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의례상정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
사전(49)
- 의례상정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뒤 직무와 권한이 확대되어 최고급 특별 기구의 하나로 발전하면서 의례상정소로 개칭되었다. 여기에는 의정급 이하 의례와 정치 제도에 박식한 고위 관원들이 제조(提調)로 파견되어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독자적으로 또는 예조와 협의하여 고례(古禮)‧고제(古制)를...
- 의례상정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초기에 국가 전례, 사서의 예제‧정치‧사회 제도 등을 연구, 제정하고 기타 중요 국가 정책을 심의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특별 관서정의조선 초기에 국가 전례, 사서의 예제‧정치‧사회 제도 등을 연구, 제정하고 기타 중요 국가 정책을 심의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특별 관서 | 문광부표기Uirye sangjeongso | MR표기Ŭirye sangjŏng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의례상정소(儀禮詳定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의례상정소 의례상정소 儀禮詳定所 예의상정소(禮儀詳定所) 관복색(冠服色), 의례상정사(儀禮詳定司)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초기 조선초기 이근호 1435년(세종 17) [정...동의어예의상정소(禮儀詳定所) | 관련어관복색(冠服色), 의례상정사(儀禮詳定司)
- 우임포(右袵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右衽)이다. 예조(禮曹)와 의례상정소(儀禮詳定所)에서 조사한 조정의 관복 제도를 포함한 모든 옷은 오른쪽에서 여밈을 하는 우임이다. 고구려 고분벽화에는 좌임(左衽)의 모습도 보이나, 삼국시대 중엽 이후 남자의 모든 상의는 반비(半臂)와 전복(戰服) 등 몇몇을 제외하고는...상위어포(袍) | 관련어좌임(左衽)
- 헐구제(歇柩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의식. [내용] 헐구제(歇柩祭)는 곧 노제(路祭)를 말한다. 1424년(세종 6) 3월 14일에 올린 종친(宗親)과 대신(大臣)의 예장에 관한 예조(禮曹)의 계 중에 “종친과 대신이 돌아가서 예장(禮葬)할 때에 제전(祭奠)을 예조와 의례상정소(儀禮詳定所)가 함께...동의어노제(路祭) | 관련어전(奠)
주제어사전(6)
-
의례상정소 / 儀禮詳定所 [정치·법제/법제·행정]
로 발전하면서 의례상정소로 개칭되었다. 의례상정소는 집현전의 기능 강화와 함께 1435년 폐지되었다.
-
상복 / 常服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왕이나 백관이 평상시 집무 중에 입던 옷.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에도 평상 집무 시에 입는 관복이 있었지만, 의례(儀禮)의 성격에 따라 입는 옷을 구분하여 제도화한 것은 조선 초기인 1426년(세종 8)의 일이다. 이때 예조와 의례상정소(儀禮詳定所)에서 당(
-
관복색 / 冠服色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백관의 관복을 연구하고 제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원래 태종이 건국 초기 의례를 정비하기 위하여 예조 외에 1410년(태종 10)에 의례상정소를 설치하였다. 광범위한 의례상정 중에서도 계급적 신분사회의 표상이 되는 백관관복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1
-
사모 / 紗帽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백관이 주로 상복에 착용하던 관모. 1417년(태종 17) 12월 예조와 의례상정소의 상계에 의하여 갓 대신 사모를 쓰고 등청하게 되었다. 1426년(세종 8) 2월 관복제정 때에는 평상복에 사모를 착용하게 하였고, 이로써 조선 말기까지 가장 많이 쓰인 관
-
판서 / 判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의 정2품 장관직. 주요 임무는 각 조를 총괄하는 이외에 소속된 속아문을 당상관이나 제조로서 지휘하였다. 또, 의례·제도·노비·영선·진헌·국혼·국상·전운·군적개수 등을 임시적·집중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의례상정소·전제상정소·육조수찬색·실록청·관복색·간경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