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윤성” 에 대한 검색결과 3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9)

사전(13)

  • 칠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활자본. 1960년 5대손 용연(龍淵)ㆍ의주(義主)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정진(奇正鎭)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용연의 발문이 있다. 전주대학교 도서관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21(중종 16)∼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유생. [내용]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희신(希信). 1549년(명종 4) 이홍남(李洪男)이 친동생 홍윤(洪胤)과 사이가 나빠 역모를 꾀한다고 무고하여 홍윤 등이 처형되는 변고가...
    이칭별칭 희신(希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집경(集卿). 아버지는 돈녕부도정 방협(邦恊)이다. 어려서부터 과업(科業)과 문예(文藝)에 힘썼고,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다. 1736년(영...
    이칭별칭 집경(集卿)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5(영조 41)∼1831(순조 31).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맹희(孟希). 호는 칠우(七迂). 아버지는 진사 이집(以鏶)이며, 어머니는 울산김씨(蔚山金氏)로 이현(履賢)의 딸이다. 아버지에게 학...
    이칭별칭 맹희(孟希)| 칠우(七迂)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두유애가 이재춘의 양자로 있을 때 종형으로, 유애는 에게 가산을 맡긴 후 자신의 친아버지를 찾아 나선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305)

  • 72202 B07220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2年 8月 8日_013 ○備局薦, 駿爲水原府使, 以韓配夏爲東萊府使。 以上朝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竝好矣。 致仁曰, 前楊州牧使, 其時所坐, 不過一時譴責, 而尙未收敍。 朴師訥·李普觀兩人, 旣以可薦仰陳, 而聞方在罷職中云矣。 上命書傳敎曰, 旣有相奏, 前楊州牧使·朴師訥, 前司直李普觀, 一竝敍用。 出傳敎 上命承旨, 讀關西老職狀聞。 上命書傳敎曰, 關西啓聞旣到,...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得情, 快正王法。 請削版罪人有臣·宗甲·義駿, 竝令王府, 設鞫嚴問, 依律處斷。 請南海縣定配罪人, 更令王府, 設鞫得情, 施以當律, 請楸子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得情, 夬正王法。 請削版罪人有臣·宗甲·義駿, 竝令王府, 設鞫嚴問, 依律處斷。 請海南縣定配罪人, 更令王府, 設鞫得情, 施以當律。 請楸子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削版罪人有臣·宗甲·義駿, 竝令王府, 設鞫嚴問, 依律處斷。 請南海縣定配罪人, 更令王府, 設鞫得情, 施以當律, 請楸子島定配罪人趙嵎, 亟寢酌處之命, 仍令王府, 設鞫得情, 夬正王法。 請薪智島荐棘罪人瑩中, 設鞫嚴問, 快施當律。 請濟州牧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이충선 답교놀이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호적 가락을 설명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이충선 능계 굿거리 타령 자진타령 호적 취타 염불 나비춤 연희음악 1985-05-26 11:35 00:00 A면 1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충선

신문·잡지(4)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十錢 李凞鳳 朴穉鎭 崔奉山 李完福 李殷成 李昌成 리宗녹 이상각二十錢식 리道成 四十錢 리德山 리容伊 已上各二十錢式 리在應 三十錢 리福先 四十錢 리聖儀 六十錢 리奉學 十錢 리奉山 五錢 리聖云 四十錢 리千用 三十錢 朴永浩 十錢 金治植 六十錢 金正宗 四十錢 金岐植 五十...
    게재일1907년 4월 23일 | 기사분류광고
  • 14 김히빈 운전사 15 리관식 운전사 16 리상규 운전사 17 리성원 평북도 신의주 자동차 사업소 사무원 18 리영태 수리리공 19 운전사 20 리정일 운전사 21 리진백 운전사 22 리학봉 운전사 23 림잔유 운전사 24 림정근 운전사 25 림정룡 운전사 2...
    대표표제어공보_1952_0531_08 | 날짜1952년 5월 31일
  • 벗이신 쓰딸린 대원수께와 영명한 지도자이신 김일성 장군께와 영용한 인민군대에 드리는 멧세―지를 각각 랑독 결정하였다. 뒤이어 모범로동자 김용태 리춘희 목순정 한덕근 최문자 최경순 김정숙 민효관 리재선 등 10씨에게 표창장과 상품을 수여하고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902_04
  • 재미한국학교동북부협의회회보_2012_3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여름방학 민재원 117 나의 큰 재산 118 한국학교의 추억 민승기 119 ...
    발행국가미국 | 발행연도2012

기타자료(6)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5577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106면 2. 제14. 재학생;4) 상과 제2학년 26명 ; (원적)경남 밀양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7427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97면 2. 제8. 졸업자;51) 상과 26인 (1933년 3월 18일) ; (원적)경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6686 남한 전북 전주신흥학교 2-44 新興 제2호 1937―03―10 83면 ; 전북 익산군;東京 中央大學 豫科 제19회(指定 제2회) 1936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신흥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4860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84면 1. 卒業生;21) 21회(64명: 1930년 3월 졸업) ; 경남 밀양군 府北面 退老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특집 인간성개발교육) 도덕 윤리 교육에 관한 잠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71 3 부산교육 162호 부산시교육위원회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윤성 | 사료철명부산교육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719년(숙종 45)∼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이방협의 아들이다. 1736년(영조 12) 병조판서 박문수의 천거로 남행선전관에 제수되었다. 1758년에 제주목사로 나아가 수입된 호마의 방목에 힘썼다. 1769년에 양주목사가 되었다. 사후 형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이희경 / 李熙絅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66년(고종 3). 조선 후기의 무신. 손자, 이경식의 아들이다. 선전관에 취임한 뒤 1826년(순조 26) 무과에 급제하였다. 그뒤 어영대장·총융사·금위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1851년 좌변포도대장이, 금위대장, 공조판서 겸 지의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