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육사” 에 대한 검색결과 2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3)

사전(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감번호 ‘()’에서 취음한 것이다. 작품 발표 때 ‘육사’와 ‘()’ 및 활(活)을 사용하였다. 아버지는 황(滉)의 13대 손인 가호(家鎬)이며, 어머니는 허길(許吉)로, 5형제 중 둘째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
    이칭별칭 태경(台卿)
  • 생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문화사, 1995) 『안동(安東)의 얼』(안동시, 1991) 『지방문화재대관(地方文化財大觀)』(경상북도, 1980) 생가 경북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연계항목이육사생가(李陸史生家)
  • 광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가 지은 시. [개설] 5연 15행의 자유시이다. 작자의 말년 작품으로 유고로 전하여지다가, 1945년 12월 17일 『자유신문』에 동생 이원조(李源朝)에 의하여 「꽃」과 함께 발표되었다. 그 뒤 시집에 계속 실려 의...
  • 육사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 본명 源祿)의 시집. [내용] B6판. 70면. 1946년 서울출판사에서 간행하였다. 육사가 죽은 지 2년 뒤에 아우 원조(源朝)가 시작품을 모아 엮었다. 신석초(申石艸)‧김광균(金光均)‧오장환(吳章煥)‧이용악(李庸岳)
  • 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분하게 펼쳐 보이고 있는 시인의 태도를 짐작하게 한다. [의의와 평가] 『시학(詩學)』을 무대로 함께 활약한 ()는 이 시집에서 더욱 원숙해가는 시인의 시적 경지를 엿볼 수 있다고 호평한 바 있다. 『한국현대...

논문(1)

고서·고문서(72)

  • 2903 B002903 갑곶강 甲串江 하천 東史綱目第十一上 癸丑四十年 八月 _ ○習水戰于甲串江○蒙古帥也窟遣使來⁄也窟遣人傳詔於王責曰朕欲自白日所出至于所沒凡有黎庶咸⁄令逸樂緣汝輩逆命命皇叔也窟統師往伐若迎命納款罷兵以還若有拒⁄命則朕必無赦⁄蒙古陷掠山城屠之⁄城在西海島今未詳四面
    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一上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916 B002916 갑곶강 甲串江 하천 高麗史節要 卷之十七 高宗 四十年 八月 八月 習水戰于甲串江校尉大金就 率牛峯別抄三十餘人 與蒙古兵戰于金郊興義間 斬首數級 獲馬弓矢氈裘等物⁄蒙古元帥也窟 遣人傳詔於王 其詔 責曰 朕欲自白日所出 至于所沒 凡有黎庶咸令逸樂 緣汝輩逆命 命...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七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人事門1_君之祭肉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脤.’” 《註》: “‘受脤’, 君祭, 大夫; ‘歸脤’, 大夫祭, 歸肉於公也.” 又《夏官ㆍ祭僕》云: “凡祭祀致福者, 展而受之.” 《註》云: “臣有祭祀, 必致祭肉於君所.” 若然, 臣之祭肉, 君猶受而膳之, 況君之祭肉耶? 敬君之餘, “蹴路馬蒭有罰”, 棄君之祭肉, 不敬之甚...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5426 B00542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1年 7月 17日_023 爲內修外攘之策, 凶黨大惡, 行讒于虜, 使壓境, 則時事又大變矣。 慶餘遂反初服, 臨死之日, 口呼遺疏, 縷縷數百言, 無非務聖學堅聖志, 尊周室攘夷狄之義, 而炳炳丹?, 可質鬼神, 人至今傳...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양증조부[養曾祖考]의 기일이어서 소식(素食)을 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贅肉, 問於金壽聃, 可以切去, 艾灸其根, 則差云云。○李弘宇來見, 問藥物, 且言“牧伯以金石同五斗畓許望呈人”云云。○ 柳梓來見, 言“柳昌定不納見罷”云云。十五日上京云, 辭去。 1556년 10월 6일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기초학문(5)

  • 의 중국 유학과 北京中國大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61795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회(구 이화중국어문학회) 2009 의 중국 유학과 北京中國大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근대성의 궤적: 의 중국문학 수용과 변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시활, 게재일 : 2012
    40160 이시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근대성의 궤적: 의 중국문학 수용과 변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르네 샤르에서 로 : 저항의 포-에티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찬규, 게재일 : 2014
    53075 이찬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교문화연구소 2014 르네 샤르에서 로 : 저항의 포-에티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宇宙的 原理를 내재화한 詩 텍스트의 의미구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유화, 게재일 : 2006
    41142 정유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宇宙的 原理를 내재화한 詩 텍스트의 의미구조: 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와 , 그리고 〈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70715 한국연구재단 한중인문학회 2015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와 , 그리고 〈꽃〉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8)

멀티미디어(106)

  • 윤동주,_6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그문제의식이어떻게놀라운예술적 성취로 이어졌는지를 이해한다. 이 과정을돕기위하여시로만든노래를들어본다. 1주차. 김소월 2주차. 한용운,이상화 3주차. 이상 4주차. 정지용,김영랑 5주차. 백석,이용악 6주차. 윤동주, 7주차. 방정환,윤석중 8주차. 김종삼 9주
    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윤동주,_6주차_2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그문제의식이어떻게놀라운예술적 성취로 이어졌는지를 이해한다. 이 과정을돕기위하여시로만든노래를들어본다. 1주차. 김소월 2주차. 한용운,이상화 3주차. 이상 4주차. 정지용,김영랑 5주차. 백석,이용악 6주차. 윤동주, 7주차. 방정환,윤석중 8주차. 김종삼 9주
    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윤동주,_6주차_3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그문제의식이어떻게놀라운예술적 성취로 이어졌는지를 이해한다. 이 과정을돕기위하여시로만든노래를들어본다. 1주차. 김소월 2주차. 한용운,이상화 3주차. 이상 4주차. 정지용,김영랑 5주차. 백석,이용악 6주차. 윤동주, 7주차. 방정환,윤석중 8주차. 김종삼 9주
    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윤동주,_6주차_4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그문제의식이어떻게놀라운예술적 성취로 이어졌는지를 이해한다. 이 과정을돕기위하여시로만든노래를들어본다. 1주차. 김소월 2주차. 한용운,이상화 3주차. 이상 4주차. 정지용,김영랑 5주차. 백석,이용악 6주차. 윤동주, 7주차. 방정환,윤석중 8주차. 김종삼 9주
    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윤동주,_6주차_5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그문제의식이어떻게놀라운예술적 성취로 이어졌는지를 이해한다. 이 과정을돕기위하여시로만든노래를들어본다. 1주차. 김소월 2주차. 한용운,이상화 3주차. 이상 4주차. 정지용,김영랑 5주차. 백석,이용악 6주차. 윤동주, 7주차. 방정환,윤석중 8주차. 김종삼 9주
    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기타자료(1)

  • (시) 청포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1966 7 문교경북 2호 경상북도교육위원회 11 1 PDF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육사 | 사료철명문교경북

주제어사전(2)

  • / [문학]

    항일기의 시인·독립운동가(1904∼1944). 형무소수감번호 ‘’에서 취음한 것이다. 1925년 대구에서 의열단에 가입했고 1927년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었다. 이후 17차에 걸쳐서 옥고를 치렀다. 1930년 1월 3일자 《조선일보》에

  • 광야 / 曠野 [문학/현대문학]

    ()가 지은 시. 5연 15행의 자유시이다. 작자의 말년 작품으로 유고로 전하여지다가, 1945년 12월 17일『자유신문』에 동생 이원조(李源朝)에 의하여 「꽃」과 함께 발표되었다. 그 뒤 시집에 계속 실려 의 후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육사시비(陸史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