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상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8)
사전(8)
- 옥계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강봉문(姜鳳文)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29년(순조 29) 손자 주복(周福)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야순(李野淳)의 서문, 권말에 유심춘(柳尋春)ㆍ박시원(朴時源)ㆍ유상조(柳相祚)의 발문이 있...
- 농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농헌야경(農軒夜景) 등 오언절구 8수로 묘사하였다. 서(書)에는 스승인 정종로(鄭宗魯)를 위시해 유상조(柳相祚)‧이희연(李希延)‧이태순(李泰淳)‧서병순(徐秉淳)‧이야순(李野淳)‧홍택하(洪宅夏)‧강필효(姜必孝) 등과의 주고받은 서한이 많은데, 대부분 단편적이기는...
- 남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명승과 금강산을 두루 돌아보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작품이 들어 있다. 또한, 정종로(鄭宗魯)‧유상조(柳相祚)‧유태좌(柳台佐)‧황찬희(黃贊熙)‧김상원(金尙元)‧유치목(柳致睦) 등 당시 유명인사에 대한 만시가 많이 들어 있다. 소에는 스승인 정종로를 포증(褒贈...
- 조병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년 동지정사(冬至正使) 유상조(柳相祚)를 따라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한성부부사과와 겸문학을 겸하였으며, 책저도감교관(冊儲都監敎官)을 지내고, 1832년 좌부승지를 거쳐 대사성에 올랐다. 1836년(헌종 2) 이조참의를 거쳐...이칭별칭 경보(敬寶)| 문숙(文肅)
- 생육신합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出資)하여 영천(永川)의 용계서원(龍溪書院)에서 간행하였다. ≪생육신합집≫의 편제는 첫머리에 유상조(柳相祚)의 <생육신선생합집서 生六臣合集序>에 이어 조인영(趙寅永)의 서문이 있다. 그 뒤에 이헌경(李獻慶)의 <경은일고서 耕隱逸稿序>, 강혼(姜渾)의 <...
고서·고문서(250)
- 1794년 유상조(柳相祚)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811년 유상조(柳相祚)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811년 유상조(柳相祚)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815년 유상조(柳相祚)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815년 유상조(柳相祚)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주제어사전(6)
-
유상조 / 柳相祚 [종교·철학/유학]
1763년(영조 39)∼1838년(헌종 4). 조선 후기 관리·유학자. 서애 유성룡의 8대손, 증조는 유성화, 조부는 유운이다. 부친은 유종춘, 생부 유해춘과 권정징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친동생으로 유휘조가 있다. 부인은 정광익의 딸이다. 1794년(정조 18) 춘당
-
옥계유고 / 玉溪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강봉문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손자 주복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야순의 서문, 권말에 유심춘·박시원·유상조의 발문이 있다.권1에 시 5수, 서 2편, 기 1편, 제문 8편, 권2에 부록으로 행장 1편, 묘갈명·묘지명 각 1편, 제문
-
유종춘 / 柳宗春 [종교·철학/유학]
에 봉해졌다. 아들로 풍안군 유상조가 있다. 유고로《외재집》이 전한다.
-
남고집 / 南皐集 [종교·철학/유학]
아보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작품이 들어 있다. 또한, 정종로(鄭宗魯)·유상조(柳相祚)·유태좌(柳台佐)·황찬희(黃贊熙)·김상원(金尙元)·유치목(柳致睦) 등 당시 유명인사에 대한 만시가 많이 들어 있다. 소에는 스승인 정종로를 포증(褒贈)하여줄 것을 청하는 상소가 있
-
생육신합집 / 生六臣合集 [문학/한문학]
기자료 및 공사문서 등을 모아 묶은 것으로 조려의 후손 조기영이 여러 자료들을 널리 고찰하여 한 질로 묶었다. 편제는 첫머리에 유상조(柳相祚)의 「생육신선생합집서(生六臣合集序)」에 이어 조인영(趙寅永)의 서문이 있다. 그 뒤에는 이헌경(李獻慶)의 「경은일고서 (耕隱逸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