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오도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8)
사전(61)
- 오도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를 받았다. 죽은 뒤 복관되고 울산의 고산서원(孤山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서파집≫이 있다. 肅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志 오도일이칭별칭 관지(貫之)| 서파(西坡)
- 오도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박태보의 친구이다. 문학으로 이름난 선비로 위풍이 있고 엄중하다 나라에서 글을 지어 올리라는. 명을 받고 글을 지여 올린다. 임금이 친찬하여 오찬을 주시니 표를 올려 사은하고 영화로이 여긴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의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7) 암행어사로 내려온 오도일(吳道一)의 추천으로 양리(良吏)로 뽑혀 관직이 특승되었다. 그러한 치적으로 1689년 호조참의에 발탁되었다. 이듬해에 충청도관찰사를 거쳐 수원부사가 되었다. 1691년 지방행정관으로서 세운 선정을 인정받아 호조참판으로 승직되었다....
- 오도일이관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논어(論語)》에 나오는 용어로,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가 제자 증삼(曾參, 기원전 505-435)에게 자신의 도는 하나로 관통된다고 한 말.정의《논어(論語)》에 나오는 용어로,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가 제자 증삼(曾參, 기원전 505-435)에게 자신의 도는 하나로 관통된다고 한 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odo il i gwanji | MR표기odo il i kwanj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오수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92(숙종 18)∼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수(士受), 호는 체천(棣泉). 영의정 윤겸(允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달천(達天)이고, 아버지는 병조판서 도일(道一)이며, 어머니는...이칭별칭 사수(士受)| 체천(?泉)
단행본(2)
- 〈영화〉 ; 오도일의 연행별장 [한국고문서 기초연구 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김학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학자료연구실 실장), 정순우(한국학중앙연구원 교육학과 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5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해제 1《詠畵》; 吳道一의 燕行別章 해제 2《詠畵》의 글씨와 代筆 사례 수록 시문 목록 《詠畵》第1帖 《詠畵》第2帖 《詠畵》第3帖
- 朝鮮王朝事大使行之硏究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葉泉宏... | 출판사 : 上大聯合 | 출판일 : 2014.06.분야역사 | 유형단행본第二節 中韓朝代轉換期忠義精神之比較探討 第四章 淸鮮宗藩關係的建構與交涉 第一節 藩館幽囚記(1637-1645) : 淸鮮宗藩關係建立時的人質問題部析 第二節 康熙時期吳道一的事大使行(1686-1694)
고서·고문서(160)
- 1674년 오도일(吳道一)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83년 오도일(吳道一)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83년 오도일(吳道一)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83년 오도일(吳道一)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83년 오도일(吳道一)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1)
- 서파(西坡) 오도일(吳道一)과 나뭇군의 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거 낙산사 경치에 서파 오도일입니까? 그 얘기 좀…□ 하자, 조금 쉰 뒤에 계속해서 구연했다.*조사일시1981-07-10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 제보자함기성
신문·잡지(4)
- 출판경찰보 110호 통속문화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오도일(五道一)의 총살에 대해 굉장히 좋지 않게 생각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그는 이러한 일은 매국노를 두려워하게 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얼마 전부터 일본은 매국노를 일부러 농락하고 있고 왕영은 이미 30만원을 받게 된 것이다. 그러나 XX는 매국노의 군대...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0호 통속문화 | 출판물명통속문화(通俗文化) 4권 6호
- 경학원잡지_1927_02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김완진 58 명륜설(明倫說) 한창우 63 오도일이관지(吾道一以貫之) 심선택 64 공부자의 집...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7
- 공보_1952_0531_05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시활 조선직업총동맹 철산광산 직장위원회 위원장 91 양성호 채광공 92 엄형운 생산지도원 93 오도일 채광공 94 오용옥 채광공 95 오용욱 채광공 96 위만원 채광공 97 위보환 채광공 98 위준환 채광공 99 윤재록 지도원 100 장기조 운전사 101 장익병 채광공...대표표제어공보_1952_0531_05 | 날짜1952년 5월 31일
- 조선출판경찰월보 103호 종산문집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余所求乎朋友者, 而國卿能先施之也 (中略) 矧今變難層出, 吾道日込, 未知區區者果能不變所守, 如吾子之言, 無負今日相期之重歟. 噫, 微國卿, 吾誰與歸. 20. 西山同遊錄序中一節 (上略)嗟夫吾遊太晩, 不於高門全盛之日, 而得陪諸長老議道之席, 又不於東韓無恙之世, 而周旋乎爼豆誦絃之...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3호 종산문집 | 출판물명종산문집(鍾山文集)
주제어사전(4)
-
오도일 / 吳道一 [종교·철학/유학]
1645(인조 23)∼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희문 증손, 할아버지는 윤겸, 아버지는 달천, 어머니는 조간의 딸이다. 1673년(현종 14) 춘당대문과에 을과로 급제, 강원도관찰사, 이조참판, 공조참판, 한성부판윤, 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702년
-
원옹집 / 園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의승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오도일에 의하여 수집, 그의 문집과 함께 오도일의 아들이 1728년(영조 4) 간행하였고, 그 뒤 1796년(정조 20) 저자의 증손 재항이 중간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두에 윤동수 서문
-
성학십도 / 聖學十圖 [종교·철학/유학]
설로 되어 있다. 권말에 오도일이 쓴 발문이 첨부되어 있다.
-
정호 / 鄭澔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736(영조12). 조선 후기의 문신. 철 현손, 종명 증손, 할아버지는 직, 아버지는 경연이다. 어머니는 민광환의 딸이다. 1684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을 거쳐 정언이 되자, 오도일이 붕당을 키우고 권세를 부린다고 탄핵하였다. 광