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의원” 에 대한 검색결과 16,4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93)

사전(3,536)

  • 이계훈(李繼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687 인물 이계훈(李繼勳) 이계훈 李繼勳 ? ? 조선 후기의 (). 1655년 정사 조형(趙珩) ∙ 부사 유창(兪瑒) ∙ 종사관 남용익(南龍翼)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의 습직(襲職)을 축...
    유형분류인물
  • 이수번(李秀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951 인물 이수번(李秀蕃) 이수번 李秀蕃 ? ? 조선 후기의 (). 주부(主簿)를 지냈다. 1682년 정사 윤지완(尹趾完) ∙ 부사 이언강(李彦綱) ∙ 종사관 박경후(朴慶後)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쓰...
    유형분류인물
  • 이위(李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094 인물 이위(李渭) 이위 李渭 ? ? 조선 후기의 (). 종구품 잡직인 부사용(副司勇)을 지냈다.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삼사신이 도쿠...
    유형분류인물
  • 오신보(吳信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812 인물 오신보(吳信甫) 오신보 吳信甫 ? ? 조선 중기 (). 1636년 정사 임광(任絖) ∙ 부사 김세렴(金世濂) ∙ 종사관 황호(黃㦿) 등 삼사신이 도쿠가와 막부의 태평을 축하하기 위하여 일본을 방...
    유형분류인물
  • 최인(崔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515 인물 최인(崔栶) 최인 崔栶 ? ? 조선 후기의 (). 부사정(副司正) ∙ 사과(司果)를 지냈다. 1655년 정사 조형(趙珩) ∙ 부사 유창(兪瑒) ∙ 종사관 남용익(南龍翼)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
    유형분류인물

단행본(1)

  •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궁궐 안 사람들의 옷 이야기 | 성균관대학교]
    저자 : 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국학자료연구실 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발끝까지 꾸미기 4. 왕실복식을 책임진 기구 (1) 상, 왕실의 보물창고 (2) 제용감, 또 다른 내탕고 (3) 호조, 왕실의 윤활유

논문(1)

  • 1985년 제12대 국회 선거 연구 [제 5 공화국 연구 | 서울대학교]
    저자 : 강원택 | 게재정보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고서·고문서(4,543)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무순시(抚顺市) 조선족제2중학일어조 3 2 , 소아과, 사업, 딸, 질병치료, 서적,
    대표표제어의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저 박 남자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흥안맹(兴安盟) 오란호특시(乌兰浩特市) 조선족중학 3 3 저, 감사,...
    대표표제어저의원 | 성씨
  • 08587 창가 兒童敎育歌曲集 22171 1938년 明文堂 明文堂 明文堂 朴翰柱 五拾錢 동리 〈mn〉오선보있음〈/mn〉 〈#44〉 [ 一 ] 우리 동리 차돌이 이라오 동리 안에 이름난 이라오 동리 애들 병나면 솔닢 침...
    구분창가 | 편저자明文堂
  • 06761 창가 홍난파작 조선동요백곡집 상편 22084 1931년 洪永厚 京城 硏樂會 洪永厚 朴原根 동리 〈a〉金貴環 謠〈/a〉 〈co〉洪蘭坡 曲〈/co〉 〈m〉자미스럽게〈/m〉 〈mn〉악보 있음, 오선 악보〈/mn〉 〈#34...
    구분창가 | 편저자洪永厚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170 內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01)

  • 용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를 마치고, 제보자는 50년 전 향교에 다닐 적에 들었던 이야기라며 구연을 시작했다.
    조사일시2010. 2. 24(수) | 조사장소강원도 홍천군 남면 유치2리 546-4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이영재
  • 소문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를 계속 청하자 이번에는 자기는 직접 보지는 못했지만 어른들에게 들어서 알고 있는 이야기로서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를 하겠다고 하셨다. 부여군 초천면에 살았던 인물로서 용한 사람의 이야기라고 했다.*
    조사일시1982-07-31 | 조사장소전라북도 군산시 대명동 | 제보자이창섭
  • 유명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7이 끝나고 이런 저런 잡담 끝에, 조사자(류종목)의 친구가 병으로 고생하다가 어떤 의사에게 치료하여 씻은 듯이 나았다고 하자, 이 이야기를 연상하여 이야기한 것이다.
    조사일시1980-08-04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미천면 | 제보자박헌장
  • 용한 지관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 자신은 풍수에 대해 믿고 있다고 말하고선, 어른들에게서 들은 이야기인데 거짓말인지, 실담인지 들어보라면서 구연을 시작했다. 구 연 중간에 앞 얘기가 빠졌다면서 생략된 이야기를 추가해서 들려주었다. 구연을 마친 후 제보자가 어릴 때 할아버지 묫자리에 얽힌 사연...
    조사일시2010. 01. 21 | 조사장소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1리 270-1번지 노인 회관 | 제보자이창영
  • 허약국과 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35가 끝나고 ‘강목발이? ‘강남 무산이? 등 주로 인물 전설을 이야기하다가 이 마을과 그리 멀지 않은 산청군 단성(山淸郡 丹城)의 허약국과 허의원 이야기를 했다. 이야기 도중에 백갑헌 노인이 끼어드는 것으로 보아 이 근처에 소문난 전설적인 명의(名醫)이야기...
    조사일시1980-08-07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명석면 | 제보자강병원

기초학문(75)

  • 제16대 국회선거와 투표행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43939 한국연구재단 제16대 국회선거와 투표행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8083&loca
    유형논문
  • 조선 후기 의 존재 양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동원, 게재일 : 2004
    37359 신동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사학회 2004 조선 후기 의 존재 양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朝鮮時代 의 변화와 自己意識 형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71834 한국연구재단 한국한의학연구원 2011 朝鮮時代 의 변화와 自己意識 형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朱肱의 의학사상과 李濟馬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70410 한국연구재단 한국한의학연구원 2011 朱肱의 의학사상과 李濟馬의 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한국 국회은 부패했는가?: 제19대 국회 재산자료를 통해 본 경험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엄기홍, 게재일 : 2016
    59925 엄기홍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1세기정치학회 2016 한국 국회은 부패했는가?: 제19대 국회 재산자료를 통해 본 경험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6,450)

  • 민세안재홍전집 : 官選氏名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405 1946 12 8 1 1 官選氏名 신문 동아일보 1면5단 동정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官選 A19461208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由緖기푼德壽宮에서 民主初會議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272 1946 2 19 1 1 由緖기푼德壽宮에서 民主初會議 三一記念日압두고重大事項討議 신문 동아일보 1면 1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民主 A19460219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常任‧專門委員選定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274 1946 2 20 1 1 常任‧專門委員選定 신문 동아일보 1면 6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民主 A19460220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황성신문 决議 1909년 1월26일 서울 서울 한성부민회원들이 상업회의소 누상에서 상견례를 행하고 규칙과 호구조사, 대황제...
    대표표제어議員决議 | 연월일1909년 1월26일 | 지역서울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總會 1932년 6월28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는 29일 총회를 개최하여 1931년도 사업보고 및 수지결산...
    대표표제어議員總會 | 연월일1932년 6월28일 | 지역서울

멀티미디어(147)

  • 제4대 민 전국투표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58년 5월 2일 제4대 민 전국투표가 진행되었다. 영상에는 이승만 대통령 가족, 장면 부통령 가족의 투표모습과 이기붕 자유당 의장과 조병옥 민주당 최고위원의 인터뷰가 실려 있다.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8년 5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통일주체국민회의 대 선거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72년 12월 15일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선거 영상. 박정희 대통령, 김종필 국무총리를 비롯한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는 모습과, 투표가 종료된 후 개표작업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2년 12월 1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장면 국무총리 선출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60년 8월 17일의 민 본회의에서 민들이 국무총리 지명 동의에 대한 투표를 하는 장면, 동의안이 가결된 후 기자들과 인터뷰를 하는 장면 민의 모습 등을 보여주는 영상.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0년 8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유신국회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제86회 임시국회의 모습이다. 국회에 참석한 국회들과 국회들 앞에서 발언하는 김종필 국무총리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3년 5월 27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7.29 총선거를 앞두고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7‧29 총선거와 관련된 소식들을 알리는 영상이다. 초대 참 및 제5대 민의 입후보 현황을 알리며 선거위원회의 집무 장면을 영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철저한 선거법 위반자 단속을 위해 소집된 전국검찰감독관회의 소식을 전하면서 허정 국무총리의 연설 장면과 회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0년 7월 6일 | 제작공보처

기타자료(1,439)

  • ;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5807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41면 45. 생도 씨명;2) 제3학년 강;姜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6637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2 147면 8. 생도 씨명;1) 제4학년 강;姜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8943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47면 이;李 충남 당진군 臺德面 新里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4980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0 141면 44. 생도 씨명;3) 제2학년 강;姜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4191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9 119면 42. 생도 씨명;5) 제1학년 강;姜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99)

  • / [과학기술/의약학]

    의료에 종사하던 기술관. 은 잡과인 의과에 합격하거나, 취재에 입격한 자로서, 의업을 배우는 존재인 의생과는 엄연히 구별된다. 조선시대의 대다수는 내·전의감 및 활인서에 소속되어 근무하면서 동반체아직을 받았지만, 의정부·육조·충훈부·종친부 및 도총부에

  • / [과학기술/의약학]

    진료 장비를 갖추고 ()이나 의료 종사자가 의료 행위를 하는 시설. 대체로 병원보다 크기가 작고 시설이 열악하다.

  • / 內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때 왕의 약을 조제하던 관서. 조선 건국초에 반포한 관제 중에는 그 이름이 없으나, 태종 때 왕실의 내용약을 맡은 기관으로서 내약방이 있었다. 그 뒤 1443년(세종 25) 6월에 이조에 계청하여 내약방을 내이라 칭하였는데, 관원 16인을 두고 3품은

  • / 民 [정치·법제/정치]

    일반적으로 양원제 국회의 하원. 상원인 참에 대응되는 것으로, 우리나라 제헌국회에서는 단원제를 채택했으나 1952년 7월 4일 대통령직선제와 양원제를 골자로 하는 이른바 발췌개헌안이 통과됨으로써 국회는 참과 민의 2원제로 되었다. 민은 보통, 평등, 직

  • / 尙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임금의 의복 진상과, 대궐 안 재물과 보물의 간수를 맡아보던 관서. 태조 때 설치되었다. 그 뒤, 1895년(고종 32) 상의사(尙衣司)로 고쳤으며, 1905년에는 상방사(尙方司)로 고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