(典醫監), 활인서(活人署)
  • 동서활인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간사승의 의복 공급비용으로 충당하게 한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조선 후기로 오면서 활인서의 소임이 축소되자 1709년(숙종 35) 참봉 2인의 감원과 함께 ()에 이속되었고, 1743년(영조 19)에는 완전히 혁파되었다. ...
    이칭별칭동서활인서
  • 의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전의감(典醫監)‧내의원(內醫院)‧() 소속의 의관을 뽑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잡과시험. [내용] 다른 잡과와 마찬가지로 식년시와 증광시에만 설행되었고 초시와 복시만 실시되었다. 초시는 상식년(上式年) 가을에 전의...

고서·고문서(68)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19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經國大典》曰:“馬田ㆍ院田ㆍ津夫田ㆍ氷夫田ㆍ守陵軍田,則自耕無稅。” ○“諸司菜田ㆍ內需司田ㆍ種藥田,竝無稅。” ○“寺田ㆍ衙祿田ㆍ公須田ㆍ渡田ㆍ急走田,則各自收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120 經世遺表 卷七 ITKC_MP_0597A_1120_020_0070 《經國大典》曰:“馬田ㆍ院田ㆍ津夫田ㆍ氷夫田ㆍ守陵軍田,則自耕無稅。” ○“諸司菜田ㆍ內需司田ㆍ種藥田,竝無稅。” ○“寺田ㆍ衙祿田ㆍ公須田ㆍ渡田ㆍ急走田,則各自收稅。”...
    권차명經世遺表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31282 B031282 금귤 金橘 경제산업 濟州邑誌2 大靜縣誌 四界 進貢 ... 0205]榧子板 典醫監納陳皮․靑皮․香附子․海桐皮․安息香․半夏․ 梔子 納榧子․酸橘․金橘․乳柑․洞庭橘 濟用監納梔子 內需司納常藿․蔈古․草席․錢文 濟安大君傍納正木․錢文 錢文出陸貿納)
    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麝香一部鹿角一對納)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7830 B077830 동정귤 洞庭橘 경제산업 濟州邑誌2 旌義縣誌 四界 進貢 ... 05]梔子 尙衣院納梔子 司贍寺納蔈古 牛毛 義盈庫納常藿 繕工監納榧子板掌苑署納乳柑 榧子 洞庭橘 典醫監納 靑皮 陳皮 香附子 海桐皮 納靑皮 陳皮 香附子 海桐皮 ...
    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0)

  • /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의약과 서민을 구료를 관장하였던 관서. 1392년(태조 1)에 혜민고국(惠民庫局) 명칭으로 설치, 1414년(태종 14)에 혜민국으로 개칭, 1466년(세조 12) 라 고치고 주부 1인, 의학교수 2인, 직장·봉사·훈도 각 1인, 참봉 4인을 두었다.

  • 종약전 / 種藥田 [역사/조선시대사]

    ·활인서 등 서민을 위한 의료기구에서 소요되는 약재 마련을 위해 설정된 토지. 전의감·내의원 등의 약재는 진상으로 확보되었으나, 전자는 종약전을 근거로 각도 각관의 의원이 각지의 풍토에 맞는 것을 할당받아 종양하여 상납하였다.1432년(세종 14))에 약재를

  • 이항 / 李杭 [종교·철학/유학]

    ?∼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종실. 할아버지는 인조, 아버지는 징이다. 1687년 제조가 되었고, 같은해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1689년에 주청사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왔다. 제조문제로 여러 차례 남구만 등의 규탄을 받았으나 그를 총

  • 심약 / 審藥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종9품 외직. 궁중에 바치는 약재를 심사, 감독하기 위하여 각 도에 파견한 관원으로 전의감·의 의원 중에서 선임하였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각 도의 감영과 절도사가 있는 주진에 배치하였으며, 전라도의 경우 제주에도 1인을 두었다.

  • 가의녀 / 假醫女 [과학기술/의약학]

    조선 시대 부인들의 질병을 구호, 진료하는 여자 의원. 조선 시대에 간단한 의술을 익힌 뒤 내의원과 에 임시로 소속되어 궁녀들에게 침을 놓아주거나, 비빈들의 해산원에서 조산원 노릇 등의 심부름을 하였다. 이들은 때로 궁중의 크고 작은 잔치에서 기녀의 역할을 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