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3,1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818)
사전(6,586)
- 음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자(李耔)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재로(金在魯)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178수, 부(賦) 2편, 책(策) 1편, 소(疏...
- 제안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되어 식읍 2,500호를 받았다. 1114년에는 동덕공신 검교태보 수태위(同德功臣檢校太保守太尉)로 식읍 300호, 식실봉 250호를 받았고, 1122년(예종 17)에 제안후에서 제안공으로 봉하여졌다. 인종 재위시 권력을 장악한 이자겸(李資...이칭별칭 사절(思節)|서(?)
- 최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관인. [생애 및 활동사항] 1122년(예종 17) 이자겸(李資謙)이 집권하자, 뇌물로 노비 20구(口)를 바치고 급사중(給事中)에 오르자 여론이 분분하였다. 1126년(인종 4) 호부상서가...
- 최자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장사로 복직되고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가 되었으나 이듬해 치사하였다. 관리로 치적이 있었으나 이자겸(李資謙)의 난 때 그의 집에서 일본 것을 사람들이 흠으로 여겼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고려사(高麗史)』이칭별칭 충렬(忠烈)
- 이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66(세조 12)∼1499(연산군 5).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수덕(樹德). 인손(仁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극감(克堪)이고, 아버지는 세우(世佑)이며, 어머니는 권질(權耋)의 딸이다. 약해(若海)...이칭별칭 수덕(樹德)
단행본(2)
- 南北韓同義異字中譯詞彙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扈貞煥...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4.06.분야문학 | 유형단행본근래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 추세는 자연히 북한어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남북이 사용하는 한국어가 원래 같은 공통어에서 분화되었기 때문에 많은 부분의 어휘는 서로 공용하고 있다. 다만, 남북한 사이의...
- 한국철도, 추억과 희망의 레일로드 [한국 철도의 역사와 문화 - 침략의 길에서 공생발전의 길로 | 고려대학교]저자 : 이송순...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16.11.30유형단행본주하는 기차를 통해 새로운 세상을 접하게 되었다. 그것은 희망과 풍요를 실어 나르기도 했지만, 식민지와 분단, 전쟁이라는 한국근현대사의 소용돌이에서 수많은 눈물과 고통을 싣고 달렸다. 삶의 공간이자 문화공간으로서의 철도, 이에 대한 경험과 기억을 다양한 역사자료와 매체
논문(1)
- 明淸 교체기 조선 사신의 海路使行路線 중 山東 靑州府 夷齊廟의 문화공간 연구 [중국 산동 지역특화형 한국학 교육·연구 시스템 확립 및 중국 내 연행록 연구기지 구축 | 濰坊學院 (Weifang University)]저자 : 왕가 | 게재정보 : 중국문학
고서·고문서(22,863)
- 二子乘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50 詩經講義 卷一 ITKC_MP_0597A_0450_050_0190 二子乘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詩經講義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贈甫里子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40 詩集 卷四 ITKC_MP_0597A_0040_010_1090 贈甫里子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四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鄭李上䟽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三綱行實圖 三綱行實忠臣圖 鄭李上䟽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恭愍王方寵辛旽司議鄭樞正言李存吾上疏曰旽專國政有無君心常騎馬出入宮門與殿下並據胡床雖崔沆林衍亦未若此王怒召樞等面責時旽與王對床存吾目旽叱之旽不覺下床王愈怒下獄曰畏存吾怒目也命李春富李穡鞫誘者樞曰見上委政非人將危社稷不得黙...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이자료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자료 이 여자 베이징시(北京市) 중화인민총공회 가무단 무용대 2 2 이자료, 저, 수요. 저, 중국, 번역사업, 종사, 언...대표표제어이자료 | 성씨이
- 제57 채무불이행의 제재에 관한 특약이 있는가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조사지역 제2관구역인 해주, 황주, 평양 등 20여 지역을 대상으로 채무불이행의 제재의 특약과 효력, 채무자는 위약금을 지불하는 경우에 이자 및 손해배상을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조사한 보고서이다.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출판사미출판
구술자료(171)
- 이자겸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리 경노당에서 안평국씨가 계속해서 구연한 이야기다. 야담에도 있다고 전제한 것을 보아 야담책에서 본 자료인 듯하다. *조사일시1979-02-26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여주 | 제보자안평국
- 두더지의 나이자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1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문덕1동 | 제보자도무연
- 모심기 노래 (졸이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순금이 앞소리를 메기고 임순덕 등이 뒷소리를 받은 것이다. *조사일시1980-08-04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미천면 | 제보자김순금
- 업 보이자 비손한 귀동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도깨비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 제보자가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 조사자들이 마을회관에 들어가서 처음 조사를 시작할 때와 는 달리 점차 분위기가 진지해지면서 청중들이 서로 나서서 이야기를 구연하기 시작했다.조사일시2011.03.19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고서면 원강리 원유동마을회관 | 제보자노복림
- 뱀 죽이자 아들도 죽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어서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0. 02.11 | 조사장소충청남도 서천군 화산면 송산리 마을회관 | 제보자박선신
기초학문(68)
- 화이트헤드와 華嚴形而上學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진, 게재일 : 200213744 김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새한철학회 2002 화이트헤드와 華嚴形而上學의 문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고려시대 경원이씨 가문의 정치적 변화에서의 혼인망-이자의.이자겸 난과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수정, 게재일 : 200520232 신수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05 고려시대 경원이씨 가문의 정치적 변화에서의 혼인망-이자의.이자겸 난과 관련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05
-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정화, 게재일 : 201039844 서정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0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느헤미야와 문무왕의 이자금지와 채무면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중호, 게재일 : 201453941 정중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구약학회 2014 느헤미야와 문무왕의 이자금지와 채무면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이자율 위험의 교차헤징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정진, 게재일 : 200212317 이정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금융연구원 2002 이자율 위험의 교차헤징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2,262)
- 李子訴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리원에 슈 리유인씨의아달 리소영씨가 법부에쳥원기 평리원법관이 단지 김쥰식 쟝지원의얼거 고발것만 증거삼아 쟝김 량인은 일질도 안이고 의신에아비만 날마다 혁편과 쥬뢰로 혹형이 막심니 쟝김량인을 법부에셔 질공결케야 칠십지년에 옥즁귀신을 면케라 얏다...게재일1907년 1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無愧夷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판셔박긔양씨가 인헌병에 갓쳐잇난말은 다아난바어니와 동씨난 일헌병로 잡혀가난날부터 식음을거졀다더니 작일상오칠시량에 셰상을 영결얏다니 오호통재게재일1905년 1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受理自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인쳔항츅현 디단건으로 법국령와 일본령가 루차 판하다가 필경 귀졍치 못고 법공와 일공가 젼후문젹을 쳡련야 부로 공함고 공결을 쳥엿더니 부에셔 답공함기를 그건이 항구에 교섭샹 건인즉 리유가응당 그항구 감리에게 호소야 공결하난것이 확실 방...게재일1904년 11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施齋大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부터 각쳐즁이 동문밧 원흥에 회동야 를올녓데관광 남녀가루만명이더라게재일1902년 3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十二尺以上은 不許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十二尺以上은 不許 1927년 11월22일 서울 서울 경성상업회의소 평의원 선거전이 점차 박두해 오면서 피선거자를 추천...대표표제어十二尺以上은 不許 | 연월일1927년 11월22일 | 지역서울
멀티미디어(331)
- 조기 어업 5주차. 역사를 이어온 계절의 맛, 산나물 6주차. 바다가 준 선물, 바다나물 7주차. 한국인의 상찬(常饌), 배추김치 8주차. 멸치와 이와시(イワシ) 9주차. 바다를 건넌 멸치 10주차. 북해의 선물, 명태 11주차. 인삼, 가장 오래된 선물이자 수출품1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조기 어업 5주차. 역사를 이어온 계절의 맛, 산나물 6주차. 바다가 준 선물, 바다나물 7주차. 한국인의 상찬(常饌), 배추김치 8주차. 멸치와 이와시(イワシ) 9주차. 바다를 건넌 멸치 10주차. 북해의 선물, 명태 11주차. 인삼, 가장 오래된 선물이자 수출품1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조기 어업 5주차. 역사를 이어온 계절의 맛, 산나물 6주차. 바다가 준 선물, 바다나물 7주차. 한국인의 상찬(常饌), 배추김치 8주차. 멸치와 이와시(イワシ) 9주차. 바다를 건넌 멸치 10주차. 북해의 선물, 명태 11주차. 인삼, 가장 오래된 선물이자 수출품1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조기 어업 5주차. 역사를 이어온 계절의 맛, 산나물 6주차. 바다가 준 선물, 바다나물 7주차. 한국인의 상찬(常饌), 배추김치 8주차. 멸치와 이와시(イワシ) 9주차. 바다를 건넌 멸치 10주차. 북해의 선물, 명태 11주차. 인삼, 가장 오래된 선물이자 수출품1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조기 어업 5주차. 역사를 이어온 계절의 맛, 산나물 6주차. 바다가 준 선물, 바다나물 7주차. 한국인의 상찬(常饌), 배추김치 8주차. 멸치와 이와시(イワシ) 9주차. 바다를 건넌 멸치 10주차. 북해의 선물, 명태 11주차. 인삼, 가장 오래된 선물이자 수출품1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기타자료(534)
- 이자익;李自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589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22면 이자익;李自益 금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자범;李子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99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0면 이자범;李子範 제2회 1935-03-24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자현;李自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23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8면 이자현;李自鉉 제10회 1943년 3월 1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자경;李慈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483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78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이자경;李慈卿 4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자경;李慈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485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78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이자경;李慈卿 대구 경정 5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73)
-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강진호 | 성신여자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김종욱 | 동국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
遺産의 시대: 박정희의 시간과 문화재 전유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강희정 | 서강대학교 | 2023 | 국내 | 서울
-
성호전서(星湖全書) 정본화 사업 (Ⅲ)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만일 | 청명문화재단 | 2018 | 국내 | 경기
-
일본의 전쟁과 식민지 조선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하종문 | 한신대학교 | 2023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281)
-
이자 / 李耔 [종교·철학/유학]
1480(성종 11)∼1533(중종 28).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색의 후손, 이예견의 아들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 1504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해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천추사의 서장관으로 북경에 다녀온 뒤 이조좌랑, 의성현령을 역임하였다. 1519년
-
이자성리서 / 李子性理書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7.7×17.3cm이다. 표제는 이자성리서(李子性理書)이다. 조선시대 이이(李珥)가 쓴 책이다. 서문(序文)은 이도중(李度中), 발문(跋文)은 박기직(朴基稷)이 지었
-
갑인자 / 甲寅字 [언론·출판]
1434년(세종 16) 주자소에서 만든 동활자. 1420년에 만든 경자자의 자체가 가늘고 빽빽하여 보기가 어려워지자 좀더 큰 활자가 필요하다하여 1434년 갑인년에 왕명으로 주조된 활자이다.
-
대이작도 / 大伊作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속하는 섬. 대이작도의 인구는 2002에는 세대수와 인구수는 74세대, 166명이며 1994년보다 9세대 및 32명이 늘었다. 농업세대는 47세대에서 39세대로 줄었으며, 어업세대수는 14세대에서 19세대로 늘었다. 주민의 대부분은 반농반어로
-
소이작도 / 小伊作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이작리에 있는 섬. 동경 126°17′, 북위 37°01′에 위치한다. 대이작도에서 서북쪽으로 0.2㎞, 인천에서 남서쪽으로 42.2㎞ 지점에 있다. 동북쪽으로는 자월도를, 서북쪽으로는 덕적도를 마주한다. 면적은 1.45㎢이고, 해안선 길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