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8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695)
사전(1,541)
- 농수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문정(李聞政)의 유고. [내용] 2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제1책에는 일기‧제문‧서(書)‧수문록(隨聞錄), 제2책에는 수문록‧질(秩)‧논, 그리고 이징만(李徵萬)이 기록한 목호룡무고(睦虎龍誣告) 등...
- 모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문형(李文衡)의 시문집. [내용] 5권 2책. 석인본. 1793년(정조 17) 소수중(蘇洙中)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양호(洪良浩)의 서문과 권말에 저자의 연보가 있다. 전북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
- 석동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문재(李文載)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5년 이문재의 8세손 이남의(李南儀)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김복한(金福漢)‧정기(鄭琦)의 서문, 권말에 송교순(宋敎淳)과 9세손 이기석(李起石)의 발문이 있...
- 금곡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인 이문록(李文祿)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30년에 그의 후손인 종곤(鍾坤)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이희진(李喜璡)의 서문과, 족손(族孫)인 기로(驥魯)와 김택술(金澤述)의 발문이 있다. 국립...
- 풍거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문규(李文規)의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1835년(헌종 1) 손자 원우(源宇)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宇)의 서문이, 권말에 원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영남대학교 도서관...
단행본(4)
- 대승기신론소별기 주석 [중국 강서성 한국학 교육시스템 구축 사업 | 南昌大學 (Nanchang University)]저자 : 謝飛 ... | 출판사 : 학자원 | 출판일 : 20241231釋於《大乘起信論》之《疏》,振古[ 振古:自古。《詩經·周頌·載芟》:“匪今斯今,振古如茲。”《文選·左思·魏都賦》:“兆朕振古,萌抵疇昔。”]凡有三品:曰法藏、曰慧遠[ 慧遠:淨影寺沙門慧遠。]、曰元曉,世謂之本《論》三師。就中,先二《疏》行於世年已尚矣,是機緣方熟也。今斯《疏》唯䎹[ 䎹:《玉篇...
- 실크로드: 이문화연구와 미래 [크로아티아 스플릿대학교 한국학센터 설립과 한국학 전문가 육성방안 | University of Split]저자 : Brian Willems, Srećko Jurišić ... | 출판사 : University of Split | 출판일 : 20200630This is the book of proceedings from the conference Silk Road: Cross-Cultural Studies and the Future. Summaries of the book are by the well-respected ...
- 한국의 장례 문화와 상조업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저자 : 이문희 ... | 출판사 : 해남 | 출판일 : 2024051021세기 한국의 상조업은 세계의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산업이자 하나의 문화적 현상으로서 현대 한국 사회를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제공한다. 한국의 상조업으로부터 현대화된 유교적 전통과 무속 문화, 효에 대한 전통적 인식의 지속성과 현대적 변화, ...
- 고문서집성 100 - 김천 직지사, 예천 용문사 편 - [한국고문서 기초연구 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분야역사 | 유형단행본김천 직지사(金泉 直指寺) 1. 사지사적류(寺誌事蹟類) 2. 자산관리문서(資産管理文書) 3. 불사관련문서(佛事關聯文書) 4. 행정관련문서(行政關聯文書) 5. 직지
논문(4)
- 元代漢吏文と朝鮮吏読-朝鮮吏文の形成と吏讀の起源を摸索しながら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저자 : 정광 | 게재정보 : 朝鮮學報유형논문
- 박선석과 이문구 소설에서의 상처 치유 양상 비교 [북경지역 한국학 교육 연구 강화 및 다민족 대상 한국학 교육 시스템 구축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현철 | 게재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59권, 게재일 : 2016.06유형논문
- 고대 동아시아 해역의 이문화간 교류와 통역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저자 : 정순일 | 게재정보 : 신라사학보
- 朝鮮吏文の形成と吏讀 - 口訣の起源を摸索しながら-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저자 : 정광 | 게재정보 : 日韓漢文訓讀 2014년 , 게재일 : 2014유형논문
고서·고문서(13,480)
- 이문(吏文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이문(吏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答李文達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120 答李文達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答李文達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130 答李文達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與李文達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140 與李文達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42)
- 이문원 이판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얘기에서 보인 청중1의 전환적 반응이 자연스럽게 구연으로 이어진 것이다. 역시 강한 논평의식 위에서 구연된 얘기다.*조사일시1981-02-20 | 조사장소충청남도 보령군 대천 | 제보자박성호
- 이문안 이판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 상황 없음*조사일시1980-03-15 | 조사장소충청남도 대덕군 구즉면 | 제보자이병일
- 이문영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해방 전후 학창시절 한국 전쟁 당시의 경험 4.19와 교수데모 유신체제성립과 한일협정 김대중에게 주목하게 된 계기 전태일의 죽음 노동문제연구소 활동과 노동현실 유신헌법 공포 후 대학가 분위기와 기독자교수협의회 노동문제연구소소장과 두 번의 해직 기독자 교수협의회의 자세한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서울 20161103_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자택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20161103_002_1820_동대문구 2016 서울 20161103 서울 2016. 11. 03(목) 18:00-20:3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자택 툭스자르칼 [몽골,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2년차] 조사자 2인 오정미, 이원영 조사자가 다문화제보자툭스자르칼 [몽골,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국립문화재연구소 시창 및 송서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기획 및 제작된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자료시리즈 (19) 시창 및 송서(음반번호: KICP-055) 음반을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송서 시창 율창 김월하 박헌봉 양일광 이문원 관산융마 어부사 청담삼월 금시당 차독사서 시상부 등왕각서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문원
기초학문(194)
- 忠南 飛鳳蛇紋石鑛床 蛇紋岩의 起源岩과 蛇紋石化作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우영균, 게재일 : 200510550 우영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忠南 飛鳳蛇紋石鑛床 蛇紋岩의 起源岩과 蛇紋石化作用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유형논문 | 게재일2005
- 忠南 光時 蛇紋石鑛床 蛇紋岩內 橄欖石과 輝石의 蛇紋石化作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우영균, 게재일 : 200501902 우영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忠南 光時 蛇紋石鑛床 蛇紋岩內 橄欖石과 輝石의 蛇紋石化作用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의사소통과 이문화관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시홍, 게재일 : 200548078 김시홍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2005 의사소통과 이문화관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05
- 忠南 廣川-大同-太原 蛇紋石鑛床 蛇紋岩의 起源岩과 蛇紋石化作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우영균, 게재일 : 200501903 우영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忠南 廣川-大同-太原 蛇紋石鑛床 蛇紋岩의 起源岩과 蛇紋石化作用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05
- 忠南 月林-光時-飛鳳 蛇紋石鑛床 蛇紋岩의 起源岩과 蛇紋石化作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우영균, 게재일 : 200511375 우영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忠南 月林-光時-飛鳳 蛇紋石鑛床 蛇紋岩의 起源岩과 蛇紋石化作用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103)
- 이문고적(理門古迹)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이문고적(理門古迹) 理門古迹 이문고적 유통서지 理門古迹 1 太賢述 華嚴宗章疏并因明錄 T55, p. 1134c11대표표제어이문고적(理門古迹) | 대표서명理門古迹 | 한글서명이문고적 | 서지형태유통서지
- 이문론기(理門論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이문론기(理門論記) 理門論記 이문론기 유통서지 理門論記 1 玄範師 卌一 小乘經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8)...대표표제어이문론기(理門論記) | 대표서명理門論記 | 한글서명이문론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이문론초(理門論抄)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이문론초(理門論抄) 理門論抄 이문론초 유통서지 理門論抄 1 泰 卅一 小乘經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8) ...대표표제어이문론초(理門論抄) | 대표서명理門論抄 | 한글서명이문론초 | 서지형태유통서지
- 이문소(理門疏)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이문소(理門疏) 1 理門疏 이문소 유통서지 理門疏 2 道證 增補諸宗章疏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김영태 엮음, 서울:...대표표제어이문소(理門疏) 1 | 대표서명理門疏 | 한글서명이문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이문소(理門疏)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이문소(理門疏) 2 理門鈔 이문소 유통서지 理門鈔 2 道證 增補諸宗章疏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김영태 엮음, 서울:...대표표제어이문소(理門疏) 2 | 대표서명理門鈔 | 한글서명이문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멀티미디어(45)
- 결하기 위한 의학과 약물 지식의 교류 등을 중심으로, 당시 삶과 문화 등을 전반적으로 재해석하고 설명 1주 한국 고대 의약생활의 탐구 2주 고려 사람 이규보의 의약생활 3주 귀한 손자 키우기: 이문건의 『양아록』 4주 퇴계 이황의 의학과 의술 5주 병과 의약생활로강좌제목병, 약, 몸의 한국사 | 강의자신동원 교수
- 결하기 위한 의학과 약물 지식의 교류 등을 중심으로, 당시 삶과 문화 등을 전반적으로 재해석하고 설명 1주 한국 고대 의약생활의 탐구 2주 고려 사람 이규보의 의약생활 3주 귀한 손자 키우기: 이문건의 『양아록』 4주 퇴계 이황의 의학과 의술 5주 병과 의약생활로강좌제목병, 약, 몸의 한국사 | 강의자신동원 교수
- 결하기 위한 의학과 약물 지식의 교류 등을 중심으로, 당시 삶과 문화 등을 전반적으로 재해석하고 설명 1주 한국 고대 의약생활의 탐구 2주 고려 사람 이규보의 의약생활 3주 귀한 손자 키우기: 이문건의 『양아록』 4주 퇴계 이황의 의학과 의술 5주 병과 의약생활로강좌제목병, 약, 몸의 한국사 | 강의자신동원 교수
- 결하기 위한 의학과 약물 지식의 교류 등을 중심으로, 당시 삶과 문화 등을 전반적으로 재해석하고 설명 1주 한국 고대 의약생활의 탐구 2주 고려 사람 이규보의 의약생활 3주 귀한 손자 키우기: 이문건의 『양아록』 4주 퇴계 이황의 의학과 의술 5주 병과 의약생활로강좌제목병, 약, 몸의 한국사 | 강의자신동원 교수
- 결하기 위한 의학과 약물 지식의 교류 등을 중심으로, 당시 삶과 문화 등을 전반적으로 재해석하고 설명 1주 한국 고대 의약생활의 탐구 2주 고려 사람 이규보의 의약생활 3주 귀한 손자 키우기: 이문건의 『양아록』 4주 퇴계 이황의 의학과 의술 5주 병과 의약생활로강좌제목병, 약, 몸의 한국사 | 강의자신동원 교수
기타자료(282)
- 이문원;李文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5185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10年 1935―09―30 344면 이문원;李文垣 조선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문원;李文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5210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11年 1936―09―30 336면 이문원;李文垣 조선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문숙;李汶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이문숙;李汶淑 경상남도 함안 소화15년 3월4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문탁;李文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7021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6면 (38) 제36회 163명(1940년 3월 졸업) 이문탁;李文鐸 경성법학전문학교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문순;李文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273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81면 이문순;李文淳 경성부 황금정2정목 11 제11회 193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이해영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 2014 | 국외 | 해외
-
아시아와 한류-인문콘텐츠를 통한 해외 한국학 교재 개발 및 출판 계획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박상환 | 성균관대학교 | 2010 | 국내 | 서울
-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정긍식 | 서울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정우봉 | 고려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Jamila Ermetova | Urganch Davlat Universiteti (Urgench State University) | 2022 | 국외
주제어사전(101)
-
이문 / 里門 [사회/촌락]
2가 165번지에 있던 태평관 동쪽, 성동구 상왕십리 현인동, 마포구 염리동 서울여자중학교 부근 등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이문의 터가 있었다. 이문의 터로 인하여 그것이 지명으로 된 사례도 많은데 이문동(里門洞)·이문리(里門里)·이문골·이문거리·이문안·이문내·이문
-
이문 / 吏文 [언어/언어/문자]
중국과 주고받는 외교문서 및 우리 나라의 관청 공문서 등에 사용되던 독특한 한문(漢文)의 문체(文體). 우리 나라에서 이문이 문제된 것은 중국과의 외교문서에 이것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외교문서는 원래 순수한 한문으로 썼으나 이러한 이문으로도 썼는데, 한문만 통달하여
-
이문 / 移文 [정치·법제/법제·행정]
동등한 아문에 보내는 문서. 또는 문서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다만『경국대전』에 의하면 2품 이상 아문 만이 상고할 일에 관하여 직접 이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2품 아문에 준하는 아문(승정원·사간원·예문관·성균관 등)도 직접 이문할 수 있었던
-
이문대사 / 吏文大師 [언어/언어/문자]
한자어구까지 한글로 독음을 달아놓은 『이문(吏文)』이라는 책이 전한다.
-
이문원 / 李文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0∼1794). 1771년 정시문과 병과급제 후 삼사와 승정원의 청요직을 역임하고 부사직·형조판서 등에 이르렀다. 1792년 이조판서 재직 중 채제공을 심히 논척하는 상소를 올렸다 향리로 쫓겨나기도 하였으나, 곧 복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