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동승”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극렬한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그 뒤 도승지ㆍ대사성ㆍ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영정...
    이칭별칭 유문(幼文)
  • 가장사초(家藏史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지 사항] 가장사초는 『조선왕조실록』을 편찬할 때 제출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므로 현재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현존하는 가장사초는 정태제(鄭泰齊)의 사초와 ()의 『한간비초(汗簡秘草)』가 있다. 정태제의 사초는 무덤에서 발굴되었고, 의 사초는 어떤 경...
    상위어사초(史草) | 관련어사관(史官), 사신(史臣)
  • 야연만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唱酬)한 시, 화답시 등이 있다. 「수주적행일록」은 양지현령(陽智縣令)으로 재임하던 중 1757년에 전정(田政)과 관련하여 어사 ()의 탄핵을 받아 종성에 유배된 뒤의 심정과 그곳에서의 생활을 적은 일기이다. 장초는 모두 유배지에서 지방관의 부탁으로...
  • 수주적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북까지 가는 노정과 거리, 소요 일수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종성적행시일록」은 1817년(순조 17) 1월 26일부터 1819년 5월 10일까지 일기체로 기록한 것이다. 군의 행정을 잘못하였다는 죄목으로 암행어사 ()에게 체포되어 그 해 6월...
  • 윤득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탁되었다. 그의 이름이 역적의 초사에서 언급되었다고 친구인 으로부터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1761년 지방관으로 서용되었고, 다음해 동래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비판을 받고 승지로 옮겼다. 그는 일찍이 신치운(申致雲)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스승이 김일경(金...
    이칭별칭 윤경(潤卿)

고서·고문서(38)

  • 이 윤참판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寧越 府牙 執事 齋洞 尹參判 候狀 向來燕行歸後 修上一書 竊計 已徹記室矣 近日始燠 伏惟 政候益重 少弟 行役餘毒 今始大發 兼添重感 浹旬委頓 悶憐 何狀 且陶谷山民徐弼泰者 以曾經 別將中軍之班族 聞越中風土之 洵美 拔宅徙去者 今纔周年 根 蒂不固 其爲生活疎落可矜 而聞 堤川有何許李姓...
    분야문학 | 유형문헌
  • 31254 B031254 금귤 金橘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34年 11月 27日_015 ○以濟州牧使狀達, 今十月朔進上唐金橘不足之數, 以石金橘代封, 果品亦甚不佳, 惶恐待罪事, 令于曰, 勿待罪事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1255 B031255 금귤 金橘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34年 11月 27日_015 ○以濟州牧使狀達, 今十月朔進上唐金橘不足之數, 以石金橘代封, 果品亦甚不佳, 惶恐待罪事, 令于曰, 勿待罪事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631 B035631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6月 16日_019 ○, 以刑曹言啓曰, 李景佐捕捉後, 南海縣爲奴事, 命下矣。 罪人李景佐, 自捕廳今已捉來, 依傳敎卽爲發配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9811 B039811 당금귤 唐金橘 경제산업承政院日記 英祖 34年 11月 27日_015 ○以濟州牧使狀達, 今十月朔進上唐金橘不足之數, 以石金橘代封, 果品亦甚不佳, 惶恐待罪事, 令于曰, 勿待罪事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3288 북한 평북 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3-07 회지 제2호 1934―03―25 98면 5. 제4회 졸업생 (58) ; 평안북도 박천군 가남면 심대동
    학교소재지역평북 | 학교명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718년(숙종 44)∼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의 문신. 언교의 아들이다. 1746년(영조 22) 진사로 춘당대시에서 을과로 급제, 문한관을 거쳐 1755년에 문학이 되고 이어 수찬·부교리·사헌부집의·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그뒤 응교·검상·부응교·부수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