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1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975)
사전(3,219)
- 이거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02(태종 2).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내용] 본관은 청주(淸州). 호는 난파(蘭坡). 아버지는 문간공(文簡公) 정(挺)이다. 우왕초에 밀직부사를 지내고, 1382년(우왕 8) 경상도도순문사로 왜구를 소탕하였다. ...이칭별칭 난파(蘭坡)| 공절(恭節)
- 서애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록(李正祿)의 시문집. [내용] 1권 1책. 활자본. 1924년 현손(玄孫) 종곤(鍾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희진(李喜璡)ㆍ권순명(權純命)의 서문과 권말에 전일중(田鎰中)ㆍ이석기(李碩基)의 발문이 있다.
- 오정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정규(李鼎圭)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4년 이정규의 아들 이종록(李鍾祿)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최병심(崔秉心)의 서문, 권말에 전우(田愚)의 지(識)와 이종록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
- 대순철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이정립(李正立)이 증산사상(甑山思想)을 체계화하여 엮은 책. [내용] 1947년 대법사(大法社)에서 발간하였다. 총론과 전문 10장으로 되어 있다. 이정립은 그의 형 상호(祥昊)와 함께 강증산(姜甑山)의 언행록인 『대순전경(大巡典...
- 묵은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정신(李鼎新)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07년 9세손 철수(澈秀)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권말에 철수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단행본(14)
- 고구려-수 전쟁 -변경 요서에서 시작된 동아시아 大戰 [고구려―수 전쟁과 동아시아 | 경희대학교]저자 : 이정빈 ... | 출판사 : 주류선출판사 | 출판일 : 20181001
-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담은 옛날 이야기 [국립대만사범대학 한국학 전공 개편 신설 |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저자 : 이정민 외 ... | 출판사 : 凌宇出版 | 출판일 : 20210531第一, 本書所記載的傳說故事,是記載於韓國的小學課本,所以只要是韓國人,沒有人不知道這些故事。而透過這些故事,可以理解韓國的社會文化、風俗民情與韓國人的精神象徵。 第二, 本書以韓文故事與中文翻譯雙語方式刊行,對韓語學習者可學習到講故事的語體、詞彙與句型。 第三, 本書按故事...
- 한국사 2 [알타이 문화권을 역류하는 한국학의 새 물결 - 터키어권 인근 국가의 대학 연계를 통한 한국학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 | Erciyes University]저자 : 이정혜 ... | 출판사 : Anadolu Kitabevi | 출판일 : 202201Tarih ve kültür, bir ülke veya milletin eşsiz kimliğini anlamanın temelidir. Bir dili öğrenmek için yalnızca kelime ve dilbilgisi bilmek yetmez aynı...
- 민속사상과 민족종교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저자 : 이정재 ... | 출판사 :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 출판일 : 20230505한국에도 ‘한국철학사’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여타의 민속사상에 관한 내용이 없다. 한 예로 한국의 산신사상, 수목사상 혹은 무속사상은 철학사의 대상에서 빠져 있다. 세계의 어디든 민속사상의 바탕 위에 철학이나 종교가 성립했다. 그것은 시간의 조만과 무관하다. 우리는...
- 재미한인 1세와 2세의 삶과 인종갈등: 상업소수민족에서 주류소수민족으로 변화 [재미한인 차세대의 다양성 및 초국가적 관계와 활동에 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저자 : 이정덕, 박계영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30531이 책은 그동안 재미한인과 관련된 학자들이 한인 1세나 2세들을 따로 연구해왔고 또한 이들의 개별적인 특징에 주목해왔던 점을 넘어서서, 미국사회의 가장 핵심적인 사회관계인 인종갈등과 차별의 맥락에서 1세에서 2세를 연속선상에서 미국사회로의 분절적 편입과정으로 이해하고자...
논문(6)
- “정의 문학”에서 “상적 문학”에 이르기까지 [북경지역 한국학 교육 연구 강화 및 다민족 대상 한국학 교육 시스템 구축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명숙 | 게재정보 : 춘원연구학보유형논문
- 18_자동(紫東) 이정모(李正模)의 한주(寒洲) 성리설(性理說) 수용 과정과 심설(心說) 논변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전병철 | 게재정보 : 한국철학논집
- 韓美自由貿易協定修正談判對文在寅政府時期韓美關係之影響 [동북아 지역연구 속의 한국학 교육자와 차세대 육성 및 대만 내 한국학 연구 정립 사업 | 국립정치대학교]저자 : 陳蒿堯(진호요) | 게재정보 : 韓國學報유형논문
- 한국 문재인정부 "신 북방 정책" 에 관한 분석 韓國文在寅政府“新北方政策”評析 [중한 전략적 동반자 협력관계 시각에서 복합형 한국학 인재 양성 모델 추진방안 | 遼寧大學 (Liaoning University)]저자 : Zhang DongMing | 게재정보 : Journal of Liaoning University
- 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의 독소전쟁 형상화 양상 [고려인 문학지도 출판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저자 : 이정선(경희대학교) | 게재정보 : 국제한인문학연구 7권, 게재일 : 2010.1세계대전은 한국의 소설에서 그다지 다뤄지지 않는 소재이다. 그 시기 한반도는 일제의 식민지였기에 세계의 정세에 대한 정보를 제한적으로 밖에 접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그 전쟁을 문학의 소재로 삼기에는 당면의 식민지 현실 문제에 비해 체감도가 떨어졌을 것이다. 그렇...유형논문
고서·고문서(13,424)
- 亨利貞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650 周易四箋 卷一 ITKC_MP_0597A_0650_040_0020 亨利貞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周易四箋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利貞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650 周易四箋 卷一 ITKC_MP_0597A_0650_040_0050 利貞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周易四箋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與李廷評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三卷 與李廷評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43 與李廷評 某啟經由特辱枉訪適以臥病數日及連日會集殊無少暇治行匆遽不及一謝明日解維遂爾違闊豈勝愧負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아이정황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아이정황 박 여자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图们市) 제2고급중학 4 3 아이정황, 앉은자태, 온정못함, 두다리, 자주교착,...대표표제어아이정황 | 성씨박
- 이정일기(履正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일기는 경상북도(慶尙北道) 상주(尙州)에 거주한 사람이 1897년(고종 34) 정월 1일부터 동년 7월 6일까지의 일상과 풍속, 교유관계를 담은 생활일기(生活日記)이다. 이 자료는 19세기 말 경상북도 상주 지방에 거주한 개인의 기록을 통해 당시의...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344)
- 이정숙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이정숙 이정숙 역사 인물 현대 함경남도 함흥시 구술자료 - 가족관계 및 부유한 어린 시절과구술자이정숙 | 직업무직 | 지역함경남도
- 니정 내정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노래에 이어 이 노래를 불렀다. 청중이 박수를 치고 제보자가 노래를 불렀다.조사일시2011. 1. 20 (목)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갈화리 화전마을 | 제보자정소아
- 이암 이정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금 쉬었다가 제보자가 옆집 할머니에게 들은 이야기가 있다며 이 이야기를시작하려고 하자. 옆에 있던 큰딸이“맞다 그런 이야기가 있는데” 하면서 바싹 다가 앉자 조사자가 아가씨에게 계속 협조를 바란다고 말을 하자, 큰 딸이 웃으면서응답을 하였다. *조사일시1982-09-12 | 조사장소경상남도 김해군 진례면 | 제보자구점선
- 월사 이정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제 저녁도 이야기를 혼자서 했는데 오늘도 자기만 한다면서 이현우씨에게 이야기를 권했다. 그가 다음에 한다고 사양하자 제보자가 할 수 없다는 듯이 들려 <page id="38"></page> 준 이야기다. *조사일시1982-07-29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 제보자이수영
- 김정승과 이정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정보 없음*조사일시1980-02-28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 제보자이남이
기초학문(379)
- 『性理精義』와 西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62072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2 『性理精義』와 西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전승 양상에 따른 이정(二程) 철학의 차별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승원, 게재일 : 201764227 박승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전승 양상에 따른 이정(二程) 철학의 차별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이정(二程)의 원기설(元氣說) 비판과 리(理)의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원석, 게재일 : 201566968 이원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철학회 2015 이정(二程)의 원기설(元氣說) 비판과 리(理)의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5
- 梅泉 黃玹과 石亭 李定稷의 문학논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기태완, 게재일 : 200533755 기태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05 梅泉 黃玹과 石亭 李定稷의 문학논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05
- 石亭 李定稷의 문필생활과 시 특성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633756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시가문학회 2006 石亭 李定稷의 문필생활과 시 특성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838)
- 外案移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통감부에셔 공문야 젼 외부에셔 각국공와 교셥 문 일일번등야 간후에궁부에 죤안 각국친셔 국셔 상고다으로 졍부에셔 반말은 이왕긔얏거니와 일젼에 이등통감이 폐현에 궁부에 죤안건을 상고로 상쥬지라 졍부로 죠회기 궁부에잇 외교문...게재일1906년 9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地長施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디방국장 유셩쥰씨가 공이후에 국즁무를 일쳬량야 디방관리의 부임규측을 다시반포야실시고로신임군슈 십여인과 슈유군슈 십여인이 작금 량일에 발보고를 션납고 례로발졍데 모모셰력군슈 호발 부동고로령을파사탐야금일지발치아은군슈일쳬면관다더라...게재일1906년 9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水基移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인쳔항 슈도부셜 역에야 그 져슈긔지 과쳔군 혹셕동으로 지졍고 가와 분묘 쳘거케건으로 탁지부에셔 군슈에게 훈령얏더니 군슈 김동일씨가 셩의호소 등인야 방보고로 탁지부에셔 부로죠회야 김군슈 론경지더니 그 긔지가 다시변경야 로돌 궁...게재일1906년 9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宮殿移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친왕뎐하 본궁을 셜립로 대안동 젼판셔 홍슌형씨집과 자우민가 슈야 슈리다더니 도로방가되고 남문안 슈각교 엄쥰원씨집으로 친왕부를 뎡고 염쥰원씨 창녕위궁으로 이거기로 뎡엿다더라게재일1906년 3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非△伊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디방국쟝은디방졔도됴샤위원리원긍씨가피임다더니부회계국장졍봉시씨로뎡이되얏그에쥬즁에셔승차다더라게재일1906년 7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80)
- 7월 6일 서울지방법원에서 열린 정치깡패 일당에 대한 공판 소식을 전하는 영상이다. 피고인들이 호송줄에 묶여 재판정에 들어가는 모습, 재판정의 여러 풍경 및 이정재‧신도환‧유지광을 비롯한 피고인들의 얼굴 등을 영상으로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및 피고인 곽영주와 유지광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0년 7월 10일 | 제작공보처
- 호_ 유영모와 함석헌_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호_ 유영모와 함석헌_10주차_1차시 Y2L08W10V01_이은선, 이정배.mp4 Y2L08W10V01_이은선, 이정배_KR.vtt Y2L08W10V01_이은선, 이정배_CN.vtt Y2L08W10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호_ 유영모와 함석헌_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호_ 유영모와 함석헌_10주차_2차시 Y2L08W10V02_이은선, 이정배.mp4 Y2L08W10V02_이은선, 이정배_KR.vtt Y2L08W10V02_이은선, 이정배_CN.vtt Y2L08W10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호_ 유영모와 함석헌_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호_ 유영모와 함석헌_10주차_3차시 Y2L08W10V03_이은선, 이정배.mp4 Y2L08W10V03_이은선, 이정배_KR.vtt Y2L08W10V03_이은선, 이정배_CN.vtt Y2L08W10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호_ 유영모와 함석헌_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호_ 유영모와 함석헌_10주차_4차시 Y2L08W10V04_이은선, 이정배.mp4 Y2L08W10V04_이은선, 이정배_KR.vtt Y2L08W10V04_이은선, 이정배_CN.vtt Y2L08W10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기타자료(1,171)
- 이정;李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499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63면 1. 제12. 졸업생;1) 법과 제1회 졸업생(晝學) (1907년 4월 15일) 16인 이정;李炡 영변군 寧邊面 西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정;李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754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73면 1. 제12. 졸업생;12) 법과 제7회 졸업생 (1914년 3월 29일) 15인 이정;李政 함흥부내 中里 49-2;...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정;李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6352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78면 2. 제8. 졸업자;1) 제1회 법과(晝學) 16인 (1907년 4월 15일) 이정;李炡 (원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정;李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6607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82면 2. 제8. 졸업자;12) 제7회 법과 15인 (1914년 3월 29일) 이정;李政 (원적)함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정근;李正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53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이정근;李正根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2)
-
재미동포 아동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학 기반 문화 교육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이정희 | 경희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
고구려―수 전쟁과 동아시아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이정빈 | 경희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예제사회(禮制社會)의 성립과 전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정주 | 단국대학교 | 2016 | 국내 | 경기
-
충청지역 역사기록의 집성과 종합 DB화―17∼20세기 일상과 공공기록물의 통섭 및 자료의 맥락화―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정란 | 충남대학교 | 2019 | 국내 | 대전
-
충청지역 역사기록의 집성과 종합 DB화―17∼20세기 일상과 공공기록물의 통섭 및 자료의 맥락화―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정란 | 충남대학교 | 2022 | 국내 | 대전
주제어사전(177)
-
이정 / 里正 [사회/촌락]
조선시대 지방행정조직의 최말단 단위인 이의 책임자. 조선 후기에 와서 그 담당자들이 낮은 신분 출신으로 동네의 심부름꾼과 다름없이 되었으므로 이정(里丁)이라고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군현 이하의 하부조직으로는 면(面)·사(社)·방(坊)·동(洞)·이(里)·촌(村) 등
-
이정 / 李瀞 [종교·철학/유학]
1541(중종 36)∼1613(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중현 증손, 할아버지는 무, 아버지는 경성이다. 조식의 문하생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함안군수 유숭인의 휘하에서 소모관으로 의병을 모집하고 진해·창원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다. 상주목사,
-
이정 / 李霆 [종교·철학/유학]
1554(명종 9)∼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묵죽화가. 세종의 현손으로 익주군 이지의 아들이다. 석양정에 봉해졌다. 뒤에 석양군으로 승격되었다. 그의 작품으로는 <죽도>, <우죽도>, <문월도> 등이 전한다.
-
경이정 / 憬夷亭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태안군에 있는 조선시대 태안현 관아의 누정.관청건물. 시도유형문화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3호. 조선시대 태안현 관아 내에 세워졌던 건물이다. 이곳은 중국의 사신들이 안흥만(安興灣)을 통하여 들어올 때 휴식을 취하던 장소로, 건물의 명칭에서 ‘경’은 원행
-
이정구 / 李廷龜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석형 현손, 아버지는 계, 어머니는 김표의 딸이다. 윤근수의 문인이다. 1590년(선조 23)에는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병조판서,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시문집으로는 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